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야전군사령관

 




'''제1야전군사령관'''
'''第一野戰軍司令官
First Field Army Commander'''

[image]
<rowcolor=#ffffff> '''대한민국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마크'''
1. 개요
2. 상세
3. 역대 제1야전군사령관
4.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제1야전군사령부지휘관으로 대장이 보임됐던 보직이다. 2019년 1월 1일부로 제1, 3야전군 사령부가 지상작전사령부로 통폐합 됨에 따라 역사 속으로 사라진 보직이다.

2. 상세


1야전군사령관은 창설 이래 초대 백선엽 장군만 대장이었고[1], 그 후로 제9대 사령관 김계원 장군까지는 중장이 맡았다가 15대 김학원 장군 시절을 제외하고는 10대 서종철 장군 시절부터 줄곧 대장이 보임되었다.
위키백과 역대 제1야전군사령관 항목 참조.

3. 역대 제1야전군사령관


정부
역대
이름
비고
제1공화국
초대
백선엽
2대
송요찬
3대
유재흥
제2공화국
4대
김종오
5대
이한림
국가재건최고회의
6대
박임항
7대
민기식
8대
장창국
제3공화국
9대
김계원
10대
서종철
11대
한신
12대
최세인
제4공화국
13대
이소동
14대
정승화
제7보병사단, 제3군단, 육군참모총장 역임.
15대
김학원
16대
윤성민
제5공화국
17대
김윤호
18대
소준열
제28보병사단장, 육군교육사령관 역임.
19대
정진권
20대
안필준
하나회 소속.
21대
정호근
제6공화국
22대
이진삼
제21보병사단장, 제3군단장, 육군참모총장 역임. 하나회 소속.
23대
이문석
하나회 소속.
24대
조남풍
하나회 소속.
김영삼 정부
25대
이준
26대
오영우
27대
이재관
김대중 정부
28대
김석재
29대
김판규
제55보병사단장, 제6군단장,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30대
김종환
제7보병사단장, 제5군단장, 합동참모의장 역임.
노무현 정부
31대
정수성
제55보병사단장, 수도군단장 역임.
32대
김병관
제2보병사단장, 제7기동군단장 역임.
33대
김태영
제23보병사단장, 수도방위사령관, 합동참모의장, 국방장관 역임.
이명박 정부
34대
김근태
제11기계화보병사단장, 제7기동군단장 역임.
35대
정승조
제1보병사단장, 제2군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합동참모의장
36대
박정이
제20기계화보병사단장, 수도방위사령관 역임.
37대
박성규
제11기계화보병사단장, 제7기동군단장 역임. 3사 출신 최초의 1야전군사령관.
박근혜 정부
38대
신현돈[2]
제1보병사단장, 특수전사령관 역임.
39대
장준규
제21보병사단장, 특수전사령관, 육군참모총장 역임.
40대
김영식
제15보병사단장, 합동군사대학총장, 제5군단장, 항공작전사령관 역임.
문재인 정부
41대
박종진
제37보병사단장, 육군본부 감찰실장, 제6군단장 역임. 마지막 제1야전군 사령관

4. 관련문서



[1] 여기에는 깊은 사연이 있다. 1군사령부가 창설될 무렵에 이형근, 정일권 두 장군이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이형근 대장은 초대 합참의장(당시 연합참모본부 총장)이 되었고, 정일권 대장은 6.25 이후 두 번째로 육참총장을 맡게 되었다. 그리고 백선엽 장군은 대장계급으로 초대 1군사령관에 부임한 것이다. 이것은 이승만 대통령이 국군 3대장을 필두로 이들 간에 상호 견제를 하게 하여 쿠데타를 억제하고, 충성심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2] 창군 이후 개인 사정인 음주 추태로 해임성 전역 조치된 최초의 야전군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