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라이트 전설
[clearfix]
1. 개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의 오프닝 테마곡. 한국판에선 문라이트를 우리말로 번역한 '''달빛의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다.
애니송 중 제목 그대로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의 인지도를 가진 곡으로 한국과 일본은 물론, 세일러 문을 방영한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 곡을 편곡/번안하여 방송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이 세계구급 인기를 가진 작품이기 때문에 일본 애니송 중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방송 종료일로부터 몇 십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유명한 노래이며 1990년대를 대표하는 애니송으로 오르내린다.
2. 상세
1992년 3월 7일 첫방송된 1편부터 1994년 3월 12일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R 89화까지 오프닝으로 사용된 곡의 가수는 'DALI'로, 타카하시 미스즈, 니시모토 마리, 이시자와 히카리, 츠치야 사유리로 구성된 4인조 아이돌 그룹이며 이 곡의 발매 직후 해산했다. 그 중 타카하시와 니시모토는 90년대 초반 MANISHI라는 여성 밴드 그룹으로 활동. 슬램덩크 애니메이션 3기 엔딩인 "반짝이는 순간에 사로잡혀서"를 불러서 인기를 얻었던 그룹이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와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까지는 '사쿠랏코 클럽 사쿠라 구미[3] '라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 불렀다.
S와 SuperS의 오프닝을 담당한 '사쿠랏코 클럽'의 유닛 'KEY WEST CLUB'이 '夢はマジョリカ・セニョリータ(꿈은 마죠리카・세뇨리타)'라는 제목으로 발매했던 곡이 원곡이며, 오프닝으로 사용된 문라이트 전설과 멜로디가 완벽히 동일하다. 이 유닛의 멤버인 나카타니 미키는 같은 멜로디의 다른 곡을 두번이나 부른 셈.
당초 CD고지에 표기되있던 곡명은 'ミラクルロマンス(미라클 로망스)'라고 한다.[4]
'댄스의 끝에서의 안녕'이라는 1960년대 노래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가수는 바이쇼 치에코.
한국에서도 이 곡이 번안되어 방영되었으나, MR을 새로이 편곡하고 일부 가사를 우리 정서에 맞추어 변경하였다.
KBS판은 이승복이 편곡하고 황정렬[5] 이 작사했으며 애니송 가수로 유명한 김현아가 주제가를 불렀다. '''미안해 솔직하지 못한 내가~'''로 시작하는 가사는 시간이 지나도 널리 회자되고 있다. 또한 KBS판은 풀버전도 존재하는데, 한국 애니송 번안곡은 거의 풀버전 사례가 없다는 것을 생각했을 때 KBS에서도 이 곡에 얼마나 신경을 썼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작중 여러 삽입곡을 모두 무시하고 이 곡으로 떼운 것에 대해선 그렇게 좋지 않은 평을 받고있다.
또한 KBS 방영판 오프닝 풀버전과 이를 댄스 버전으로 리믹스한 음원을 담은 8mm 앨범도 발매되었다. 음반에 담긴 풀버전은 오프닝으로 사용된 버전과는 반주와 보컬이 미묘하게 다르다.
대원방송판은 KBS판과는 다르게 재편곡하여 G.I.라는 걸그룹이 불렀으나 대체로 평가가 좋지 않은 편이다. 보컬 쪽으로는 KBS판 오프닝을 부른 김현아와 비교해서 맥아리 없어 별로라는 평과 함께, 가수의 애드립인지 PD의 연출인진 몰라도 쓸데없는 기교가 상당히 거슬린다는 평도 있다.
반주도 웅장하고 정의가 철철 넘칠듯한 KBS판 오프닝과는 달리 대원방송판 오프닝은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인데다 특히 유달리 도드라지는 당김음 비트가 트로트 뽕짝 같다며 대차게 까였다. 더군다나 평가도 좋지 못한 이 곡으로 G.I.를 띄워주는 언론 플레이를 하기도 했는데, 일부 기사에는 이들이 어린시절에 KBS판 오프닝을 불렀다는 오보를 내보내기도 했다(...). #
결국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 방영시 몇몇 지나친 보컬 기교들을 삭제해 재녹음하여 방영하였다. 대원방송판 오프닝은 KBS판 오프닝과는 달리 풀버전이 없다.
