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드컷 세라 에미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여성 성우. 니혼대학 예술학부 연극학과를 졸업하였다.
2. 프로필
아버지가 호주인이고 어머니가 일본인이다. 브리드컷이 성[1] , 세라가 이름, 에미는 미들 네임이다. 미들네임이 존재하지 않는 동양인의 경우 서양식 이름을 이름으로 넣고 동양식 이름을 미들네임으로 넣는 게 보통인데, 원래 이름은 브리드컷 에미 세라지만 일본엔 미들네임이 존재하지 않아 호적에는 미들네임을 무조건 마지막에 써야해서 브리드컷 세라 에미가 되었다고 한다.[2] 참고로 이름을 다시 서양식으로 표현하면 세라 에미 브리드컷이 된다.
우선적으로 동양 문화권에 존재하지 않는 미들네임을 가지고 있는 데다 그 이름도 특이해서 주목 받고 있다. 덕분에 라디오 방송 같은 데 나가면 이름이 특이해서 매번 이런 질문이 나와 성덕들에게는 상당히 유명한 이야기이며, 아사누마 신타로는 문제아들이 이세계에서 온다는 모양인데요 애니메이션 캐스팅을 봤을 때, '이거 캐릭터 이름이랑 성우 이름이랑 바뀐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3] 공교롭게도 훗날 또 다른 미들네임을 소유한 후배인 타케다 라리사 타고가 등장하게 된다. 단 이쪽은 어머니성+이름+아버지 성이다.
여성 성우들끼리도 별명을 지을 때에는 이런 특이한 이름으로 인하여 상당히 곤란하다고 한다. 그래도 브리드쨩이나 에미쨩이라고 불리는 비율이 높은 모양. 특이한 경우가 스기타 토모카즈의 아니게라! 디둔에 출연했을 때인데, 여성 성우들에게 특이한 별명을 붙이는 걸로 유명한 스기타 토모카즈는 역시나 독특한 감성으로 '컷트씨', 마피아 카지타는 이름 부분을 비틀어서 세일러씨라고 불렀다. 스기타에 의하면, 처음 만난 더빙현장에서 컷트씨라고 불러도 대답해 주길래[4] 그냥 그대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영어 실력은 서툰 모양이다. 읽거나 듣고 발음하는 것은 어떻게든 되는데, 말하기와 쓰기가 서툴다고. 그래도 대본 읽는 데에는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그래서 영어 천지인 블루 마리의 발음을 들어보면 제법 괜찮다.
3. 주요 출연작
3.1. TV 애니메이션
- 2012년
- 에비텐 공립 에비스가와 고교 천민부 - TV음성
- 2013년
- RDG 레드 데이터 걸 - 키사라기 진 호노카
- 러브라보 - 학생, 여교사, 여학생, 방송부원
- 러브라이브! - 1학년 학생
- 문제아들이 이세계에서 온다는 모양인데요 - 쿠도 아스카
- 블러드 래드 - 하이드라 벨
- 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 나토리 시온
-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 루비아 저택의 메이드, 공항 안내 방송
- 2014년
- 관희 챠이카 - 셀마
- 관희 챠이카 AVENGING BATTLE - 셀마
- 듀얼마스터즈VS - 사에코
- 데이트 어 라이브 Ⅱ- 야마이 유즈루
- 러브라이브! 2nd Season - 1학년 학생
- 마켄키!通 - 시모야나기 마히루
- 아오하라이드 - 여학생
- 풍운유신 다이쇼군 - 히지카타 토시조
- 프리파라 - 에이코
- 하마토라 - 잉꼬
- 2015년
- Charlotte - 용기있는 소녀
- Classroom☆Crisis - 어린이, 키류 나기사 소년시절
- 듀얼마스터즈VSR - 사에포요, 기타
