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image]
소요사태 진압을 위해 티베트 수도 라싸에 상주하는 인민무장경찰부대[1]
[image]
무장경찰 테러진압 훈련 장면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
People's Armed Police Force

[image]
'''중국 인민해방군 인민무장경장부대기'''
'''창설년도'''
1982년 6월 19일
'''국가'''
[image]중국
'''명령체계'''
중앙군사위원회
'''주임무'''
국가의 정치안전과 사회안정을 수호
'''내부조직'''
무장경찰내위부대, 무장경찰기동부대, 무장경찰해경부대
'''군종'''
무장 경찰, 국가 헌병
'''전력'''
1,500,000명 / 135척(해경)
'''본부'''
중국 베이징 시
'''색상'''
올리브색
'''행진곡'''
<人民武警之歌> | 인민무장경찰가

'''진압'''
신장 위구르 자치구
2009년 우루무치 소요사태
티베트 자치구
2008년 티베트 소요사태
'''모표'''
[image]
'''지휘'''
'''무장경찰사령원'''
왕닝(王宁) 상장
'''무장경찰부사령원'''
양광웨(杨光跃) 중장, 친톈(秦天) 중장, 위지앤화(于建华) 중장
'''정치지도원'''
안자오칭(安兆庆) 상장
'''외부링크'''
무장경찰인터넷(ZH) | 무장경찰군망(ZH)
1. 개요
2. 조직
3. 역할 및 업무
4. 조직 개편
6. 편제
6.1. 무장경찰내위부대
6.2. 무장경찰기동부대
7. 2017년 이전 편제
8.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양회 보안업무.
[image]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휘하의 중국 인민해방군의 병종 중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줄여서 무경이라고 부른다. 명칭상 경찰이라고는 하지만 경찰보다는 군대에 가깝고 실제로도 인민해방군에 속해있다. 정확히는 국가 헌병대+내무군으로 보면 된다.
군사조직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육해공군과 따로 떨어진 독립조직이다. 다른 나라의 군사경찰처럼 인민해방군 군기 유지나 군 사형집행(현역 군인이 사형 판결을 받은 경우 군인에 대한 사형 집행)도 맡는 등 유사시 군사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다른 나라의 경찰 조직과는 확실히 다르며 타 국가의 경찰에 해당하는 중국의 조직은 공안이다.
무경의 병력수는 150만이며, 이는 중국에 이어 2, 3번째로 병력수가 많은 인도군, 미군 보다 많은 병력이다. 즉 중국은 인민해방군을 제외한 무경 숫자만으로도 병력수가 세계에서 가장 많다.
중국의 인민무장경찰부대는 1984년에 중국 공안에서 무장 공안을 분리하면서 창설되었다. 치안 유지라는 점에서 소련 내무군의 영향을 받았지만 조직적인 기원은 다르다. 항일전쟁 시기 마오쩌둥은 홍군을 중앙군-지방군-민병으로 나누는 3결합 군사제도를 고안하였다. 이 시절의 조직이 인민해방군-무장경찰부대-민병 체계로 변화했으며 이 때 14개의 육군 사단이 무장경찰부대로 편입되어 현재 무경의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볼 때 무장경찰부대는 내부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러시아 내무군, 프랑스 국가헌병대의 특성과 지방에 주둔하는 향토 방위부대의 특성을 동시에 갖고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과 무경 부대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부대 단위 명칭도 일반적인 정규군과 다르다. 성급 행정구를 관할하는 '총대(사단)', 무경관구 직속 독립 기동사단, 지방급 행정구를 관활하는 '지대(연대)', 현급 행정구를 관활하는 대대와 그리고 휘하의 중대와 소대로 구성된다. 국경을 관리하는 무경 '변방부대'가 따로 존재하며, 소련 KGB 국경수비대처럼 국경을 방어하는 준군사조직이다. 해안경비대를 포함하는 것도 영향을 받아서 중국 해경도 무경 산하에 존재한다. 최근 조직 개편으로 변방 부대들은 각 무장경찰부대 관구에 흡수되어 더 이상 이 명칭은 사용하지 않는다.
본래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와 인민해방군이 아닌 중국 공산당 정법위원회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의 통제를 받는 준군사조직이었으나 2018.1.1 부로 중국군 지휘체계의 대규모 개편으로 중군위 휘하로 들어왔다. 2018년 1월 11일 시진핑 주석 임석 하에 군기수여식이 열려 정식으로 정규군이 되었다.
소속 자체부터가 공안은 국무원 산하의 공안부 소속이나, 무경은 무장경찰총부라는 자체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다. 무경 총부는 중국 무경관구의 사단들을 관할하며 상장[2]급이 사령직을 맡는데, 인민해방군의 1개 군구에 맞먹는 대조직이다.
대만이 독립선언을 할 경우 인민해방군 본대가 아니라 이들이 대만 점령의 선봉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독립선언을 순전히 "자국 내에 있는 불법적인 무장세력의 반란"으로 간주하여 경찰부대를 투입함으로서 법적으로 미국의 개입을 차단한다는 의도이다. 원래 일종의 예비군이기 때문에 전쟁 투입에 별 문제도 없다.
중국은 법으로 "중국의 무장력은 중국 인민해방군 현역 부대와 예비역 부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그리고 민병[3] 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번외로, 다음은 중국 인민망 기사의 일부이다.
...무장경찰부대 깃발의 상반부에는 팔일군기 문양이 새겨져 있다. 이는 무장경찰부대가 인민군대의 요람에서 탄생했고, 홍색 유전자를 전승함을 의미하며, 무장경찰부대는 당이 영도하는 인민무장 역량의 구성부분임을 나타낸다. 하반부에는 다크 올리브 그린색의 선이 세 줄 있다. 이는 무장경찰부대는 국가정치안보와 사회안전, 해상권리 수호 법 집행, 작전방어의 3대 주요 임무를 맡고 있음을 나타낸다.

