대추

 


[image]
생 대추
학명: ''Ziziphus jujuba Mill'' var. inermis Rehder[1]
영어: chinese date, red date, jujube
한자: 棗(조), 大棗(대조)
1. 개요
2. 특징
3. 해외에서
4. 유명한 지역
5. 여담


1. 개요


저게 저절로 붉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태풍 몇 개

저 안에 천둥 몇 개

저 안에 벼락 몇 개

저게 저 혼자 둥글어질 리는 없다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저 안에 땡볕 두어 달

저 안에 초승달 몇 날

ㅡ 장석주. 대추 한 알.

대추나무에서 열리는 과일의 일종. 갈매나무 과에 속한다.
예전부터 조, 홍조, 대조, 목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 과실로 남유럽, 서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한반도에 언제 들어왔는지 정확한 시점은 불명이나, 고려 명종 때 재배를 권장한 기록이 있어서 대체로 고려시대 이전 교역을 통해 들어왔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대추는 과실에 속하지만 원예산물에 속하지 않는다. 국내에서 대추를 원예산물이 아닌 임산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이는 , 도토리도 마찬가지인데, 이 세 과일은 다른 원예작물이나 농산물과 달리 산림청의 관할인지라 국내에서는 통상 원예학이 아닌 임학에서 다룬다.
언어학적으로 순우리말 같지만 한자어 '대조(大棗)'가 변한 귀화어다. '대조' 역시 '대추'의 같은 말로 아직까지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다.

2. 특징


크기는 다른 과일에 비하면 작은 편으로 2~3 cm 정도이며 갓 수확한 햇과일의 무게는 10~13 g 정도이다. 시중에 나온 생대추는 색깔이 갈색인데, 예전에는 모두 초록색 대추를 미리 따서 익혀서 출하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생대추를 과일처럼 판매하는 추세가 늘면서 붉게 익은 뒤에 따서 출하하는 일이 많아졌다. 미리 따서 익히는 것과 익은 뒤 따는 것에는 당도에 차이가 있다. 다만 사과나 수박 같은 대중적 과일에 비해 생과로 유통되는 기한이 짧은 편이어서 못 먹어본 사람도 의외로 많다.
대추는 과당을 많이 함유하여서[2] 강한 단맛[3]과 신맛이 조화를 이루며 당분이 많은 음식이라 100 g (8~10개)정도만 먹어도 100 kcal 이상 열량을 내니 다이어트 시에 주의해야 한다.
대추의 효능은 다양한데, 신경을 이완시키는 성분이 많아 불면증 치료에 도움 된다. 대추에 함유된 시토스타놀 성분은 혈관건강에 도움 되는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압도 낮춰준다. 또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은 항염, 항균작용에 도움 되며 특히 관절염과 류마티즘에도 도움 된다. 항산화 성분도 많으며 비타민C도 풍부하여 감기예방에도 도움 된다. 대추는 따뜻한 성질이어서 달여먹으면 냉증치료에도 도움 된다. 생으로 먹는 것보다는 말린 것을 복용하거나 달여먹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맛은 사과와 비슷하지만 살짝 풋내가 나고 물기가 더 적어 푸석하다. 안에 든 씨앗은 과일 크기에 비해 의외로 크고 단단하다. 설익어도 단맛이 나기 시작해 모르고 막 따먹는 일이 있는데, 적당히 익은 연한 노란빛을 띠는 연두색 엄지손가락 마디 하나쯤 되는 대추는 먹어도 된다. 그것도 서걱서걱하니 맛있다! 설익었을 때는 흰색이나 연한 노란색을 띠며 단단하지만 익으면 적갈색을 띠며 약간 물렁해진다. 대추를 살 때는 껍질이 깨끗하며 윤이 많이 나는 것을 골라야 좋고, 보관 시엔 밀봉하여 냉동보관 한다.
약재로도 많이 알려졌다. 감초와 더불어 한약에서 단맛을 내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여러 생약 성분을 조화시키기 때문에 쓰는 일이 많다. 한방에서는 맛이 달고 그 성질이 따뜻하며 위를 편하게 하여 배가 차갑거나 설사를 할 때 유용하며 자양강장, 이뇨제, 피를 맑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불면증에 좋다고 한다. '대추를 보고도 안 먹으면 늙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 그래서인지 삼계탕 같은 여름철 보양음식에 인삼과 더불어 자주 들어가고, 명절 때나 결혼식, 제사 등에도 웬만해선 꼭 올라가는 과일이기도 하다. '조율이시', '홍동백서' 따위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제상이나 잔칫상에 과실을 그대로 놓거나 조란·대추초 등의 과정류로 만들어놓으며, 이나 음식의 고명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말린 대추는 식용, 요리용, 과자용, 건과, 약용 등으로 널리 쓰이며, 대추를 이용한 음식으로는 꿀대추, 삼계탕, 대추죽, 대추인절미, 대추전병, 대추차, 과자 등이 있다. 소주 등에 넣어서 대추주를 만들기도 한다. 심지어 볶아서 커피 대용품으로 쓰인 적도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대량생산에 힘입어서 이나 설탕절임의 원료로도 쓰이는데, 꿀대추는 중국, 일본, 유럽에서도 호평이라고 한다. 다만 특유의 향과 식감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사과대추가 인기다.

