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여객

 




'''상호'''
도선여객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대로 486 (개포2동)
'''대표이사'''
이중원
'''설립일자'''
1973년 3월 24일
'''업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업체
1. 개요
2. 운행 노선
3. 폐선된 노선
4. 면허 체계
5. 보유차량

[image]

1. 개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시초는 1973년 3월 24일 강북구 수유동에서 '''삼영교통'''이라는 이름으로 운수업을 시작했으며, 1984년에 강남구 개포2동[1]으로 이전하였다. 한때 1990년대에 인수한 서울여객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가 통합했고, 이후 사명을 도선여객으로 변경했다.[2] 계열사로는 친선고속이 있다.
주요 노선으로 11[3], 12-3(구 좌석버스 12번, 현 472번), 17(현 420번), 78-1(현 4412번) 등이 있었다.
이 회사 소속 노선의 인가상 첫 정류장은 각각 구룡산입구, 래미안블레스티지아파트, 주공4단지 정류장이지만 사실 도선여객 차고지 간이정류소가 첫 정류장이며 승하차도 받는다. 하지만 TOPIS 상으로는 나오지 않아서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빼면 잘 모른다... 이 차고지에서 타는 사람들은 대부분 구룡마을 주민이다. [4] 사실 왠만해서는 메인 입구로 입고하고 뒤쪽 구룡마을 쪽에서 출고를 하는 편이다. 그래야 좌회전 신호를 받아 일부 노선이 구룡산입구 정류장으로 출발할 수 있다.
이 회사의 노선만은 원통형 노선도를 안 쓰고 '''이 정류장이 몇 번째 정류장인지도 나오는''' 자체노선도를 쓰고 있었지만, 4435번 신설할 즈음부터는 원통형으로 바꿔버렸다. 자체 노선도는 현재 구룡마을 도선여객 차고지 정류장에서만 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도선여객 차고지 정류장 마저도 원통형 노선도로 바꿔버렸다가 현재 신형 노선도로 변경되었다. [5]
일반차량 한정하여 앞, 옆부분 행선판이 헤드라인 글씨체이다. 다른 회사들은 신형 글씨체를 적용하는데 이 회사는 헤드라인체를 고수하고 있다. 외부 측면 노선 번호 서체도 Times New Roman이나 Din체로 적혀 있는 타 회사와 달리 대부분 Adobe Garamond로 적혀 있다.[6]
여담으로 1991년 4월에 서울시 시내버스 업체 최초로 에어로시티 520SL 모델을 도입한 회사였으며(정확히는 삼영교통 시절에 도입했다.), 입석형 RB520SL을 마지막으로 굴린 회사이기도 하다.[7] 또한 좌석형 RB520도 상당히 늦게 대차하였다.[8] 다만 이후에도 현대차와 대우차를 혼용했지만 2003년을 끝으로 완전히 현대차만 출고하고 있다.[9]
한편 도원교통, 김포교통, 원진운수,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처럼 저속 또는 정속 주행을 하며 에코드라이빙을 잘 지킨다. 신호도 굉장히 잘 지킨다.
현재 강남구의 유일한 시내버스 회사이다. 과거에는 수서동에 진화운수, 삼성역 근처에 대원교통 차고지가 있었지만 모두 폐쇄되었다.
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있으며 강남구 마을버스 노선들이 여기서 주로 충전한다. 충전소는 2008년에 완공되었으며, 이 이후로 가스차가 대거 투입되었다. 가스충전소 생긴지 얼마 안 돼서는 특히 4412번이 개포동 본사로 노선이 바뀐 것도 덤이다.

2. 운행 노선



  • 서울 버스 4432 : 래미안블레스티지아파트 - 도곡역 - 한티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서초구청 - 양재시민의숲역 - 청계산입구역 - 원터골 - 옛골 (구 405[11] 연장)

3. 폐선된 노선


  • 서울 버스 8441 (신원동 - 양재역) (2015년 2월 27일 폐선)
  • 서울 버스 8442 (신원동 - 양재역) (2015년 2월 27일 폐선)
  • 서울 버스 4511 (개포2동 - 상도2동) (2005년 폐지, 구 288 단축)
  • 서울 버스 405[12] (개포2동 - 시청) (2005년 폐지, 구 222 단축)

4. 면허 체계


  • 서울 7093##호 ~ 94##[13]
  • 서울 743283호 ~ 3337[14]
  • 서울 744351호 ~ 4450[15]
  • 서울 752814호 ~ 2817[16]
  • 서울 752828호 ~ 2833[17]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현대자동차



5.2.2. 자일대우상용차



5.2.3. 기아자동차



[1] 인근에 구룡마을이 있다.[2] 삼영교통에서 도선여객으로 변경한 사유가 있는데, 강북구에 연고를 두고 있는 '''삼양교통'''과 발음이 비슷하고 제주도에 있는 동명의 시내버스 이름이 있고 심지어 안양시에 비슷한 이름 때문인지 몰라도 지금의 사명으로 변경했다는 카더라가 있다.[3] 개포동 - 창동역 구간을 운행하다가 1995년 말 고려대학교로 단축했고 2001년에 12-3번 개통을 위한 증차를 위해 좌석버스 노선이었던 12번과 동시에 폐선.[4] 다만 구룡산입구 정류장이 인가상 종점인 노선들은 구룡산입구 정류소가 구룡마을 바로 앞에 있어서 차고지에서는 내리는 사람이 거의 없다.[5] 하지만 원통형은 거꾸로 볼 수 있다는 흠이 있지만 동아운수는 화살표도 큼직큼직 하게 써놓아 완전 보기 편하다는 평이 많다.[6] 물론 서울버스, 동아운수, 한국BRT 등도 외부 측면 노선 번호 서체를 Adobe Garamond체로 적은 적이 있지만 현재는 모두 Times New Roman이나 Din으로 교체되었다.[7] 후진등을 감싸는 엔진방열구가 사라진 1990년식으로, 78-1번에서 운행하다가 2001년에 대차. 서울 74 사 3317호가 국내 마지막 입석형 RB520SL이었다. 그것도 2000년대 초반에 80년대 스타일을 지닌 버스로 강남역과 신사동, 압구정, 청담동, 삼성역, 대치동, 개포동, 일원동. 즉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을 좌지우지하면서 구매력을 과시하는 이시대 최고 갑부들만 모여있는 강남 한복판을 누비는 모습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이러한 풍경도 2001년 봄방학을 끝으로 모종의 이유로 말소된 1996년식 에어로시티 540SL(舊. 서울 74 사 2389호)로 대차하였다.[8] 가장 늦게 대차한 곳은 서울승합이다.[9] 2003년에 출고한 슈퍼 에어로시티와 로얄시티를 비교해보니 월등하게 대우차의 잔고장이나 관리비용이 더 비쌌다고 한다.[10] 실질적 회차점이다. 여기서 대기한다. 종종 동대문중학교 조금 지난 지점에서 쉬는 경우도 있다.[11] 현 노선과는 전혀 무관한 개편전 순환버스 노선이었다.[12] 현 노선과는 무관.[13] 강남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14] 순수 도선여객 주면허.[15] 구 서울여객 주면허.[16] 순수 도선여객 주면허. 1990년 9월 좌석버스 증차분으로 발급받았다.[17] 구 서울여객 주면허. 1990년 9월 좌석버스 증차분으로 발급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