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420
1. 노선 정보
2. 개요
도선여객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6.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7번 도시형버스(개포동 - 신내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청량리 - 신내동' 구간을 2015번 등으로 넘기고 단축했고 번호도 420번으로 바뀌었다. 본래는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까지만 운행할 예정이었고, 번호도 403번을 부여받을 예정이었으나 실제로는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 2005년 8월 22일에 경동시장 회차구간을 없애고, 대신 전농사거리까지 연장했다. 관련 공지사항
- 흥인지문 녹지조성공사로 인해 흥인지문에서 동대문운동장 방향으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2008년 8월 7일에 양사길(현 종로41길)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9년 7월부터 한남대교 전망대에 정차한다.
- 2009년 7월 11일에 종로세브란스의원에서 P턴하여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향으로 가도록 변경되었다.
- 2018년 10월 1일부터 토요일 운행횟수가 6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7월 22일에 '답십리시장 → 답십리래미안미드카운티 → 동대문중학교' 구간이 '답십리시장 → 답십리초등학교 → 답십리역.동부시장 → 답십리1동주민센터 → 동대문중학교'로 연장되었다. 또한 노선 길이가 늘어나면서 운행 소요시간은 전일에 걸쳐 10분씩 늘고 대당 일 운행횟수는 감축되는데 반해 운행 댓수는 유지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0회/6회/9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19년 9월 23일을 기해 본래 23:10였던 개포동 기점 막차시각이 23:00로 10분 앞당겨졌다. 다만 운행횟수에는 변동이 없으며,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 역시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10대, 저상버스 27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전체적으로 노선의 도로 상태가 좋은 편이라 저상버스도 472번에 비해 더 많이 운행하고 있다.
- 한가지 이상한 것은, 들어오는 버스는 개포5단지를 지나 수도공고, 개포도서관 래미안블레스티지도 거쳐서 들어오지만, 출발하는 버스는 구 개포4단지가 첫 정류장이다. 그래서 구 개포1단지에서 이용했던 사람들에겐 집앞까지 오기만 하고 집앞에서 가지는 않는 그런 이상한 불편함이 있다.[2] 만약 양 방향 경유로 바꾸면 구룡마을 사거리에서 좌회전 신호를 받고 차고지 출구에서 낑낑거리며 유턴 후 다시 양재대로를 통해 차고지로 들어가야 한다.
- 강남에서 청량리역에 열차 타러 갈 때 147번, 241번과 함께 가장 유용한 노선. 전철을 이용해 청량리역 쪽으로 가기엔 그 경로가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이다. 3호선은 ㄷ자를 그리며 서초구를 뱅 돌아가는데다 중앙선은 배차간격도 길다. 소요시간은 비슷하지만 환승이 없다는 점에서는 420번이 더 유용하다.[3] 신논현~청량리 이동 시에 241번은 성동구로 돌아서 청량리로 가기 때문에 소요시간에서 빠르며, 특히나 한남동에서 동대문으로 갈 때 144번은 버티고개, 약수역 쪽으로 돌아가는데, 이 노선은 장충단길 국립극장으로 바로 넘어가 소요시간이 더 짧다. 물론 러시아워 시간대라면 지하철이 답이겠지만. 하지만 도로 통제시에는 버티고개 우회 or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중간 회차가 확실해진다. 이 때는 2015번을 이용해 동대문구, 성동구로 넘어갈 수 있다. 종로가 통제된다면 이 노선을 이용하자.
- 강남대로 직통이라는 메리트와 환승 없이 갈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제기동, 신설동, 숭인동, 창신동 일대에서는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신설동~신논현역을 421번보다 빠르게 갈 수 있다.[4]
- 답십리역에서 신논현역, 강남역 갈때는 145번이 훨씬 빠르고[5] , 추가로 한티역에서 청량리 갈때는 147번이 좀 더 빠르다.[6] 게다가 신설동역에서 답십리역 갈 경우에는 천호대로를 타고 바로 가는 370번, 721번을 타는 편이 낫다. 단, 370번과 721으로 환승한다면 답십리 방향은 동대문역에서 내려야 한다. 신설동역의 정류장 위치가 다르고, 동묘역은 370번과 721번이 가변으로 정차하기 때문.
- 순환버스를 제외하면 402번, 405번과 같이 남산을 가장 가까이 경유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특히 국립극장 하차 후, 순환버스 환승으로 더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대문역, 동묘앞역,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설동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대치역, 신사역, 동대입구역[7]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동대문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답십리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한강진역[8]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포동역, 한티역, 청량리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image] 신분당선: 강남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1] 토요일 31대 / 공휴일 26대 운행[단독] 청량리역 방향 한정 단독 구간.[2] 다만 2004년 개편 이전 이 노선의 전신인 17번 버스는 현 143번과 마찬가지로 시내방향 또한 개포1단지로 경유하였다.[3] 이 외에 답십리역을 경유해 답십리뉴타운으로 연장된 지금은 해당구간에서 청량리역 이동시 121번과 같이 분담하게 되었다. 그리고 1227번의 청량리역 편도 경유와 720번의 전농우체국-황물로사거리 편도 경유도 보완한다(720번이 촬영소고개를 먼저 경유하고 이후 고미술상가를 지나 황물로사거리로 이동).[4] 421번은 퇴계로 찍고 서울역, 보광동 찍고 돌아간다.[5] 다만 그 노선은 성수대교가 엄청 밀리기도 하지만, 그쪽 구간은 밀리면 얄짤 없다.[6] 147번의 경우 논현로가 엄청 밀린다. 가끔 비슷하게 걸리는 경우도 있다.[7] 장충동, 동국대입구 하차[8] 서울중부기술교육원, 블루스퀘어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