2. 조직


중국 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한 이후, 마오쩌둥의 지시에 따라 인민해방군의 작전을 대내적, 대외적으로 구분하여 새롭게 군을 개편하면서 중앙의 인민해방군과 지방군, 민병으로 나누어진 '3결합' 체제로 구분하였다. 이후 문화대혁명 시기를 거치며 공안군은 사라졌으나, 1982년에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가 창설된다.
이후 무경은 황금부대(자원개발, 광산업 담당), 수전부대(수자원과 수력발전소 담당), 교통부대, 건설부대, 소방대를 흡수한다. 중국의 소방대는 모두 이 무장경찰 소속이다.
대테러부대(反恐分队)도 대부분은 무경 소속으로 '내위부대'로 불린다.[4] 특히 북경군구 소속 무경의 설표돌격대는 세계적 수준의 대테러부대로 자랑하고 있다. 대테러부대의 역할은 테러사건이나 무장강도, 인질 난동 등 기존 공안이 담당하기 힘든 중범죄 진압이 목적이다.
또한 국경이나 항구에도 무경이 배치되는데[5], 중국과 비우호적인 국가[6]의 국경선인 경우는 인민해방군 부대가 배치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티베트위구르 지역 등에서는 무경 말고도 인민해방군 소속 부대들이 배치되어 있다.
러시아, 파키스탄, 베트남(관계가 개선된 이후), 북한과의 국경선 부대도 대부분 무경이 관할하는데, 이는 세 국가가 우호국이기 때문이다. 인민해방군이 감축되면서 현역 부대가 무경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탈북자가 급증하면서 기존의 소규모 조직들로는 이를 감당하기 힘들어 감시부대를 더 늘릴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북한 역시 중러 양국을 자극하지 않으려 조선인민내무군을 배치했으나 최근 중국과의 사이가 험악해지면서 중국 국경에 조선인민군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도 기갑포병병력이 포함된 육군 및 인민해방군 해군압록강두만강, 황해 등의 변경에 배치시키며 맞불을 놓았다. 러시아도 FSB 국경수비대를 아직도 북러 국경에 배치 중이지만 이에 긴장했는지 육군을 증원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무경기동부대라는 경보병 사단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99년의 인민해방군 감축 당시 일반 육군 보병사단들이 편입된 경우가 대다수이며, 국내의 긴급한 비상사태 발발시 바로 투입되는 부대다. 이들은 중화기가 대부분 없고 소수의 장갑차와 일반 차량으로 움직인다. 견인포나 중포는 없고 박격포 정도만 보유하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20여년간 실전 경험이 없어 어느 정도 기강이 풀려 있는 것에 비해, 이들은 항상 긴장을 유지하고 국내의 반정부 시위나 상황에 대처해오고 있기 때문에 인민해방군보다 더 엄격한 군기를 유지하고 있는 편이다.
무장경찰 변방부대는 1960년대 초 북중 국경을 확정하기 전 백두산을 둘러싸고 양측이 국경 분쟁을 벌일 당시 두만강과 백두산 일대에서 북한군과 총격전도 벌이는 등 교전이 작게나마 있어 엄연한 국지전을 겪기도 했다.

