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image]
'''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駐日本大韓民国大使館

<colbgcolor=#053863><colcolor=#fff> '''발족'''
1949년 1월[1]
'''대사관 승격'''
1965년 12월[2]
'''소재지'''
[image] 1 Chome-2-5 Minamiazabu,
Minato City, Tokyo
'''국가'''
[image] 대한민국
'''대사'''
강창일
'''상급기관'''
[image]대한민국 외교부
'''홈페이지'''

'''SNS'''
주일한국대사관 페이스북
1. 개요
2. 역사
4. 직제
5. 청사
5.1. 영사부
6. 휘하 영사관
7.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8. 여담
9.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일본에 설치한 외교공관으로 여느 대사관과 같이 수도인 도쿄에 위치한다.

2. 역사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로 조선일본 사이에 근대 국제법에 근거한 외교관계가 성립되었으며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같은 해 관원 5명(민영준 공사, 김가진 참찬관, 전양묵, 안길수 서기관, 번역관 외 1명)으로 주일 조선공사관이 개설된 것이 시초이다. 일본을 비롯한 제국주의 열강에게 국권이 침탈되던 과정에서 대한제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한 외교활동을 추진했으나 성과는 미미했고 1905년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상실되면서 같은 해 12월 주일 조선공사관은 폐쇄되었다.
이후 경술국치를 거쳐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36년간의 식민지 생활을 보낸 후, 1945년 일제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고 이어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이듬해인 1949년 1월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를 개설하기로 하고 정한경 초대 대사를 파견한다. 당시 일제의 식민지 착취를 벗어나 독립한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국고는 바닥 난 상태, 당연히 정부는 주일 대표부 사무실을 마련할 자금도 없었다. 1949년 1월, 정한경 대사가 재일동포 사업가인 조규호 씨를 찾아가 500만 엔의 지원을 요청했다. 조 사장은 독립된 모국이 공관 사무실조차 마련할 길이 없다는 호소에 자신의 돈과 친지들로부터 빌린 1,000만 엔을 기부, 도쿄 긴자[3]에 대표부 사무실을 마련할 수 있었다. 당시 고무공장을 경영하던 조규호 씨는 그 뒤에도 공관직원 관사용으로 300만 엔을 추가로 지원하는 등 대표부 운영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렇듯 대표부는 본국의 사정이 워낙 어려워 운영자금마저 재일동포들의 후원금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때마침 일본이 샌프란시스코 조약을 계기로 무상으로 사용중인 외국 공관의 관저 반환을 요구하면서 당시 대표부가 사용중이던 시나가와 관저를 돌려줘야 할 상황이 되자. 이승만 정부는 도쿄 아카사카에 있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의 저택을 돌려받아 공관으로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영친왕에게 의사를 타진한다. 그러나 영친왕은 경제적 궁핍 등으로 한국 정부가 제시한 낮은 매입가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아 저택을 일본인 사업가에게 매각하여 이 계획은 물거품이 된다.[4]
그러다가 방적 사업으로 크게 성공했던 재일동포 서갑호 방림방적(현 방림) 회장이 자신이 소유한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에 위치한 토지와 목조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무상 대여하여 청사를 이전하게 된다. 이 땅이 지금의 대사관 부지인데 현재도 아자부는 일본의 황실 친인척 및 정 재계 인사들이 거주하는 요지 중 요지이다. 1962년에는 서갑호 회장이 부지 및 건물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하면서 국유화된다.
대표부의 부지문제가 안정적으로 해결되고나서 3년후인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면서 대한민국과 일본 간에 정식 외교관계가 맺어져 대표부는 '''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image]
이후 청사와 떨어져 있던 관저 부지와 대사관 근처 부지를 교환하여 청사와 관저를 미나미아자부로 통합하고 1979년에 새 청사와 관저를 완공했다.

3. 대사




4. 직제


  • 정무과ㆍ정무주재관실
  • 경제과ㆍ경제주재관실
  • 영사과
  • 운영지원과
  • 정보관리과
  • 홍보관실
  • 문화원
  • 교육관실
  • 국방무관

5. 청사


[image]
우편번호 : 106-0047
주소 : 〒106-0047 東京都港区南麻布1-2-5
전화번호 : 03-3452-7611
사진 속 청사는 기존에 있던 건물을 허물고 새로 건축한 청사이다. 기존 청사는 1979년 건축되어 노후한데다 장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 직하 지진 대비 및 비상 시 재외국민을 보호하기에는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한 정부가 재건축을 결정하여 2013년 완공했다. 건설하는 3년간 요츠야에 있는 주일한국문화원 건물을 빌려 사용했다.
[image]
이 건물의 특징 중 하나는 미술관을 겸하는 대사관으로서 사실상 미술관 구실을 할 수 있게 건물 내부를 꾸민 점이다. 재외 공관에 미술 작품을 구비하는 것을 넘어 대사관 건물 자체를 새로운 방식의 문화 외교 공관으로 기획한 것은 전 세계 공관 중 주일대사관이 처음. 세계 주요 문화 선진국들이 재외 공관을 자국 문화를 알리는 전시장 역할을 하는 문화 외교의 장으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설계했다고 한다. 건물 자체도 한국 전통 이미지를 형상화해, 정면은 작은 천조각을 이어붙여 만드는 전통 보자기 이미지를 형상화했고, 건물 옆면은 반투명 주름 구조물을 햇빛 가리개로 설치해 얇은 모시치마를 겹쳐 입은 듯한 모습으로 디자인했다. 그리고 7층까지 뚫린 로비를 둘러싸고 ㄷ자형으로 사무공간이 들어서고, 가운데 비운 공간이 다양한 미술작품을 보여주는 감상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기사