SBS 라디오인 배성재의 TEN 19대 대선 특집에서 신청곡이라며 이 노래를 틀었다. 마찬가지로 KBS 판. 특집 방송을 할 때 배성재는 '절대 용비어천가 방송을 하지 않겠다. 항상 텐션을 유지하겠다.'라고 굳이 주장했지만 이를 믿는 사람은 별로 없었는데, 아니나다를까 이 노래를 틀어버렸다. 해당 영상. 41분 30초부터 나온다.
같은 SBS의 2018 국민의 선택 개표방송에서 '달과 함께'라는 바이폰에 이 음악이 사용되었다. 물론 인지도 높은 KBS 판. # 제대로 변신 포즈(?)를 취한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포인트.
3. 가사
3.1. 일본판
- 1기 ~ R
- S ~ SuperS
3.2. 한국판
- KBS판
▲ TV 방영 버전
▲ TV 방영 버전(풀버전)
▲ 음반 버전
▲ KBS 초기음원 + 일본 오프닝 고화질 짜깁기 영상
▲ TV 방영 버전(풀버전)
▲ 음반 버전
▲ KBS 초기음원 + 일본 오프닝 고화질 짜깁기 영상
- 대원방송판
▲ 1~R
▲ S~SuperS
▲ S~SuperS
4. 다른 버전
세계 각국의 '문 라이트 전설' 비교(공식 더빙이 아닌 팬 더빙도 몇 개 있다. 예를 들면 만다린판, 러시아어판 등)
1993년 홍백가합전에서도 이 곡이 등장하였는데, 아이돌이었던 니시다 히카루, 모리구치 히로코, 사카모토 후유미가 세일러 전사 의상을 입고 불렀으며 2015년 홍백가합전에서도 AKB48이 세일러 문과 내행성 전사 코스프레를 하고 불렀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 방영 당시 문 라이트 전설을 포함한 몇몇 삽입곡들을 프랑스풍으로 편곡해 아사카와 히로코가 커버한 바 있다. 이는 음반 'Sailor Moon SuperS in Paris'에 수록되어 있다. 들어보기 몇몇 지역(홍콩, 태국)에서는 이 버전을 다시 편곡(및 번안)해 주제가로 내보내기도 했다.
성우 나카무라 에리코가 아이돌 마스터의 메인 히로인인 아마미 하루카의 보이스로 리메이크, 커버해서 부른 것이 코믹스 '아이돌 마스터 브레이크! 제2권' 한정판 특제 CD에 수록되어 있다. 들어보기
세일러문 20주년 헌정음반에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의 주제가를 부른 모모이로클로버Z의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들어보기 더불어 이 음반에는 프랑스 가수 클레망틴(Clémentine)이 커버한 '문 라이트 전설' 프랑스어 버전도 수록되어 있다. 들어보기[8]
2014년에 한국의 11번가가 이 노래를 사용해 광고CM을 찍었다. 노래를 부른건 씨스타. 자세한 영상은 11번가 항목 참조. 이때 니코니코 동화에서 영상을 보고 한국이 세일러문을 한국 것이라고 우기는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비방하기도 했다.(...)
유튜브의 일본 애니 OP 커버 전문 유튜버이면서 미국의 애니메이션 성우인 LeeandLie가 이 곡을 풀버전으로 영어로 불렀다. #듣기[9] 이 사람, 전에는 러키☆스타의 OP "가져가 세일러복" 을 영어로 부른 적도 있다(…).
스웨덴의 재즈 가수인 Platina Jazz가 재즈풍으로 리메이크했는데 퀄리티가 아주 훌륭하다. 관련 동영상.[10]
애니송 가수 정여진이 리메이크, 커버했다. 들어보기
본작 캐릭터들의 성우가 부른 것들도 있다.
- 히사카와 아야(구작 미즈노 아미) 리믹스 버전 : 이 곡이 수록된 앨범 Marching aya의 곡들은 하루 일과에서 모티브를 얻었으며, 이 곡의 모티브는 운동회라고 한다.
