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쇄

 


1. 개요
2. 일본의 옥쇄(ぎょくさい)


1. 개요


玉碎. 직역하면 옥처럼 (아름답게) 부서진다는 뜻으로, '명예나 충절을 위하여 깨끗이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북제서·원경안전》[1]의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전.

初'永'兄'祚'襲爵陳留王 '祚'卒 子'景皓'嗣. 天保時 諸元帝世近者多被誅戮 疏宗如'景安'之徒 議欲請姓高氏 景皓 曰 "豈得棄本宗 逐他姓? 大丈夫 寧可'''玉碎''' 不能瓦全!" ’景安'遂以此言白顯祖 乃收'景皓'誅之 家屬徙彭城 由是'景安'獨賜姓高氏.

처음에[2]

[3]의 형인 조는 진류왕을 습작하였고, 조가 죽으니 그 아들 경호[4]가 이어받았다. 천보연간, 효정제[5] 여러 제살붙이[6]가 살해되자,[7] 경안의 무리와 같은 길카리[8]가 모여[9] 성을 고씨로 하게 해달라고 청할 것을 의논하였다. 이에 경호가 말하였다. "어찌 제 겨레를 버리고 남의 성을 따를 수 있겠는가? 대장부는 '''구슬처럼 깨질지언정''', 기와처럼 몸이나 보전할 수는 없는 법이다." 그러자 경안이 현조에게 이를 고하였더니, 경호를 붙잡아 주살하고 그 가솔은 팽성으로 귀양보냈다. 이 때문에 경안만 홀로 고씨를 사성받았다.


이러한 고사로부터 '명예나 충절을 위하여 깨끗이 죽음'이란 의미로써 사용되었다. 쉽게 말해 '''짧고 굵게 살기'''. 반대말은 기와처럼 아무 보람(가치)도 없이 몸(목숨)이나 보전한다는 뜻의 와전(瓦全, '''가늘고 길게 살기''').
삼국지연의에서는 76회에서 위군과 오군의 협공으로 고립된 관우손권의 사신으로 온 제갈근으로부터 항복을 권유받자,

'''玉'''可'''碎'''而不可改其白, 竹可焚而不可毁其節

'''옥'''가'''쇄'''이불가개기백, 죽가분이불가훼기절

옥은 부서져도 그 빛을 잃지 않고, 대나무는 불에 탈 지언정 그 마디가 휘어지지 않는다.

라고 답했다.
한국에서는 일본 제국에서 이 단어를 악용했기에 평이 좀 민감해졌다. 단어의 배경에 있는 역사적,정치적 문제 때문. 실생활에서도 들을 일이 거의 없는 표현. 비슷한 예로 천황도 오늘날에는 일본의 군주 호칭과 연관되어 국내에서 금기시하는 이들도 있다.

2. 일본의 옥쇄(ぎょくさい)