- 비탄의 아리아 AA - 타카치호 우라라
- 새여동생 마왕의 계약자 - 노나카 유키
- 새여동생 마왕의 계약자 BURST - 노나카 유키
- 유희왕 ARC-V - 린
- 함대 컬렉션 - 유바리
- 2016년
- 하루치카~하루타와 치카는 청춘이다~ - 호무라 치카
- 츠키우타 - 슌페이의 누나
- 러브라이브 선샤인 - 사회, 마리의 옛날 담임
- 쿠로무쿠로 - 에레나
- ViVid Strike! - 클래스메이트
- 배를 엮다 - 히로시
- 퀄리디아 코드 - 스자쿠 이치야
- Ange Vierge - 나이아 라퓨세아
- 2017년
- Chaos;Child - 쿠루스 노노, 스포일러
- 아이돌 사변 - 류세키도 치나츠
- 종말에 뭐하세요? 바쁘세요? 구해 주실 수 있나요? - 요정병
- 액션 히로인 치어 후르츠 - 킨죠 카즈미
- 츠우카아 - 스우하라 치유키
- 이누야시키 - 나오
- 2018년
- 2019년
- 2020년
- ID:INVADED - 토고
- 몬스터 아가씨의 의사 선생님 - 티사리아 스큐티아
- 무효와 로지의 마법률상담사무소 - 여자악령
- 2021년
- 일하는 세포 BLACK - 간세포
3.2. 극장 애니메이션
- 2015년
- 2017년
- Chaos;Child SILENT SKY - 쿠루스 노노, 스포일러
3.3. OVA 애니메이션
3.4. 게임
- Fate/Grand Order - 살로메
- 고딕은 마법소녀 악마편 - 릴리
- 그라나도 에스파다 - 네나
- 그리자이아: 팬텀 트리거 - 이나가키 바닐라, 이나가키 초코
- 데이트 어 라이브
-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5 - 세라핀
- 하마토라 - 잉꼬
- 함대 컬렉션 - 유바리, 하츠카제[6] , 마이카제, 스즈야, 쿠마노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캬로
- Chaos;Child - 쿠루스 노노, 스포일러
- 이와이 히메 - 누노카와 리리아
- 어쌔신 크리드 4: 블랙 플래그 - 캐롤라인 스콧
- 스쿨 스타 드림 ~카미오시!~ - 후지무라 쿠스노키
- 코토노하 암릴라토 - 레이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V - 블루 마리
- 섀도우버스 - 괴수의 여제
-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콘스탄체 폰 누벨
- 용과 같이 ONLINE - 마리아 야마모토
- 동방 로스트워드 - 홍 메이링, 후지와라노 모코우, 링고
- 비비드 아미 - 런치
4. 관련 문서
[1] 꽤나 희귀성씨인 모양인지 외국에서도 신기한 이름이라는 평가가 있는 모양.[2] 성우업계에 이런 방식의 이름을 쓰는 또 한명의 성우가 있다. 바로 타케다 라리사 타고. 타케다 라리사 타고의 아버지가 일본계 브라질인인 관계로 포르투갈식 이름을 쓰고 있는데, 스페인어, 포르투갈어권에선 이름에 아버지의 성과 어머니의 성을 같이 써넣는 관습이 있다. 이에 따라 포르투갈식으로 표현하면 '라리사 타케다 타고'라고 쓸 수 있다. 라리사가 이름, 타케다가 어머니의 성, 타고가 아버지의 성이다. 이때 아버지의 성과 어머니의 성을 둘 다 호적에 적을 수는 없기에, 아버지의 성을 미들네임처럼 취급하여 맨 뒤에 끼워넣은 것이다.[3] 공교롭게도 아사누마 역시 브리드컷처럼 혼혈이다.[4] 그 외에도 몇가지 배리에이션을 만들어 봤는데 컷트씨가 그 중 가장 괜찮았다고...[5] 연극 방패용사성공담에서 마인 스피아로 연기[6] 하츠카제의 경우 백서에 실리지 않은 탓에 공식발표는 콤프틱 4월호에서야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