- 카네모토 히사코(크리스탈 미즈노 아미) 가 부른 버전
- 오가타 메구미(구작 텐오 하루카) 리믹스 버전
5. 리듬게임 수록
5.1. 팝픈뮤직
팝픈뮤직 아니멜로에 커버 보컬로 수록되었다.
어레인지는 wac, 커버 보컬 담당은 Sana.
아케이드엔 팝픈뮤직 11에 이식되었는데, 팝픈10 미미를 고르고 제목에 moon이 들어가는 곡을 끝자리 점수 0으로 깨면 플레이 가능. 이식되면서 배틀모드 패턴이 추가되었다. 20 fantasia에서 삭제.
5.2. 리플렉 비트 시리즈
리플렉 비트 플러스에 팝픈에 쓰인 음원이 이식되어 수록.
5.3. CHUNITHM 시리즈
미츠요시 타케노부 버전으로 들어갔다. BPM이 155로 올라간편
5.4. D4DJ Groovy Mix
Happy Around!의 커버곡으로 수록.
5.4.1. 채보
HARD PFC 영상
EXPERT PFC 영상
편곡은 본명인 彦田元気 명의를 쓴 DJ Genki. BPM이 더 올라갔고[12] 드럼 앤 베이스성향[13] 이 추가 되었다.
5.5.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모바일 리듬 게임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에 파스파레와 코코로, 마시로의 커버곡으로 수록되었다.
방송에서 보컬조합과 함께 공개된 힌트가 🌙이라서 이걸로 예상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어떤곡인지는 2020년 12월 28일에 공개되고, 이후 2020년 12월 31일에 수록.
마시로의 참여자체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이를 감안않아도 무난하게 잘나온 편. 실제로 미리보기에서 마시로 파트는 아예 안 나온걸 감안해도 추천과 비추천이 다른 커버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
EXPERT ALL PERFECT 영상
6. 기타
TJ미디어에 5611, 금영노래방에 5304번으로 한국판 '달빛의 전설'이 수록되어있다.
일본 원곡도 TJ, 28461 금영 41709으로 수록되어 있다.
문선민의 인천 유나이티드 시절 응원가로 쓰였다
[1] FIELD OF VIEW, 쿠리바야시 세이이치로 등 빙 소속 가수들에게 가사를 다수 제공했단 전업 작사가.[2] 싱어송라이터 카와시마 다리아와 동일인물. 그녀 역시 빙 소속이다. 이후 록 밴드 FEEL SO BAD의 보컬로 다시 데뷔했다. 작곡가로서는 주로 ZARD, MANISH, 아이우치 리나 등 빙 소속 여가수들의 곡을 제작했다.[3] 칸노 미호와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주연 나카타니 미키등 현재 중견배우로 활동하는 여배우들도 이 그룹에 소속해있었다.[4] 그래서인지 가사에서도 미라클 로망스라는 가사가 나온다.[5] 당시 대원동화에서 연출 담당 감독이었다. 흔히 한국어 작사가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는 '황이연'은 그의 딸이다.[6] 후리가나가 나라를 뜻하는 くに로 되어있어 출신→근원의 의미 정도로 해석될 여지가 있고 이에 따라 '곳'으로 의역된 사례가 있다. 또한 가사를 잘 모르는 일본인이 地球가 아닌 国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7] 달빛의 전설 음반에 적힌 가사에는 '하나님'이라고 적혀있다. 이거 때문에 우스개 소리로 달빛의 전설은 개독이 개사했다고 까이기도(...)[8] 세일러 문이 프랑스에서 방영될 때는 '문 라이트 전설'이 아닌 독자적인 주제가를 썼다.[9] 기존의 영어판은 원곡과는 완전히 다른 곡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로 이질감이 심한데, 이 곡은 원판의 느낌을 잘 살렸다.[10] 이 가수그룹은 일본의 유명 애니 주제가를 재즈풍으로 리메이크를 많이 한다. 퀄리티는 말 그대로 훌륭.[11] 판권곡 장르 삭제전[12] 170. chunithm 커버버전이 155, 팝픈에서 REFLEC BEAT plus에 이식된 게 140.[13] 특히 아트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