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70

 




대원여객 소속 차량.
송파상운 소속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7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충정로역)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15
막차
22:50
막차
00:10
평일배차
'''1~6분'''
주말배차
토요일 4~8분 / 공휴일 5~8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강동영업소) / 송파상운 (강동영업소)
인가대수
43대(예비 2대)[1][2]
노선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1~8단지 - 강동공영차고지 - 고덕주공3·6단지 -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 초이동 -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 강동역 - 천호역 - 천호대교 - 광나루역 -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 군자역·용마초등학교 - 장한평역 - 답십리역사거리 - 동대문구청·용두역 -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 흥인지문 - 종로1~6가 - 광화문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 서대문경찰서 → 한국경제신문사 → 충정로역서대문역사거리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 이후 역순

2. 개요


대원여객송파상운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 중인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컨소시엄 지분을 가진 송파상운이 탈퇴하면서 일부 차량이 송파상운 소유[3]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2010년 7월 31일부터 공동 배차가 되었다.
  • 2014년 1월 16일에 주회사(대표회사)가 메트로버스에서 대원여객으로 변경됐다.(송파상운 차량들은 그대로 운행) 기존 메트로버스 차량들은 262번, 2016번, 2227번 등으로 죄다 흩어졌고, 이에 따라 대원여객의 좌석형 차량들이 대량 투입되어 안 그래도 혼잡했던 버스를 더더욱 혼잡하게 만들었다.관련 공지사항[4]
  • 2015년 7월 10일부터 서대문고가차도가 철거에 들어가면서, 회차 경로가 '경찰청 → 염천교 → 한국경제신문사 → 종근당 → 충정로역'으로 변경되었다. 최초 단축안은 회차지점을 종로1가와 무교동 쪽으로 바꾸고 노선을 단축하려는 안이였는데 서대문역까지는 그대로 가는 걸로 바뀌었다. 또한 최초 단축안은 8300번의 회차 방식을 계승하는 것인지라 버스 동호인들의 관심이 크게 모아지기도 했다. 관련 공문
  • 2017년 8월 23일 송파상운 소속 차량 9대가 거여동 차고지 사수를 위해 운행을 중단했고, 대원여객 차량 일부도 송파상운 노선 임시 대체 운행에 차출되어 총 10여대 가량의 결행이 발생했다. 당일 송파상운과 재개발 조합 측의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다음날 첫차부터는 정상화되었다.
  • 2018년 1월 1일부터 과밀도 완화을 위해 106번의 감차분 중 2대가 투입되었다. 관련 공문
  • 2018년 6월 11일에 2312번으로 2대가 차출되어 다시 44대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준비기간 부족으로, 2주 늦어진 6월 25일에 시행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0년 1월 29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다.[5]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이므로 운행횟수에 생기는 변동은 없다.관련 공문
  • 2020년 11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기버스 출고에 의한 차량 이동 및 그에 따른 재도색 작업 실시를 위해 한시적으로 평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줄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5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2020년 12월 15일부터 수소버스가 서울시 최초로 정식 투입되었다. 수소버스 시범 투입과 그에 의한 충전 및 공차회송 소요시간 추가 발생으로 인해, 2020년 12월 15일과 2020년 12월 21일자로 총 2번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2번에 걸쳐 평일의 경우 도합 4회, 토요일/공휴일의 각각의 경우 도합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관련 공문

4. 특징


  • 좌석버스 12대, 저상버스 31대를 투입하여 운행하며, 저상버스 투입률은 72%다. 대원여객은 34대 중 22대가 저상버스이며, 송파상운은 전 차량 저상버스이다. 대원여객으로 변경 후 좌석버스가 투입되면서 민원이 생겼는데, 이 때문에 여러 노선에 좌석버스를 내주고 저상버스를 넘겨받아오며 좌석버스 비중이 대폭 줄었다. 이로 인해 106번108번은 저상버스가 전멸했고[6], 107번341번도 저상버스 숫자가 많이 줄었다.
  • 이 노선은 지금은 흑역사가 된, 1기 지하철 계획 당시 5호선으로 계획된 지하철 노선의 원안을 그대로 이어받은 노선이다. 이와 관련된 글 이러한 역사 때문에 중앙차로가 일부 끊겨 있는 상황에서도 도심 진입에 있어서 지하철보다 분명히 장점이 많다. 강동구엔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운행하고 있지만, 5호선으로 도심을 들어가면 지하철에서 내릴 때 그 무지막지한 높이차를 뚫어야 하는데다가, 도심의 모든 지역이 5호선 라인에 다 몰려있는 것도 아니면서 5호선 도심 라인의 환승은 어디 하나 개념환승인 곳이 없다. 그런데 이 노선은 그냥 타고 있어도 장한평역 근처에서 알아서 종로로 들어가준다. 도심을 간다고 할 때 1호선으로 갈아타야 되는 일이 꽤 많은데다, 도심 라인에서 5호선과 1호선이 환승하는 곳은 막장환승으로 손꼽히는 종로3가역[7]. 사실 5호선 도심 라인의 환승역 중에 개념환승역이란 건 없다.[8] 무엇 보다도 그 무지막지한 깊이를 올라오지 않아도 된다는 건 충분히 경쟁력이 될 수 있다.
  • 대원여객 차량 중 1대는 2014년에 꼬마버스 타요로 랩핑되었다. 운행 직후 차량 안은 부모와 아이들로 헬게이트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타요버스보다 인기가 더 좋아 타요버스를 타기 위해 검색하는 부모들도 있을 정도. 이후 여러 노선의 다양한 차량들이 타요버스로 랩핑되었다.[9]
2016번(대원여객) 차량이 도색변경이 되지 않고 넘어오면서, 한동안 지선버스 도색의 370번을 볼 수 있었다. 초록색 간선버스가 또 만들어질 뻔 했던 542번은 형간전환될 때 1주일 정도 재도색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지만, 이 노선은 하루 만에 투입되어서 파란색으로 도색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비슷한 사례로는 343번, 3313번, 3012번 등이 있다.
  • 천호대로 버스전용중앙차로 중 일부 구간(동대문구청 - 강동역)은 130번과 정확히 겹친다.
  • 서울특별시에서 2003년에 시범적으로 도입한 첫 번째 영업용 대우저상[10]이 이 노선에서 다녔다. 대원여객에서 넘어온 차량이었고, 송파상운에서 메트로버스 지분을 팔고 370번 일부를 갖고 나올 때 1대가 송파상운으로 넘어갔다.
  • 메트로버스 시절 이 노선을 보조하기 위한 노선으로 8300번이 있었다. 급행 버스 목적으로 이 노선의 지하철 환승역과 맞먹는 매우 적은 정류장 수가 특징이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70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8,135명
-
2014년
27,261명
▽ 874
2015년
27,728명
△ 467
2016년
26,435명
▽ 1,293
2017년
25,999명
▽ 436
2018년
27,309명
△ 1,310
2019년
27,234명
▽ 75
2020년
22,066명
▽ 5,168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70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충정로역2호선
13137'''
충정로역5호선
13238



