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

 


'''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
ワンダーエッグ・プライオリティ
WONDER EGG PRIORITY

기타 키 비주얼 ▼
[image]'''티저 비주얼'''}}}}}}}}} ||
[image]'''티저 비주얼'''}}}}}}
작품 정보 ▼
'''장르'''
미스터리, 드라마
'''원안'''
노지마 신지
'''각본'''
'''감독'''
와카바야시 신
'''부감독'''
야마자키 유타(山﨑雄太)
'''캐릭터 디자인'''
타카하시 사키(高橋沙妃)
'''총 작화감독'''
'''게스트 캐릭터 디자인'''
히사타케 이오리(久武伊織)
'''컨셉 아트'''
taracod
'''액션 디렉터'''
카와카미 유스케
'''코어 애니메이터'''
코바야시 케이스케
'''프롭 디자인'''
이노우에 하루히(井上晴日)
'''몬스터 디자인'''
코바야시 마이코(小林麻衣子)
'''본체만체 디자인 / 애니메이션'''
오오토리(大鳥)
'''무기 디자인'''
그림을 그리는 PETER(絵を描くPETER)
'''애니메이션 무기 디자인'''
케로리라(けろりら)
'''색채 설계'''
나카시마 카즈코(中島和子)
'''미술 감독'''
후나가쿠레 유키(船隠雄貴)
'''촬영 감독'''
오기와라 타케오(荻原猛夫)
'''3D CG'''
Boundary
'''편집'''
히라키 다이스케(平木大輔)
'''음향 감독'''
후지타 아키코(藤田亜紀子)
'''음향 효과'''
후루야 유지(古谷友二)
'''음악'''
DÉ DÉ MOUSE
미토(ミト)
'''음악 제작'''
애니플렉스
'''애니메이션 제작'''
CloverWorks
'''제작'''
WEP PROJECT
'''방영 기간'''
2021. 01. 13. ~ 방영 중
'''방송국'''
[image] 니혼 TV(AnichU) / (수) 01:29[13]
[image]
(수) 02:00LIVE
(금) 00:30TV
'''편당 방영 시간'''
23분
'''화수'''
12화 예정
'''국내 심의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관련 사이트'''
,
}}}
1. 개요
2. 방영 전 정보
2.1. PV
3. 줄거리
6. 주제가
7. 회차 목록
8. 평가
9. 미디어 믹스
9.1. BD&DVD
10.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원안과 각본은 드라마 각본가노지마 신지가 맡았으며[1], 감독은 와카바야시 신이 맡았다. 제작사는 CloverWorks. 방영 시기는 2021년 1월. 니혼 TVAnichU 시간대에서 방영된다. 공식에서 미는 약칭은 원에그(ワンエグ).[2]
국내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동시방영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퍼니메이션에서 배급하고 있다.

2. 방영 전 정보


'''프로듀서도 데뷔작, 감독도 데뷔작, 캐릭터 디자이너도 데뷔작, 주인공 성우도 데뷔작,[3] 각본가도 애니메이션은 처음'''이라는 매우 모험적인 작품이다. 다만 각본가는 애니 쪽 경력은 없지만 드라마와 영화 쪽 각본 경력이 30년이나 되는 베테랑이고[4] 프로듀서도 제작진행 경력이 길고, 감독은 연출 경험이 많으며, 캐릭터 디자이너도 애니메이터 경력이 길다. 완전히 신인들만 기용한 건 아니고 중책을 맡은 게 처음이라는 것이다. 특히 원안/각본가인 노지마 신지가 드라마계 및 대중적 인지도가 매우 높은 인물이라 이 사람이 애니메이션 각본을 썼다는 정보가 공개되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애니메이터 인맥이 많은 제작진행 우메하라 쇼타(梅原翔太)가 첫 프로듀서를 맡았고[5] PV도 좋은 작화를 보여주면서 퀄리티에 대한 기대가 크다.
와카바야시 신 감독은 장편 감독 경력은 없다는 불안감은 있으나 진격의 거인 18화, 에로망가 선생 8화, 22/7로 작화나 연출에서 실력이 있음을 검증했으므로 적어도 자신이 직접 연출하는 에피소드는 괜찮은 영상을 보여줄 것이다. 프로듀서 우메하라 쇼타 말로는 와카바야시 신은 대단한 실력이 있는 연출가이며 자신이 꼭 감독으로 키워주려고 노력했는데 이 작품으로 겨우 실현되었다고 한다.
캐릭터 디자인의 타카하시 사키(高橋沙妃)는 무명이지만 우메하라 쇼타가 러브라보 제작 당시 일할 때 만나서 그 실력을 알아보고 중요한 장면을 도맡아 시키는 비장의 애니메이터라고 한다. 부감독 야마자키 유타(山﨑雄太)도 신인이지만 유루캠△의 연출 담당 에피소드로 좋은 평을 받은 적이 있다. 그리고 일상 및 드라마물에서 강세를 보이는 애니메이터인 코바야시 케이스케가 비중 있게 참가했고 또한 과격한 액션 전문인 카와카미 유스케가 액션 디렉터란 직함으로 참가했다. 애니메이터도 대부분 20대 ~ 30대의 젊은 인물들 위주로 참가하고 있다. 각화 연출가도 우시지마 신이치로를 제외하면 대부분 신인이 한다. 심지어 이 작품이 연출 데뷔작인 연출가들이 많다.