일제태평양 전쟁카미카제반자이 어택처럼 대책 없이 자폭하는 행위를 천황을 위한 옥쇄로 미화한 적이 있어서 요즘에는 그다지 뉘앙스가 좋은 단어가 아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자폭''', 개죽음. 태평양 전쟁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일본군을 통해 '옥쇄'란 단어를 알게 되었을 텐데, 당시 일본군은 자폭 외에도 후퇴 없이 끝까지 위치를 사수하다 죽는걸 옥쇄라고 표현하는 등 아무튼 싸우다 '명예롭게 전사'하면 일단 옥쇄라고 여기기도 했다.
하지만 말하자면 일본의 옥쇄는 상명하복하고 불만을 표시 못하는 일본군의 병폐[10] + 상당한 전체주의의 결과물.
일부 일본 극우계 인사들은 위에 소개했던대로 이 옥쇄를 임전무퇴의 사무라이 정신, 일본인들이 깊이 새겨야 할 정신으로 강추(...)하고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군국주의 미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그런데 일반 일본 대중들에게 옥쇄에 대해 큰 거부감은 없다(...). 현재 일본 사람들이 제국주의에 대한 생각 자체를 별로 하지 않는 것도 그렇지만, 옥쇄가 의도 자체는 나쁘지 않기 때문에 일본인 대부분도 딱히 별다른 의도 없이 이것을 자기 생각으로 차용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일본 제국의 병폐를 직시하지 않으려 한 탓에 일본군에 대한 현재 일본인의 인식은 대개 '우리를 대신해 노력하다 돌아가신 분들' 정도 막연한 인식밖에 없다. 물론 그런 성격도 없진 않았다. 당장 군부와 도조 히데키 내각을 경멸하던 일본군들도 정작 미군이 오키나와를 공격하자 자기 나라를 지키겠다고 싸웠으니까.
하지만 전쟁을 일으켜 온갖 잔혹한 짓이 벌어진 면은 그닥 신경쓰려 하지 않았기에 그냥 넘어간다는 것이 문제다. 그래서 몇몇 애니메이션에서는 작가가 극우든 아니든 상관없이, 특공과 자폭 공격 등의 주인공의 옥쇄 정신이 알게 모르게 녹아있다. 가끔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를 보면서 "'''얘네 참 자폭 좋아하네."''' 이런 생각이 들었다면...'''네 그거 맞습니다.''' 일본 전반에 어느 정도 스며들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한자어라 표현이 멋드러져 보일 뿐, 자결을 미화시켜 표현한 것이다. 극우를 넘어 폭주하는 권위주의 집단이나 테러리스트들은 이런 걸 자랑이라고 하고 앉아있다. '''좌우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극단주의 집단들 다에시, 사이비 종교 같은 자들이 부정적인 상황에서의 옥쇄를 좋게 미화한다.'''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1억 옥쇄'''가 있다. 이쪽도 실제 사용된 단어.
그런데 대한민국도 극우 세력들, 대한민국 국군의 적지 않은 수의 간부들[11], 그 외에도 세계 각국 군대의 극단주의자들이 옥쇄를 미치게도 좋아하고 있다(...). 보통 높으신 분들 기득권 혹은 극단주의자들이 이걸 좋아하게 되는 이유가 남이 목숨을 바쳐서 '''자기 것'''을 지켜주기 때문이다. 그 후 이걸 애국심으로 포장만하면 되니깐. 일본제국도 마찬가지로 옥쇄니 자폭이니 강조하는건 대본영인 데 정작 여기에 죽어나간 건 조선인, 본토의 민간인이었다. 즉, '''자기들은 안 죽고 타인에게 강요하니까 이런 소리를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생존자가 있어야 승리가 있다'''. 저런식으로 남에게 무의미한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어떠한 긍정적 결과도 불러올 수 없다.[12]
일본 제국이 맞선 적국 중국의 지도자인 장제스중일전쟁 당시 우한 함락 이후 옥쇄의 각오를 다졌다. 이쪽은 의미없는 죽음을 남에게 강요하지도 않았고 자신의 각오를 다진 말이므로 문제될 것이 없는 올바른 표현 방법이다.
화기 등장전 냉병기가 주무기이던 시절에는 사기진작의 방법으로도 사용되기도 했다. 필사즉생행생즉사라는 오자병법의 말도 있는 것처럼 냉병기 시절에는 사기로 전세를 뒤엎는 것도 공공연히 있던 일이고, 목숨을 건 특공은 병법의 하나로 취급되기도 했다. 다만 어디까지나 취급일 뿐이고 대부분의 경우는 그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시도하는 것이다. 사면초가의 경우처럼 포위당해 몰리면 옥쇄는 커녕 모랄빵으로 탈주행렬이 이어지는 경우가 다수. 이러한 필사의 공격을 일본제국은 냉병기도 아닌 화기 시대에, 시도 때도 없이, 하지 않아도 될 경우나 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조차 옥쇄를 부르짖으며 시도했으니 옥쇄라는 단어의 이미지가 괜히 안 좋은 것이 아니다.
