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고속(1954년)
1. 개요
경기도 의정부시에 '''있었던''' 시외버스 업체. 1954년에 창립되어 2010년 경기고속에 통합되어 소멸하기까지 약 55년간 존속했던 버스회사이다.
2. 역사
본래 영종여객이라는 사명으로 1954년부터 영종도 일대와 성남/포천/철원 일대에서 의정부 면허로 버스를 운행했다.[1][2]
1989년에 영종도가 인천직할시 중구로 편입되자 영종도 노선을 인천 면허로 전환했다.
1991년에는 연천 - 전곡 - 덕계리 - 의정부 - 수유리 - 상봉동 시외버스를 수유역으로 단축하고 39번으로 재편했으며, 대신 의정부 버스 72번을 신설하여 포천 - 송우리 - 의정부 - 수유리 - 상봉동 구간을 운행하게 조절했다.[3]
1993년에 경복대학교가 개교하자 의정부 버스 138번을 신설했다. 그리고 1993~1998년 사이에 70번을 시내버스로 전환했는데, 이 쪽은 성남 면허로 다녔다. 당시 사진
이후 외환위기를 전후로 해서 사세를 조금씩 줄여가기 시작했는데, 먼저 1998년 5월 16일, 9월 12일에 성남시 ~ 상봉동을 오가는 도시형 70번, 70-1번, 일반좌석 770번을 성남시 소재 경기교통에 매각했다.[4] 같은 시기에 38, 138번 시리즈와 포천시내를 운행하는 일부 저수익 노선을 포천교통으로 분리하면서, 일부 차량이 포천시 면허로 전환되기도 했다[5] 다만 138번 일부 차량만 전환시킨 것이고, 2004년까지 '영종여객' 사명 붙인 차도 잘 다녔다.
또한 1998년 6월에는 영종도 노선들을 모아서 신공항여객으로 분리했다. 이후 신공항여객은 대양운수와 용일여객 영종도 노선도 모두 인수하고 300번 시리즈를 통해 성장하나 2003년 초에 도산했다.[6]
2002년 3월 29일, 6월 29일에 39번 시리즈, 일반좌석 139번을 연천교통으로 분리하면서, 일부는 연천군 면허로 전환되었다[8][9]
2004년에 경영난에 시달렸고, 동년 9월에 선진네트웍스가 이 회사를 인수하며 선진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연천교통은 기존 오너가 들고 나갔으나 이쪽도 경영위기를 겪더니 선진 품으로 들어갔다.[10]
이후 선진측에서 복잡하게 섞인 공동배차를 정리했는데, 먼저 차고지 문제가 걸렸던 72-1을 명진여객으로 차량까지 통째로 양도하고, 138번을 포천교통 단독으로 바꾼다[11] 138번 공동배차를 하던 선진상운도 선진네트웍스에 2004년에 인수되었기 때문에, 선진상운도 138번을 철수했다. 또한 72번을 포천교통으로 이관했다. 대신에 공동배차, 포천교통 소속으로 다니던, 138-5, 20, 66, 66-1, 660, 660-1을 영종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하게 된다. 사실상 포천시내노선은 포천교통, 외곽노선은 영종여객이 전담하게 바꾼 것이다.
그리고 2005년에 선진고속으로 사명변경. 이후 2005년 6월 30일에 시내버스 노선(시내사업부)을 모아 '''선진시내버스'''로 분리시켰다.[12]
선진그룹에 인수되고 한동안 차량은 기존 도색으로 운행했지만 2005년에 3300번 운행을 위해서 도입된 에어로 스페이스 LD CNG 차량부터 본격적으로 선진그룹 무지개도색을 이용하게 되었다. 동시에 3300에서 쓰던 에어로시티, BS106은 모두 교체되었다.