2.1. PV


[kakaotv(413775917, width=100%)]
'''티저 PV'''

'''PV 제1탄'''
[kakaotv(415637362, width=100%)]
'''캐릭터 PV 오오토 아이 ver.'''
[kakaotv(415638353, width=100%)]
'''캐릭터 PV 아오누마 네이루 ver.'''
[kakaotv(415712116, width=100%)]
'''캐릭터 PV 카와이 리카 ver.'''
[kakaotv(415712161, width=100%)]
'''캐릭터 PV 사와키 모모에 ver.'''

'''방송 직전 PV'''

'''애니플러스 PV'''

3. 줄거리


각본가 노지마 신지가 애니메이션 세계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고민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소녀들의 이야기.

14살의 소녀 오오토 아이는 늦은 밤 산책을 하던 도중 마주한

정체불명의 목소리에 이끌려 '에그'를 손에 넣는다.

'미래를 바꾸고 싶으면'

'지금은 그저 선택해라'

'자아, 스스로를 믿고'

'에그를 깨라'

에그를 깬 후 아이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5. 설정




6. 주제가


'''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 여는 노래'''

'''TV ver.'''

'''Full ver.'''
'''제목'''
둥지를 떠나며(巣立ちの歌)[6]
'''노래'''
아네모네리아(アネモネリア)
오오토 아이 (CV. 아이카와 카나타) · 아오누마 네이루 (CV. 쿠스노키 토모리)
카와이 리카 (CV. 사이토 슈카) · 사와키 모모에 (CV. 야노 히나키)

'''작사'''
무라노 시로(村野四郎)
'''작곡'''
이와카와 사부로(岩河三郎)
'''편곡'''
아라하타 료헤이(荒幡亮平)
'''콘티'''
와카바야시 신
오오야마 진(大山 神)
'''연출'''
오오야마 진(大山 神)
'''작화감독'''
타카하시 사키(高橋沙妃)
가사 ▼
'''花の色 雲の影'''
하나노이로 쿠모노카게
꽃의 색깔 구름의 그림자
'''懐かしい あの想い出'''
나츠카시이 아노오모이데
그리워라 그 추억
'''過ぎし日の 窓に残して'''
스기시히노 마도니노코시테
지난 날의 창문에 남기고서
'''巣立ちゆく 今日の別れ'''
스다치유쿠 쿄오노와카레
둥지를 떠나는 오늘의 작별
'''いざさらば さらば先生'''
이자사라바 사라바센세
그럼 안녕히 안녕히 선생님
'''いざさらば さらば友よ'''
이자사라바 사라바토모요
그럼 안녕히 안녕히 친구야
'''美しい 明日の日のため'''
우츠쿠시이 아스노히노타메
아름다운 내일을 위하여
'''風の日も 雨の日も'''
카제노히모 아메노히모
바람이 부는 날도 비가 오는 날도
'''励みきし 学びの庭'''
하게미키시 마나비노니와
격려했던 배움의 뜰
'''かの教え 胸に抱きて'''
카노오시에 무네니이다키테
그 가르침 가슴에 안고
'''巣立ちゆく 今日の別れ'''
스다치유쿠 쿄오노와카레
둥지를 떠나는 오늘의 작별
'''いざさらば さらば先生'''
이자사라바 사라바센세
그럼 안녕히 안녕히 선생님
'''いざさらば さらば友よ'''
이자사라바 사라바토모요
그럼 안녕히 안녕히 친구야
'''輝かしい明日の日のため'''
카가야카시이 아스노히노타메
빛나는 내일을 위하여
'''1절 가사 출처: '''
'''원어 가사 출처: LYRICAL NONSENSE'''

'''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 닫는 노래'''

'''TV ver.'''