3. 해외에서


중국에서는 한국보다 더 많이 볼 수 있지만 일본에서는 의외로 비주류인 듯.
중국에서는 대추를 사용하는 각종 요리 외에도 단독으로도 蜜枣(꿀대추)라는 명칭으로 반건조 상태에서 씨를 빼내고 설탕에 졸인 물건을 대중 간식으로 소비한다. 대추의 담백한 맛과 단맛이 어우러져 차 등을 마실 때 곁들여 먹으면 잘 어울리는 듯. 차뿐만 아니라 맥주[4]와 궁합도 훌륭하고 우유에 곁들여 야금야금 먹으면 멈출 수가 없다! 단 개당 열량이 상당하므로[5] 다이어트 중이라면 요주의. 국내에서도 대추 당절임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는 곳이 있다. 다만 수입하는지 대추도 전부 중국산인 게 대부분. 국산 대추로 해먹으려면 직접 졸여먹는 수밖에 없다. 베이징 니우지에(牛街)[6]나 우다오커우(五道口)에서는 대추빵을 판다.

4. 유명한 지역


대한민국에서 품질로 알아주는 대추는 주로 충청북도 보은군산이 유명하며, 지역에서도 대추를 상징으로 내세운다. 예로부터 보은 처녀는 입술이 뾰족하다고 유명했다는데, 그 이유가 하도 대추를 먹고 씨는 툭툭 뱉어내서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 과거엔 혼인비용과 의식문제까지도 대추로 해결하여 '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 처녀의 눈물이 비 오듯이 쏟아진다' 는 말이 전해질 정도였다고 한다. 대추 꽃은 대략 6~7월에 피기 시작해서 삼복과 개화 시기가 겹치는데, 이 때 비가 오면 제대로 수분을 맺지 못해 결국 대추 흉년이 들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경상북도 경산시도 대추로 유명한 지역이다. 경산은 2010년 이전까진 전국 생산량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대추 생산지였지만 대추농가 지원 미비, 가격하락 등으로 대추농사를 포기하는 농가가 늘어났다. 2013년엔 40% 이하로 떨어졌다(38%). 결국엔 경산대추를 보은대추로 속여 팔다 적발되는 사태까지 벌어지는 등 상표 가치가 추락했다. 그래도 전국 2위 생산지인 군위군의 생산량이 2013년 23%인지라 당분간은 1위 자리를 유지할 듯하다. 경산시는 귀한 대추꿀도 생산하는 유일한 지역이다. 그리고 경상남도 밀양시에는 밀양대추축제가 매년 10월쯤에 개최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경산, 보은 대추가 등록되어 있다.
주술적으로도 대추는 꽤 많이 이용되었다. 혼인식 날 새 며느리의 첫 절을 받을 시어머니가 폐백상에서 대추를 집어 며느리의 치마폭에 던져주는 풍속은 대추가 남자아이를 상징하여 아들을 낳기 기원한다는 의미가 있다.[7] 또 벼락에 맞아 그을린 대추나무(벽조목)로 만든 물건을 소지하면 액운을 막아준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도장집 가 보면 벽조목으로 만든 도장은 엄청나게 비싸다. 퇴마록장준후가 들고다니던 벽조선벽조목으로 만든 부채.
수호지에서 조개오용 일당이 스스로를 대추 장수, 술 장수로 속이고 일단 아무것도 섞이지 않은 술을 그냥 마시게 하여 안심시킨 뒤 곧바로 수면제를 술에 몰래 타서 양지가 수송하던 물자를 강탈한 사건이 유명하다.

5. 여담


  • 대추야자와는 과일이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종이다. 대추야자는 중동 사막지역에서 자라는 과일이며 훨씬 달다. 항목 참조.
  • 대추와 관련된 소문에 삼계탕에 있는 대추나 인삼은 먹지 말라는 말이 있다. 의 나쁜 성분을 대추가 흡수한다고 여기거나 혹은 좋은 성분은 다 국물로 우러나와서 대추나 인삼에는 나쁜 성분만 남았다고 하여 먹지 않는데, 과학적 근거가 없고 오히려 도움이 되므로 먹으면 좋다. 학교 급식으로 삼계탕이 나오면 호불호가 극히 갈린다. 불은 건대추의 맛과 식감이 특이한 점도 한 몫 하는 둣. 물론 좋아하는 사람은 삼계탕에 몇 개 들어가지도 않은 대추를 골라 먹기도 한다.
  • 얼굴이 검붉은 사람을 가리켜 대추빛 얼굴이라고도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 관우가 있다.

[1] 국내에서는 속명을 Zizyphus로 쓰는 사례가 많으나, 영국 큐 왕립식물원 등에서는 Ziziphus라고 쓰므로 이에 따른다. Zizyphus는 오류인 듯.[2] 탄수화물이 약 35%에 나머지는 식이섬유와 수분 60% 정도이다.[3] 대추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대부분은 이 단맛 때문이다. 과일이나 꿀의 단맛과는 다른 들척지근한 맛이 나는데 여기에 거부감을 느낀다.[4] 달콤한 맛이 나는 흑맥주 계열과 궁합이 특히 좋다. 코젤이라든가.[5] 100 g당 344 kcal, 평균 꿀대추 1개에 20 g 내외이다![6] 중국 베이징에 있는 회족 거리이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이슬람 사원(清真寺)이 여기 있다. 불교 사원도 있다.[7] 또한 대추나무에 열매가 많이 열리기 때문에 다산의 상징이라 그렇다는 이야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