이듬해인 2006년에 신철원 - 운천 - 양문 - 신북 - 포천 - 내촌 - 진접 - 동서울 노선인 3000번을 신설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와수리 - 성남[13] 노선을 신설했다. 이 노선들을 운행하기 위해 선진버스에서 70, 90번 출신 BH115E와 에어로 스페이스 LD를 도입했다.[14][15]
2007년부터 기존의 BH116, 에어로 스페이스 디젤차량을 퇴역시키고 BH116 CNG 차량으로 교체시켰다. 이 때 도입된 차량은 대략 40대 가량 된다. 같은 해 여름에는 수유역 - 도평리[16] , 와수리 - 성남을 폐선시켰고 3300번에서 3100[17] , 3200[18] 번을 분리시켰다. 또한 동송/와수리 - 수유역 노선을 무정차와 일반으로 분할했다.
2008년에는 3100번을 대진대학교로 연장시켰고[19] , 직행좌석버스로 전환시켜 선진시내버스로 이관했으며 3300번을 경기고속에 매각했다.[20]
2009년에는 별 다른 소식은 없었으나, 9월에 뜬금 없이 전문형 에어로 스페이스 LS를 15대 가량 출고했다.[21] 그 과정에서 00~01년식 구도색 BH116은 완전히 대차되었고 07년식 일부가 대차되더니 해외로 수출되었다. 그리고 BH116 CNG 차량을 고양교통에서 중고로 도입했다.[22] 동시에 3000번은 고정차량과 번호가 없어지고, 랜덤하게 운행하도록 변경된다.
이후 잘 다니다가 2009년 12월 1일에 하남선진여객, 선진상운, 유성운수가 KD 운송그룹에 매각될 때 잔류했고, 선진네트웍스가 포천을 장악한 이상, 매각될 리가 없다는 전망이 나왔다. 그런데...
'''이듬해 2월 1일부로 KD 운송그룹에 인수되었다.''' 동시에 경기고속으로 회사가 합병되었다. 포천을 선진네트웍스가 장악한 상황에서의 갑작스런 매각이다보니 버스 동호인들은 큰 충격에 휩싸였을 정도. 이로서 영종여객 - 선진고속으로 이어진 55년의 역사는 끝났다.
결국은 경기 동북부를 장악한 KD 운송그룹의 일원이 된 것이다. KD 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기존 차량은 모두 보랏빛깔의 KD 도색으로 재도색되었고, 3000번은 갑자기 동서울 - 인천 등지에서 쓰던 낡고 녹슨 BH116이 투입되어 다니기 시작했다. 또한 선진고속관광의 로얄크루져2, 유니버스 CNG 차량도 같이 매각되었다.[23]
경기고속 합병 2달만에 수유리발 철원행 일반직행 노선은 수유리 - 포천 합병 후 구간이 단축되어 포천 - 동송/와수리만 운행하다가,[24] 소리 소문없이 폐선되었다. 대신 동서울발 일반직행 노선과 수유리발 무정차 노선이 증편 운행 중이었으나 KD 운송그룹 각지로 BH116이 이동하고 유니버스가 수출되는 등, 차량이 줄어들고 운행횟수가 대거 감편되어서 예전보다 못하다.
舊 선진고속이 2010년 2월을 끝으로 폐업했지만, 2018년 9월부터 舊 영종여객 - 舊 선진고속과 별개로, 안산시 시내/시외버스 업체인 태화상운이 자사 시외부를 선진네트웍스에 매각하면서 선진고속이 새로 생기게 된다.