'''Full ver.'''
'''제목'''
Life is 사이다(Life is サイダー)
'''노래'''
아네모네리아(アネモネリア)
오오토 아이 (CV. 아이카와 카나타) · 아오누마 네이루 (CV. 쿠스노키 토모리)
카와이 리카 (CV. 사이토 슈카) · 사와키 모모에 (CV. 야노 히나키)

'''작사'''
미야지마 준코(宮嶋淳子)
'''작곡'''
아키바 코다이(秋葉広大)
'''편곡'''
코마츠 카즈야(小松一也)
'''아트'''
이노우에 하루히(井上晴日)

7. 회차 목록



'''회차'''
'''제목'''[7]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회
子供の領分
아이들 세상
와카바야시 신
타카하시 사키
(高橋沙妃)
日: 2021.01.13.
LIVE: 2021.01.13.
TV: 2021.01.15.
제2회
友達の条件
친구의 조건
야마자키 유타
(山﨑雄太)
이시다 카즈마사
(石田一将)
日: 2021.01.20.
LIVE: 2021.01.20.
TV: 2021.01.22.
제3회
裸のナイフ
발가벗은 나이프
요네모리 유키
(米森雄紀)
히사타케 이오리
(久武伊織)
케로리라
(けろりら)
日: 2021.01.27.
LIVE: 2021.01.27.
TV: 2021.01.29.
제4회
カラフル・ガールズ
컬러풀 걸스
코무로 유이치로
(小室裕一郎)
호리 유시
(堀 裕津)
日: 2021.02.03.
LIVE: 2021.02.03.
TV: 2021.02.05.
제5회
笛を吹く少女
피리 부는 소녀
우시지마 신이치로
스케가와 히로히코
(助川裕彦)
日: 2021.02.10.
LIVE: 2021.02.10.
TV: 2021.02.12.
제6회
パンチドランク・デー
펀치 드렁크 데이
시노하라 케이스케
(篠原啓輔)
야마모토 유스케#애니메이터 山本裕介
(山本ゆうすけ)
야마자키 준
(山崎 淳)
日: 2021.02.17.
LIVE: 2021.02.17.
TV: 2021.02.19.
제7회
14才の放課後
14살의 방과 후
코바야시 마이코
(小林麻衣子)
鄧 佳湄
日: 2021.02.24.
LIVE: 2021.02.24.
TV: 2021.02.26.
제8회
明るい友達計画
밝은 친구 계획



日: 2021.03.03.
LIVE: 2021.03.03.
TV: 2021.03.05.
제9회




日:
LIVE:
TV:
제10회




日:
LIVE:
TV:
제11회




日:
LIVE:
TV:
제12회




日:
LIVE:
TV:

8. 평가



전반적으로 높은 영상미를 선보여 화제를 모았다. 작화진부터 코바야시 케이스케, 카와카미 유스케, 야마모토 유스케, 야마모토 켄, 모리 케이스케, Moaang, 요시하라 타츠야, 사토 토시유키, 치나, 하야시 이사오, 케로리라(けろりら)[8], MYOUN, 나카무라 하야테(中村 颯), 이마오카 노리유키(今岡律之)[9], 코바야시 마이코(小林麻衣子) 등 당대 신예 에이스 애니메이터들을 다수 섭외했다. 와카바야시 신 감독은 경력 상 이 정도로 애니메이터 인맥이 많지 않으므로 와카바야시와 같이 여러번 일했던 코바야시 마이코를 빼면 대부분 캐스팅을 담당한 우메하라 쇼타 프로듀서의 인맥과 섭외력이 빛나는 부분이다. 우메하라 쇼타 프로듀서가 한때 동화공방에서 일했기 때문에 CloverWorks 작품임에도 타카하시 사키(高橋沙妃), 니이누마 타쿠야(新沼拓也), 야마모토 유스케, 야마자키 준(山崎 淳) 같은 동화공방 소속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했다. 전체적인 화풍은 교토 애니메이션 느낌이 난다는 평이 많다. 이는 와카바야시 신 감독이 원래부터 야마다 나오코를 존경했으며 22/7호리구치 유키코와 같이 일하면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4화에서는 호리구치 유키코가 협력으로 참여했다.
이렇게 실력있는 애니메이터가 많아서 일상적인 연기 작화의 리얼함은 기본이고 액션 작화도 배경까지 움직이는 최고 난이도의 작화가 매 에피소드마다 나오는 수준이다. 이런 수준급 애니메이터들의 작화와 연출의 조화는 가히 충격적이다. 예컨데 카와이 리카의 심정에 따른 움직임의 차이를 대조해 보여주기 위해 카나다 요시노리처럼 작화 매수를 빼거나, 카나다 플레어가 나오거나, 임팩트 프레임이 밥 먹듯이 나오거나 하는 등.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그림체나 촬영, 이펙트 등의 정지 화면의 미에 가려져 작화에 대한 분석 같은 것은 거의 없지만 영미권에서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배경 미술과 촬영도 좋은 평을 받는데, 원래 감독이 미술과 촬영으로 좋은 평을 받던 사람이다.
플롯 면에서는 원안자 노지마 신지가 드라마에서 써왔던 작품 스타일을 그대로 보이고 있는데, 우선 인물 설정과 서사 구조가 애니메이션보다는 드라마에 가까운 구성을 보이고 자살, 학교폭력, 집단괴롭힘, 성추행, 스토커, 베르테르 효과, 외모지상주의 등의 사회적 문제나 인물들의 1대1 대화를 조명하는 등 노지마가 써왔던 작품들의 여러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초현실적인 공간인 에그 세계를 대입하여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코즈믹 호러, 상징주의적 분위기가 강하다. 다만 노지마 신지는 전성기 이후로는 슬럼프라는 평이 많고 서사 구조가 일반적인 TV 애니메이션과 완전히 다른 길을 가고 있어서[10] 이에 대한 우려도 있다.
연출도 실사처럼 주로 범죄자 같은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하는 부분 모자이크를 학교폭력 가해자에게 적용한다던지 피 묻은 도끼가 던져지는 장면, 피사체를 최대한 크게 담아서 90년대 공포 영화식 느낌을 주려는 게 보인다. 자주 보이는 앵글을 눈높이에 맞춰 위압감을 연출하는 아이 레벨 쇼트(eye level shot)나 로우 앵글, 칙칙한 색감의 로우키 톤(low-key tone) 같은 것도 공포 영화 연출 기법 중 하나이다. 이런 기법들은 실사에서는 너무 많이 우려내져서 이제는 지겹다는 평이 대다수인데 이걸 애니메이션에 적용시키니 신선하게 다가와 매우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본체만체 및 원더 킬러의 디자인과 연출이 호러라서 생각 이상으로 어둡고 기괴한 분위기에 놀랐다는 반응이 많다.
또한 오프닝과 엔딩 영상 모두 호평이며, 특히 엔딩이 인상 깊었다는 반응이 많다.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가 '작화나 영상 표현에 흥미가 있는 분들은 반드시 봐야한다.'며 추천했다. #

9. 미디어 믹스



9.1. BD&DVD


'''원더 에그 프라이어리티의 BD'''
[image]
[image]
'''1권: 2021년 3월 24일'''
'''2권: 2021년 4월 28일'''
'''3권: 2021년 5월 26일'''
전체 12화의 내용을 3권에 4화씩 나누어 수록한다. BDDVD가 동시에 발매된다.
특전은 다음과 같다. 1~3권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특전들이 있고, 권별로 따로 들어가는 특전들이 있다.
'''공통 특전'''
캐릭터 디자인 담당 타카하시 사키가 그린 자켓 일러스트
특제 소책자
오디오 코멘터리
작화 콘티집
<colbgcolor=#ffe000> '''권별 특전'''
'''1권'''
전권 수납 케이스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CD VOL.1
SD 캐릭터 스티커
'''2권'''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CD VOL.2
특제 스티커
'''3권'''
오리지널 드라마 CD
특전 영상(논 크레딧 OP&ED/PV&CM집)
특제 일러스트 카드
1권 일러스트 꽃 없는 버전