한국경제신문사.서소문역사공원
02109


서대문역사거리
13047




서대문경찰서
13252
이상 회차 구간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7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8
광화문
01009




광화문
01010
종로1가
01011




종로1가
01012
종로2가
01013




종로2가
01014
종로3가.탑골공원
01015




종로3가.탑골공원
01016
종로4가.종묘
01017




종로4가.종묘
01018
종로5가.광장시장
01019




종로5가.광장시장
01020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1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2
동대문역.흥인지문
01023




동대문
01037
숭인동
01262




동묘앞
01044
동대문우체국.서울풍물시장
06163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06008
용두동
06162




서울시동부병원
06007
용두역
06161




-
동대문구청
06017




동대문구청
06006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06004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06005
답십리역사거리
04001




답십리역사거리
06001
청년회의소.서울새활용플라자
04002




청년회의소
06002
장한평역
04003




장한평역
06003
군자교입구
05002




군자교입구
05001
군자역5번출구.용마초등학교
05004




군자역4번출구.용마초등학교
05003
중곡동입구삼거리
05008




중곡동입구삼거리
05005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05007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05006
새밭교회
05010




새밭교회
05009
광나루역
05012




광나루역
05011
천호역
25014




천호역
25013
강동역
25012




강동역
25011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25010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25009
둔촌2동주민센터
25008




둔촌2동주민센터
25007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
25006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
25005
초이동
25004




초이동
25003
상일초교
25002




상일초교
25001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25310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25309
고덕리엔파크3단지
25112




고덕주공6단지
25111
강명초등학교
25110




고덕주공3단지
25109
고덕천.상일동역교차로
25108




고덕천.상일동역교차로
25107
해뜨는주유소
25106




해뜨는주유소
25105
고덕리엔파크1단지
25104




고덕리엔파크1단지
25103
강동공영차고지
25102




강동공영차고지
25101
강일동주민센터
25318




강일동주민센터
25319
강일리버파크3단지.1단지
25337




강일리버파크1단지.3단지
25336
강일리버파크4단지.2단지
25320




강일리버파크2단지.4단지
25321
강일리버파크4단지.5단지
25334




강일리버파크5단지.4단지
25335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25322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25323
강일리버파크8단지
25333




강일리버파크8단지
25332
강일리버파크6단지
25324




강일리버파크6단지
25317
'''강동공영차고지
25341'''



5. 연계 철도역



[1] 대원여객 35대(예비 1대) / 송파상운 9대(예비 1대)[2] 토요일 36대(대원여객 29대, 송파상운 7대) / 공휴일 32대(대원여객 26대, 송파상운 6대) 운행[3] 일부 차량은 3315번, 3318번 등의 증차분으로 넘어간다.[4] 이는 KD 계열사인 메트로버스대원여객간의 노선 트레이드로 인한 것으로 262번, 2016번, 2227번메트로버스로 넘어갔다.[5] 감차분은 01번 신설 목적으로 차출된 기존 542번 저상차량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규차량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542번에 투입되었다.[6] 단 108번에는 다시 저상버스가 다니기 시작했다.[7] 그나마 3~5호선 환승은 좀 나은 수준이다. 그 절반에서 조금 더 되니까..[8] 오죽했음 사람들이 영등포구청역 환승통로를 보고 이런 막장환승은 다시는 없었으면 좋겠다고 인터뷰했을 정도인데, 신길역 환승통로와 종로3가역 환승통로를 보고 그야말로 경악하고 말았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공덕역, 종로3가역, 왕십리역, 충정로역, 을지로 시리즈 등등...[9] 하지만 이후 교통사고로 전면부가 박살나 랩핑을 전부 제거했고, 지금은 평범하게 운행한다.[10] 구청 운용 장애인 셔틀버스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