3. 운행 노선
3.1. 경기고속 인수 전 까지 운영했던 노선
- 3000 신철원 - 운천 - 양문 - 포천 - 내촌 - 장현 - 동서울
- 동송 - 관인 - 운천 - 양문 - 포천 - 의정부 - 노원역 - 어린이대공원 - 동서울
- 와수리 - 신철원 - 운천 - 양문 - 포천 - 의정부 - 노원역 - 어린이대공원 - 동서울 [25]
- 동송 - 관인 - 운천 - 양문 - 포천 - 송우리 - 의정부 - 수유리[26]
- 와수리 - 신철원 - 운천 - 양문 - 포천 - 송우리 - 의정부 - 수유리[27]
- 동송 - 관인 - 운천 - 양문 - 포천 - 직통 - 수유리(무정차)[28]
- 와수리 - 신철원 - 운천 - 양문 - 포천- 직통 - 수유리(무정차)[29]
3.2. 중간에 타 사로 양도하거나 폐선시킨 노선
3.2.1. 시외버스
- 3100: 의정부 - 장암주공 - 노원역 - 강남역 - 양재역 - 가락시장 - 경원대 - 야탑역, 성남[30]
- 3200: 의정부 - 덕계리 - 동두천 - 초성리 - 전곡 - 연천[31]
- 3300: 연천 - 전곡 - 동두천 - 덕계리 - 의정부 - 노원역 - 어린이대공원 - 잠실역 - 가락시장 - 경원대 - 야탑역, 성남[32]
- 포천 - 광주[33]
- 도평리 - 이동 - 일동 - 포천 - 송우리 - 의정부 - 수유역[34]
- 와수리 - 신철원 - 운천 - 양문 - 포천 - 송우리 - 의정부 - 노원역 - 어린이대공원 - 잠실역 - 가락시장 - 경원대 - 성남[35]
3.2.2. 시내버스
선진시내버스, 포천교통, 연천교통 항목의 노선 상당수[37] .
4. 특징
- 2006년부터는 관광부도 운영했다. 바로 선진고속관광인데, 선진고속관광은 선진고속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여전히 선진네트웍스 계열이다. 청학고, 와부고, 대진대의 빨간색 셔틀버스를 선진고속관광이 운행중이다. 다만 예전에는 직영차 위주였으나, 이후 지입차 위주로 많이 변했다. 예전에 선진고속 차량에서 볼 수 있었던 경포대 셔틀버스 광고가 이 회사의 것이다. 또한 일부 차량이 선진고속 노선에 지원운행을 가기도 했다.
- 2006년부터 전 차량에 알코아 휠을 장착했다.
- 특유의 무지개 도색은 선진버스 70, 90번을 비롯한 시외버스 전용 도색으로 정작 김포에서는 2007년을 끝으로 1001번에서 다니던 BH116이 직행좌석으로 재도색 하면서 전멸했다.
- 여기서 쓰던 차량들, 특히 BH116 상당수는 많이 감차되어 타지로 이동했는데 경기고속, 대원고속이 BH116을 많이 운행했기 때문에 혼용해도 문제가 없었기 때문. 32, 3300 같은 의정부권 시외버스에 투입되기도 했고[38] , 주로 수원권(광교)에서 많이 볼 수 있었고 해당 영업소의 광역급행버스에도 투입되었다. 다른 차량과는 달리 열 수 있는 창문이 특징이었다. 2016~2018년 사이에 모두 대차/말소되었다.
- 차적은 시내부가 72바 1000~1200으로 부여받았고, 시외부는 72바 6001~6196으로 부여받았다. 다만 시내부 차적은 1998년에 포천교통으로 포천시내 노선을 분리시키며 일부가 77아 11##번대로 변경되었고, 다시 2002년에 일부가 77아 3500~3551로 변경되었다. 현재 존재하는 차번은 명진여객 소속의 72바 1004, 1012, 1142~1148과 선진시내, 포천교통의 72바 10##~11##면허 정도에 불과하다. 시외부 차적의 대다수는 경기고속에 인수합병되면서 소멸되고, 경기도 광주시 차적으로 세탁되었다.(77바 63##~64## 일부). 다만 일부는 선진시내로 3100번을 양도하거나, KD 피인수 후에 소수 면허를 선진시내가 회수해가는 과정에서 선진시내버스로 넘어가서 살아남았다[39]
- 05, 08년에 에어로 스페이스 전중문형 차량을 뽑았지만 그래놓고 실제 운행할 때는 철판으로 중문 계단을 덮고 다녔다. 결국 이 때 막아둔 중문은 이 차량들이 선진시내버스와 KD에 투입되면서 제대로 사용하게 된다. 비슷한 짓을 선진시내버스에도 하고 있는데, 투 도어 카운티를 이렇게 운행하고 있다.[40]
- 2007년 통합 행선판이 나오기 이전까지 39, 72번은 영종여객 시절처럼 기존 시외버스 스타일의 경유지 표기를 보조행선판에 했다.