10. 기타


  • 을 상징으로 쓰는 장면이 많이 나오므로 작중에 나오는 꽃의 꽃말이나 이미지를 알아두면 이해가 편해진다. 관련 기사. 참고로 이 기사는 감독이 트위터에서 직접 리트윗하기도 했다.
  • 장르 사기가 있었는데 첫 PV가 공개되었을 때는 장르를 철저히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에 네티즌들의 반응은 그저 따뜻한 일상물인 줄만 알았다고 한다. 또한 공개된 티저 포스터 또한 미스터리 장르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래서 라프텔에선 이 작품의 장르를 일상으로 표기하고 있었고, 게다가 이후 트위터 홍보 문구에서도 '가슴 따뜻해지는 오리지널 고퀄리티 성장 애니메이션' 이라고 표현했다. 사실상 1화가 방영되기 전까지는 치유물의 탈을 쓰고 있었다고 보는 편이 맞을듯. 그러나 곧 일상 태그가 사라지고 미스터리 태그가 붙었다. 이후 '가슴 따뜻해지는' 이라는 표현은 일종의 낚시성 밈 정도로 자리잡았다.
  • 상술한 해프닝과 밝고 따뜻한 색감이 많이 사용되어 귀여운 화풍이지만 내용 면에서는 괴기하고 잔인한 연출이 많은 배틀물 요소가 있는 작품이라는 데서 이쿠하라 쿠니히코 작품이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 플립 플래퍼즈와 유사하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연출은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으나 스토리나 작풍의 경우는 노지마 신지가 이들보다 한참 먼저 이런 작품을 해왔기 때문에 오히려 노지마가 오리지널에 가깝다. 실사 드라마 쪽에서 노지마 신지는 심각한 작품을 쓸 때는 암울한 분위기와 배배 꼬인 관계, 주역들을 처절히 굴리는 전개로 유명하다.[11] 본작도 심각한 작품인 것이 밝혀져, 노지마 신지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암울한 전개가 나올지 걱정하고 있다.
  • 노지마 신지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코멘트로 언제부터인가 드라마에도 「컴플라이언스」가 물드는 바람에 저같은 작가는 날개가 뜯긴 듯한 기분이라, 자유로운 영역을 모색하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애니메이션 세계를 그릴 수 있게 되어서, 정말 오랜만에 즐거웠습니다.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노지마가 2010년대부터 실사 드라마 현장에 대해 불만이 있지 않았나 추측해볼 수 있는 부분.
  • 2화에서 체육관 배경이 회전하는 액션 신이 있는데 프로듀서 말로는 애니메이터 카와카미 유스케가 배경까지 통째로 다 그려서 돌렸다고 한다. #[12] 이후에도 매 화마다 배경이 움직이는 작화가 군데군데 나오고 있다.
  • 프로듀서의 말로는 3화는 일부러 30대 이하의 젊은 스태프 위주로 구성했다고 한다. # 그리고 3화에 참여한 애니메이터들은 입을 모아서 연출을 담당한 요네모리 유키(米森雄紀)의 실력을 칭찬했다. 참고로 요네모리는 이 작품이 연출 데뷔작이다.
  • 차회 예고는 차회 예고를 표시하는 화에서 비중있게 다룬 인물의 상징색이 배경색으로 나온다. 아이는 노란색, 네이루는 초록색(민트색), 리카는 빨간색, 모모에는 파란색. 차회 예고에 따르면 각 화의 주연은 다음과 같다.
<rowcolor=#0041f1> '''1화'''
'''2화'''
'''3화'''
'''4화'''
'''5화'''
'''6화'''
'''7화'''
'''8화'''
'''9화'''
'''10화'''
'''11화'''
'''12화'''
아이
네이루
리카
모모에
네이루
아이
리카






[1] 1990년대 TV 드라마 쪽에서 히트작을 쏟아낸 각본가로 101번째 프로포즈고교교사로 유명하다. 사회적 이슈를 다룸과 동시에 자극적인 전개로 명성이 높다. 본작이 첫 애니메이션 각본작.[2] 한국 한정으로 마이너하게 "달걀애니"라는 별칭도 쓰이고 있다.[3] 단, 아이카와 카나타의 경우 동분기에 다른 애니메이션에 출연하였다. 이쪽이 데뷔작인지 저쪽이 데뷔작인지는 의견이 갈리는 편. 하지만 '''첫 주연'''으로 따지면 원에그가 첫 주연이다.[4] 때문에 홍보 자체는 노지마 신지를 중점으로 하고 있다.[5] 우메하라 쇼타는 에로망가 선생, 달링 인 더 프랑키스, Fate/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 때 엄청난 수의 실력파 애니메이터를 끌고 와서 작화를 살렸던 경력이 있다.[6] 1965년에 발매된 곡. 일본에서는 주로 졸업식에 자주 쓰이는 노래다.#[7]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8] 이 작품 방영 당시 경력은 별로 없는 신인인데 거의 매화 참가하고 있으며 카와카미 유스케 말로는 이 작품으로 인간의 한계를 넘었다고 한다.[9] 6화 마지막 장면 원화.[10] 이건 의도된 것일 수도 있다. 시나리오 작법 중 하나인 3장 이론에서 황금 비율은 1:2:1(각각 1막, 2막, 3막)인데, 이를 지켜서 오히려 드라마성을 강조하려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11] 노지마 신지는 도모토 츠요시가 맡은 캐릭터를 처절하게 굴리다가 두 번이나 죽인 작가로 악명이 높다.[12] 이런 것을 배경동화라고 하며, 매우 어려운 작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