인터넷에서는 '옥쇄만이 있을뿐!'이라는 대사로 유명한 미즈키 시게루의 만화 '총원 옥쇄하라'의 짤방이 유명하다.
가상매체에서 찾아보면 Warhammer 40,000인류제국, 카오스 신과 그 군세들(카오스 데몬,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카오스 컬트)과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테란 연합과 아크튜러스 멩스크 집권 당시의 테란 자치령, 아몬의 세력(혼종, 뫼비우스 특전대, 탈다림, 아이어 무리, 황금함대[13]), 워크래프트 시리즈굴단, 아서스 메네실, 가로쉬 헬스크림실바나스 윈드러너가 여기에 해당된다. 가만 보면 실제사례랑 마찬가지로 '''사상을 주입시키는 계층과 실제 죽어나가는 계층이 서로 다르고 카오스 신의 세력 중 하나인 헤러틱 아스타르테스의 경우, 대체적으로 악마를 제외한 非(비)아스타르테스 카오스 숭배자들을 옥쇄시키는 데 본인들 중 일부의 경우 카오스 신을 위해서 자신이 옥쇄하거나 자신보다 아래인 하급자를 옥쇄시키거나 아니면 지신의 상관을 하극상의 일환으로 옥쇄시키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인류제국에게 약간의 변명을 하자면 옥쇄까지 안하면 전쟁을 할 수 없는 상대만 남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14] 그리고 프로토스는 태생부터 호전적인 종족이라 누가 강요하지 않아도 싸워야 할 상황이 오면 신분을 불문하고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직접 끝까지 싸워 옥쇄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1] 북제서 제41권, 열전 제33.[2] 예전에 초영(初永)을 '초영연간'으로 번역하였지만 실제로 초영이라는 연호는 이때 쓰인 적이 없었으므로 이것은 틀린 번역이다.[3] 대나라의 마지막 임금 소성황제 탁발십익건의 아들 진류왕(陳留王) 건(虔)의 증손자로 경안의 아버지다.[4] 따라서 경호는 경안의 종형제이다.[5] 예전에는 '동위의 원제와'로 번역되었지만 원문의 원제元帝는 원씨 황제라는 뜻이고 동위에는 원元을 시호로 받은 황제가 없으니 이 또한 틀린 번역이다.[6] 촌수가 가까운 겨레붙이를 이른다.[7] 효정제문선제 항목 참고. 고양은 위의 황족인 하남원씨를 700여명이나 죽이고 장수에 버렸다. 하남원씨로서는 후술할 개성을 해서라도 생존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을만큼 무서운 일이었다.[8] 촌수가 멀은 겨레붙이를 이른다.[9] 유송부터 선양을 하면 옛 종친을 다 죽였는데 왜 하남원씨는 길카리가 당장 안 죽었는지 연구 바람.[10] 이 성향은 전후 일본인이 국가에 대한 신뢰를 잃고 개인주의가 강해지면서 거의 사라졌지만 아직도 일본의 사회에 은근히 남았을 지경이다. 제국주의 시대엔 얼마나 심했을 지 짐작이 간다. '''사실 이러한 분위기는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오히려 대한민국, 북조선에 남았다. 그야말로 최악의 일제잔재인 셈.''' 징병제 국가인 터라서 더더욱 사라지지 않는 셈이다.[11] 다만 옥쇄를 강조하는 대상은 대한민국 국군 전체가 아니라 병 계급(한국군에서 병 계급은 전원 징집병이다.)에 해당되는 군인들 한정이다. 그러니까 내 자식은 빼고 남의 자식들한테만 죽으라고 하는 것이다.[12] 조지 패튼이 "나라를 위해 죽지마라, 적이 나라를 위해 죽게 만들어라" 라고 한게 괜히 그런게 아니다. 결국엔 끝까지 살아남는 쪽이 이기는게 전쟁이기 때문이다.[13] 다만 황금함대의 경우 아몬에 의한 칼라의 오염 이후부터 아몬이 중추석에 의해 공허로 추방되기 전까지 한정이다.[14] 그냥 발라버릴 수 있는 상대들은 이미 전부 멸망시켰다. 게다가 점령당하거나 포로로 끌려가면 차라리 죽는게 나은 상황만이 기다리고 있다. 타이라니드의경우 모조리 산채로 양분이 되고 행성 자체가 더이상 생명이 살 수 없는 땅이 되고 악마들이나 드루카리의 경우는 최소 온갖 고문을 받고 산채로 건축물위 재료로 쓰이거나 옼스나 네크론같은 다른 대부분의 팩션들도 지면 몰살이기 때문에 옥쇄하는게 차라리 살아남을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존재한다. 타우제국이 그나마 포로들을 자신들의 일원으로 받아들이지만 나중에 인류제국이 다시 탈환할 경우 이단낙인과 함께 사형만이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