5. 역대 운행차종
5.1.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41]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디젤[42]
- 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천연가스버스[A]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Ⅱ 천연가스버스
5.2.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43]
- 현대 글로벌900 디젤[44]
- 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디젤[45]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천연가스버스[A]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46]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천연가스버스[47]
- 현대 에어로 하이스페이스 디젤
5.3. 기아자동차
- 아시아 P9AMC 디젤
- 아시아 AB185F 디젤
- 기아 AM927 디젤
5.4. 동아자동차
6. 같이보기
- 대양운수 : 1970년 8월 13일에 계열분리
- 신공항여객 : 1998년 6월 23일에 영종도 노선만 분사.
- 포천교통 : 1998년 5월 16일에 포천시 노선만 분사
- 연천교통 : 2002년에 연천군 노선만 분사
- 선진시내버스 : 2005년에 시내사업부가 분사.
- 선진고속관광[49] : 2010년에 선진그룹 잔류.
- 경기고속 : 2010년에 선진고속을 인수합병 했다.
[1] 1996년 이전 면허체계는 경기5차 1200~1499호를 사용했고, 6500번대 차량이 소수 있었다.[2] 1996년 이후에는 시내버스는 경기 72바 10##~11##호, 시외버스는 60##~61##호대로 바뀌었다.[3] 여기서 상봉동은, 상봉터미널을 의미한다.[4] 그 과정에서 차량은 성남시 면허(경기 70 아 13##번대.)로 전환되었다.[5] 77아 10##~11##[6] 보통 영종여객은 분리된 계열사를 자회사로 두었지만 신공항여객과는 그 이후에도 커넥션이 있었는지는 불문이다. 신공항여객이 일찍 도산해서 정보가 없기 때문.[7] 72바 1004. 1-2번 양도/양수과정에서 이동.[8] 77아 3500~3555. 구 영종여객 시절의 시내버스 면허는 다수가 포천교통과 선진시내버스, 소수는 명진여객, 경기버스, 경기여객[7] 에 흩어져있는 상황.[9] 명진여객에서 다니는 면허는 72-1에서 넘어왔다. 72바 1012, 1142, 1143, 1144, 1145, 1146, 1147, 1148가 해당.[10] 인수당시 KD 운송그룹과 선진네트웍스가 경합을 벌이고 있었는데, 당시 버스 업계엔 '''다른 놈에게 회사를 넘겨도 허명회에게만은 넘기지 않겠다'''는 분위기가 만연했다. 그래서인지 선진네트웍스가 인수에 성공했다. [11] 명진여객 차량도 포천교통이 가져왔다. 포천교통 소속의 72바 12XX~13XX번대 차랑이 그 것.[12] 다만 법인 자체는 2004년에 산정교통이라는 유령회사로 이미 세워진 상황이었다.[13] 와수리 - 신철원 - 운천 - 양문 - 신북 - 포천 - 의정부 - 장암주공 - 도봉면허시험장 - 어린이대공원 - 잠실역 - 가락시장 - 경원대 - 야탑역 운행. 희대의 장거리 노선으로 BH115E 가지고 1일 2왕복.[14] BH115E는 04년식으로 전조등이 구형으로 개조되었다. 차번은 72바 6150, 6152, 6154, 6158, 6188~6190[15] LD는 72바 6089 1대 외에도 여러 대가 있었다.[16] 포천 이북 구간은 일동, 이동, 도평리 정차.[17] 의정부터미널 - 장암주공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강남역 - 가락시장 - 경원대 - 야탑역[18] 의정부터미널 - 덕계리 - 동두천 - 초성리 - 전곡 - 통현리 - 연천.