5.1. 영사부


우편번호 : 106-0047
주소 :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주소(일본어) : 東京都港区南麻布1-7-32
근처 버스 정류장 : 二ノ橋
전화번호 : 03-3455-2601~3
아자부주반(麻布十番)역 2번 출구에서 남쪽으로 쭉 걸어가다 보면 나온다. 주일대사관의 관할지역은 도쿄도, 치바현, 사이타마현, 토치기현, 군마현, 이바라키현이다.[5]
영사과 건물은 대사관 근처에 있는 민단 중앙본부 건물에 위치 해 있다. 여권이나 비자 등 영사 업무를 보러 갈 때 참고하자.
도쿄 여행을 하다가 여권을 잃어버렸을 경우 먼저 일본 경찰에 여권 분실 신고를 한 다음 이쪽으로 가면 된다.
단순 관광 등 단기체재로 일본에 방문한 사람 뿐만 아니라 일본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각종 민원문서발급, 여권발급 및 수령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6. 휘하 영사관


공관명
연락처
주소
관할지역
홈페이지 주소
주오사카총영사관
06-6213-1401~5
〒542-0086
大阪市 中央区 西心斉橋 2-3-4
오사카부, 쿄토부, 시가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
주나고야총영사관
052-586-9221~3
〒450-0003
名古屋市 中村区 名駅南 1-19-12
아이치현, 미에현, 후쿠이현, 기후현
#
주후쿠오카총영사관
092-771-0461~2
〒810-0065
福岡市 中央区 地行浜 1-1-3
후쿠오카현, 사가현, 나가사키현, 구마모토현, 오이타현, 가고시마현, 미야자키현, 오키나와현
#
주히로시마총영사관
082-568-0502~3
〒732-0805
広島市 南区 東荒神町4-22
히로시마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에히메현, 코치현
#
주요코하마총영사관
045-621-4531~2
〒231-0862
横浜市 中区 山手町 118
카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야마나시현
#
주니가타총영사관
025-255-5555
〒950-0078
新潟市 中央区 万代島 5-1 万代島ビル8階
니가타현, 나가노현, 토야마현, 이시카와현
#
주삿포로총영사관
011-218-0288
〒060-0002
礼幌市 中央区 北二条西 12-1-4
홋카이도
#
주센다이총영사관
022-221-2751~3
〒980-0001
仙台市 青葉区 上杉 1-4-3
미야기현,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
주고베총영사관
078-221-4853~5
〒650-0004
神戸市 中央区 中山手通 2-21-5
효고현, 톳토리현, 오카야마현, 카가와현, 토쿠시마현
#
한국은 일본과 외교관계가 있는 나라 중 가장 많은 영사관을 두고 있다.
주시모노세키총영사관이 1997년 주히로시마총영사관으로 이전했는데 2016년 시모노세키에 주시모노세키'''명예'''총영사관이 설치되었다. 그와 별개로 1989년 가고시마현에는 주가고시마명예총영사가 임명되어 있다. 2017년에는 주시즈오카명예총영사관을 설치하였다. 오키나와는 본토와 떨어져 있는 관계로 영사관 재설치는 힘들더라도 출장소 정도는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6]
그리고 주센다이총영사관은 소재지가 센다이의 중심지 중 중심지라 센다이시청, 미야기현청이 지근거리에 있어서 한일 양국 행정업무를 편하게 볼 수 있다.
영사관에서는 직접 총영사관, 대사관에 가기 어려운 교민들을 위해 순회영사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한국문화 관련 행사(영화 상영, 책읽기 모임 등)를 열기도 한다.

7.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7.2. 철도



8. 여담


2013년 대사관 이전 과정에서 1950년대 한국 정부가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명부와 관련 자료들이 대거 발견되었다.
대사 임명 이후 고구려 왕을 주신으로 모시는 코마 신사[7]를 참배하는 관례가 있다.

9. 관련 문서



[1] 당시 대한민국일본 사이에는 국교가 수립되어있지 않았으므로 주 일본 한국대표부로 공관이 설치되었다.[2] 이 해 체결된 한일기본조약에 따라 정식 외교관계가 맺어지면서 주 일본 한국대표부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3] 와코백화점이다. 긴자를 찍은 사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그 백화점 건물이다.[4] 국내 귀국을 허가 안해주는 이승만 정부에 대한 반감도 작용했을것이다.[5] 카나가와현요코하마영사관이 있으므로 그 곳에 가자.[6] 미국의 경우 주일미군 및 미국인들이 오키나와에 많이 살고 있어서 별도로 총영사관이 있다.[7] 한자로 고려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