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21
1. 노선 정보
2. 개요
서부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3.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34번 도시형버스(북가좌동 - 외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동대문 - 외대' 구간이 단축되고 대신 창신동에서 회차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번호 또한 705번으로 바뀌었다.
- 300번(강일동 - 서울역)이 폐선되면서 2005년 7월 16일에 건대입구역, 뚝도변전소까지 연장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21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연장된 구간은 개편 전 구 59번의 '종로 - 건대입구역' 구간과 동일하다.[2]
4. 특징
- 일반버스 19대, 저상버스 19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2016년 10월 28일에 최초로 초저상버스가 투입되었다. 2020년 11월부터 전기버스가 6대 운행 중이다.
- 134번 시절만큼은 아니지만 주력 노선으로서 단거리, 장거리 수요를 모두 커버하는 노선으로서 현재도 맹활약하고 있다. 먼저 간선버스 가운데 북가좌동에서 신촌로터리(현대백화점신촌점)을 유일하게 이어주는 노선이며[3] , 서울 시내에서 버스 수요가 많기로 유명한 '신촌역 - 아현역 - 종로1~6가' 구간을 270번, 271번, 273번과 함께 다니고 있다. 이후 천호대로에서 370번보다 체감상 배차간격이 좋으며, 특히 370번이 충정로역 단축 이후에는 신촌 구간 수요까지 부분적으로 흡수하면서 수요가 상당히 많아졌다.
- 준저상버스 2대가 다니고 있었다. 그런데 동아운수보다 늦게 뽑았는데도 불구하고, 구형 차량에서나 보이던 수박색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2019년 5월 말에 에디슨 화이버드로 대차되었다.
- 한편 구 134번 구간 중 '동대문 - 경희대' 구간은 201번이 대체해주고 있다.[4] 273번이 어느 정도 대체해 준다는 말도 있지만 그 노선의 주력 구간은 '경희대 - 대학로', '신촌 - 대학로'니 성격이 많이 다르다.
- 한때 건국대학교 방향은 '충정로 - 새문안로' 구간에서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정류장을 260번, 273번과 함께 무정차 통과했다. 반대로 북가좌동 방향 운행은 '서대문역사거리.적십자병원', '미동초등학교'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했다. 현재는 새문안로와 종로에 버스중앙차로가 개통되면서 모든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 뚝도변전소에서 U턴한 다음, 광진구의회 앞이나 건대입구역 정류장(스타시티 앞)에서 잠시 쉬었다 간다.
- 서울에서 20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을 가장 오래 굴렸다. 2015년 3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유로6 고상버스로 대차되었다.
- 과거 2008년 이전에 운행하던 차량들은 스티커나 씰 등으로 꾸며놓은 경우가 많았으나, 이 차량들이 대차된 이후에는 이런 것이 사라졌다. 관련 게시물
- 가스 충전은 상암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2020년 1월 말부터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SNS상으로 이 노선을 언급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언론에서는 이 버스의 기종점을 분석하며 광진을 출마를 예견하기도. 그리고 실제로 2020년 2월 19일 21대 총선 광진구 을에 출마를 하게 되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동묘앞역, 신설동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신설동역, 용두역, 건대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서대문역, 광화문역, 종로3가역, 답십리역, 장한평역, 군자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증산역[5]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 건대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가좌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