[19] 그 과정에서 에어로 스페이스 LD는 2대 빼고 모두 3100으로 이동했다.[20] 노선만 매각했다.[21] 같은 시기에 8600번에 완전히 동일한 사양의 차량이 투입되기도 했다.[22] 1001번을 모두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교체하면서 내려온 차량. 일부는 3100번에 투입.[23] 다만 BH116 일부와 BH115E는 다시 선진네트웍스가 회수해갔고 BH116은 3100번에 투입, BH115E는 중고차로 매각되고 면허만 살려서 송파상운 출신 BS106L로 교체 했다. 로얄크루져2와 유니버스는 운행에서 이탈한 BH115E, BH116 차량들을 대신해서 넘어갔다고 보면 될 듯.[24] 그리고 이 노선에는 경기도 시외버스 최초로 중형 차량이 투입되었다.[25] 현재 3001(동송), 3001-1(동송), 3002(와수리)로 운행 중. 다만 운행 횟수는 감편되었으며 3001번은 포천 이후로 고속도로를 타는 3001-1번을 분리했으며, 3002번은 의정부(장암주공) 이후로 바로 동서울로 간다.[26] 송우리, 의정부터미널, 장암주공 경유 계통. KD 인수후 3006으로 바뀌고 포천으로 단축되었다가 2010년 가을에 폐선.[27] 송우리, 의정부터미널, 장암주공 경유 계통. KD 인수후 3007로 바뀌고 포천으로 단축되었다가 2010년 가을에 폐선.[28] 송우리, 의정부, 장암주공 무정차 통과. 현 3003[29] 송우리, 의정부, 장암주공 무정차 통과. 현 3005[30] 2008년 선진시내 이관 및 직행좌석 전환[31] 2007년 폐선[32] 2008년 경기고속 이관, 2016년 4월 6일에 의정부 - 잠실역 구간이 노원역, 어린이대공원 경유에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강변북로 경유로 변경, 2020년 4월 20일에 연천 - 성남 구간에서 연천 - 수서역 구간으로 단축[33] 2007~2008년에 폐선. 무려 선진고속관광에서 쓰던 하이 스페이스가 투입되었다.[34] 2007년에 폐선, 따라서 138-5가 증차됐다.[35] 2007년에 폐선. 현재 다니는 시외버스 3007번과 유사.[36] 39-1번은 2020년 1월 2일에 39번이 연천으로 연장하면서 39번에 통합하는 형태로 폐지되었다.[37] 연천교통의 39번, 39-1번, 39-4번은 2007년 12월에 KD 운송그룹의 평안운수로 이관하였다[36] .[38] 3300번에서 쓰던 디젤 BH116이 모두 타 노선으로 이동하면서 2010년에 3005, 3006번 출신차들이 모두 이동했다.[39] 이후 일부는 포천교통으로 한번 더 이적.[40] 다만 08년식 1대(72바 6195)는 3100에서 다니다가 2011년에 선진고속관광으로 이동했고, 그 과정에서 진짜로 중문을 말끔하게 없애버렸다. #. 재밌는 것은 선진시내도 이를 보고서 중문을 아예 없애버리는 짓을 하고 있다는 점.[41] 선진시내가 분리되고 1대가 남았으나 2007년에 말소처리했다.[42] 시내부 소속차량은 선진시내로 이동, 전문형(유로3) 차량은 전부 중고차로 매각했다.[A] A B 전 차량 선진시내로 양도.[43] 3대 중 2대는 삼영운수에 1대는 돌다리교통에 매각[44] 72, 660, 660-1번에서 운행. 선진시내로 전 차량 양도.[45] 2005년식. 김포선진 출신으로 2007년을 끝으로 교체.[46] 2002년식. 철원 - 수유역 고정차량이지만 말년에는 3000 운행도 했다. 2007년을 끝으로 교체.[47] 1대는 선진고속관광으로 양도[48] 1980년식. 해당 차량은 1988년에 BS105 시외직행형으로 대차되었다.[49] 선진고속과는 별개의 업체이나, 본사 소재지(의정부터미널)의 동일, 선진고속의 관광부 취급이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거기서 거기. 경복대학, 대진대학교 통학버스를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