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진가

 

勇進歌
1.1. 가사
2.1. 가사
3. 조선인민군군가 《유격대행진곡》


1. 독립군군가


원래는 1908년 일본의 가미나가 료게츠(神長瞭月)가 작곡한 일본의 유행가 하이카라부시(ハイカラ節)다.[1] 심각한 노래가 아니라 세태를 가볍게 묘사한 유행가이다.
이것을 독립전쟁 초기 독립군에서 용진가라는 이름으로 개사해 군가로 불렀다. 북한 버전은 독립군 버전과 가사는 좀 다르지만 많은 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이라서 뒷날의 북한 군가들에서 나타나는 김일성-김정일 찬양은 노골적으로 나오지 않는다.
김대중 대통령2000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평양을 방문했을 때 순안공항에서 북측의 군악대조선인민군군악단이 이 곡을 연주하는 모습이 텔레비전으로 방영되기도 했다. 실제로 북한에서는 이 곡이 외국 국빈 방문 시, 의장대의 등퇴장 시 연주되는 공식 예식 군악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이후부턴 조선인민군가가 더 많이 연주된다. 전주에 있는 신흥중 • 신흥고에서는 학생들이 자기 학교 교가를 북한 군악대가 주악해서 놀랐다고 하는데, 신흥고의 교가 또한 1900년대에 만들어진 것이라 같은 곡조를 다르게 번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1.1. 가사



'''가사'''
1절
요동 만주 넓은 뜰을 쳐서 파하고
여진국을 토멸하고 개국하옵신
동명왕이지란의 용진법대로
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보세
2절
한산도의 왜적을 쳐서 파하고
청천강수 수병[2] 백만 몰살하옵신
이순신을지공의 용진법대로
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보세
3절
배를 갈라 만국회에 피를 뿌리고
육혈포로 만군 중에 원수 쏴 죽인
이준[3]안중근의 용진법대로
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보세
4절
창검 빛은 번개같이 번쩍거리고
대포알은 우레같이 퉁탕거릴 제
우리 군대 사격 돌격 앞만 향하면
원수 머리 낙엽같이 떨어지리라
5절
횡빈 대판 무찌르고 동경도 쳐서
동서 사방 번쩍번쩍 모두 함락코
국권을 회복하는 우리 독립군
승전고와 만세 소리 천지를 진동
6절
혈전 8년 동맹국을 쳐서 파하고
영국 기반 벗어나던 미국 독립군
나파륜[4]화성돈의 용진법대로
우리들도 그와 같이 원수 쳐보세
7절
백두산 상상봉에 깃발이 날고
두만강 둔덕 위에 살기 넘친다
10년 동안 간 칼이 번쩍이는데
금수강산 삼천리에 자유종 운다
후렴
나가세 전쟁장으로
나가세 전쟁장으로
검수도산 무릅쓰고 나아갈 때에
독립군아 용감력을 더욱 분발해
삼천만번 죽더라도 나아 갑시다
가사에 고증오류가 있는데, 이준은 자살한 게 아니고 안중근은 육혈포가 아닌 자동권총을 사용했다.
위의 유튜브는 3절까지 나와있고, 오늘날 남아있는 버전 또한 대부분 3절까지 있다.

2. 대한민국 국군군가


동명의 군가가 하나 더 있다. 뜻은 1번과 동일하지만 독립군이 아닌 대한민국 국군의 군가다.
  • 작사: 예관수 [5]
정확히 말하면, 대한민국 국군의 모태인 국방경비대의 군가다. 이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유명해지게 됐는데, 군인, 민간인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유명해진 것이 특징이다.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학도병이 출정할 때 이 곡이 등장한다.

2.1. 가사



가사
1절
양양한 앞길을 바라볼 때에
혈관에 파동치는 애국의 깃발
넓고 넓은 사나이 마음
생사도 다 버리고 공명도 없다
보아라 우리들의 힘찬 맥박을
가슴에 울리는 독립의 소리
2절
사면이 높이 솟은 우리 백두산
하늘 아래 금수강산 우리의 자랑
돌격 훈련 독립전선에
천하무적 우리 군대 누가 당하랴
보아라 우리 군대 힘찬 행군을
승리의 깃발이 날릴 때까지
위의 영상에선 1절만 불렸으나 악보로써 2절이 전해져 온다. 더불어 2절에서 앞의 두 줄이 '용진 용진 어서 나가자, 한 손엔 총을 들고 한 손엔 칼을', 뒤의 두 줄은 '보아라 휘날리는 태극 깃발을, 천지를 진동하는 승리의 함성'으로 불리기도 했다. 6.25 전쟁 당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와중에 1, 2절이 뒤섞이기도 함으로 변형이 많이 생긴 듯하다.

3. 조선인민군군가 《유격대행진곡》


북한에서는 김일성이 이끌던 조선인민혁명군 시절 때 항일무장투쟁을 한 배경을 바탕으로 가사를 붙였다. 이 노래는 《유격대행진곡》이라 부른다.
유격대행진곡 가사 원문은 다음과 같다. 제국주의 침략자, 혁명정권, 붉은기 등 사회주의적 성격이 두드러지지만 원본인 용진가의 구절을 어느 정도 살린 부분도 존재한다.
[6]
1절
동무들아 준비하라 손에다 든 무장
제국주의침략자를 때려부시고
용진용진 나아가세 용감스럽게
억천만번 죽더라도 원쑤를 치자
후렴
나가자 판가리싸움[7]
나가자 유격전으로
손에 든 무장을 튼튼히 잡고 나갈 때에
용진용진 나아가세 용감스럽게
억천만번 죽더라도 원쑤를 치자
2절
우리 대장 사격구령 한번 웨칠 때[8]
전대동무 겨냥총을 받들어쥐고서
악악소리 웨치면서 몰사격바람에
적의 군사 정신없이 막 쓰러진다
3절
기세맞춰 승리의 함성 드높이
전대동문 무장뺏아 둘러메고서

승전고에 걸음맞춰 노래부르며
어깨춤을 모두 추며 돌아오누나
4절
썩어가는 제국주의 뚜드려부시고
무너진 그 터전에 새 터를 닦고
인민의 혁명정권 건설하고서
붉은기를 휘날리며 나가들가자

[1] 일본어 ハイカラ는 서양식 인물이나 세태를 말하고 節는 노래를 말한다. 우리말로 하면 "서양식 생활 찬가"정도..[2] 淸川江水 隨兵. 강수(江水)는 (강에 흐르는) 강물로 해당 구절은 청천강에 수장된 수나라 병사를 지칭한다. 淸川江 隨 水兵이 아니다.[3] 이준 공과 이준공은 '''전혀 다른 인물'''이다! 이준 공은 링크가 걸려있는 항일애국지사 이준을 지칭하지만, 이준공은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이준용의 별칭이니 주의하자.[4] 미국 독립 전쟁과는 전혀 연관이 없으나, 당대 용진의 대명사이기에 부른다.[5] 국방일보에서는 독립군들이 부르던 군가 곡조에 예관수가 작사만 한 것이라 서술하였다. 해당 기사 [6] 아래의 가사는 북한의 현대조선어사전에 의거한 문화어 표기와 맞춤법에 근거하여 작성되었다.[7] 전쟁의 판세를 뒤집을 만한 대전투를 의미를 뜻하는 문화어.[8] 표준어 표기는 '외칠 때' 이지만, 문화어 표기법 상으로는 '웨칠 때'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