3. 역할 및 업무


  • 중국 인민해방군에 복무중인 현역 군인 사형수에 대한 총살형 집행 - 군인에 대한 사형 집행은 이들 중 연대급 군비규경부대에서 차출된 군인이 맡게 되며, 민간인은 약물주사형[7]으로만 사형을 받기 때문에 총살당할 일은 없으며[8], 인민해방군 소속 군인이 사형 판결을 받은 경우, 병사부터 간부까지 현역 군인을 사형할 때에는 최대한 군인에 대한 예우를 갖춰서 총살형으로 사형을 집행을 하도록 하고 있다.
  • 폭력시위, 폭동, 반란 등 소요사태 진압
  • 대테러 작전 및 무장강도/ 인질난동 등 중범죄 제압
  • 주요 지도자 경호[9]
  • 국가 주요 시설 경비
  • 중국 인민해방군 군 내부 치안 담당 및 군인에 대한 군 기강 및 단속 - 즉 다른 나라의 군사경찰(인민해방군 공안부대/헌병대)이다. 인민해방군 소속 현역 군인이 탈영한 경우에는 중국군의 탈영병 단속도 군사경찰인 이 부대가 담당한다.

4. 조직 개편


무경은 명목상은 '''경찰'''이기 때문에 창설 이후 장기간 공산당 중앙군사위가 아니라 사법을 담당하는 공산당 정법위원회 소속으로 되어 있고 군사작전에 대해서만 중앙군사위의 지도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이를 '이중영도' 체제라고 칭했다.#
그러나 보시라이 사건 처리 과정에서 보시라이와 친했던 정법위 서기 저우융캉이 무경 부대를 움직이려 하는 등 불온한 움직임을 보이자 시진핑 주석은 저우융캉과 권력투쟁을 벌여 제18차 당대회에서 저우융캉을 실각시키고, 무경의 지휘권을 온전히 중앙군사위 밑으로 가져오는 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다.# 내위부대는 중앙군사위 직속으로, 그 외 설표돌격대 등의 대테러부대, 황금부대[10], 교통부대, 소방부대 등 일반 경찰이나 소방관 업무가 주축인 부대는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로 넘겨 경찰조직으로 일원화하겠다는 것. 그렇게 되면 중군위 직속 부대는 명칭에서도 '경찰'을 빼고 중국 인민해방군 무장경비부대 또는 중국 인민해방군 공안부대 즉 인민해방군 군사경찰대로 변경될 것이라 하였다.
2018년 1월 1일 중국군 지휘구조 개편으로 중앙군사위 휘하로 관할이 일원화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또, 천안문 광장 국기계양대 부대도 조직개편 일환으로 인민해방군에 넘긴다.# 1월 11일에는 인민해방군에 포함되는 것을 확정하는 군기수여식이 열렸다. 사진의 현판을 보면 알겠지만 인민무장경찰부대라는 명칭은 유지되었다. 아무래도 원래 치안유지 목적으로 창설한 부대이지 정규군은 아닌 만큼 굳이 변경할 필요는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인민해방군과 같은 중군위 예하로 넘어왔으나 기능은 정규군이 아니라 일종의 예비군+국가헌병대 즉 군사경찰 내진 내무군에 가깝게 유지 중이다. 폭동/테러진압 훈련 등을 각 성 공안청의 지휘 하에 공안과 합동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금 무겁게 무장하고, 유사시 예비전력으로 활용가능한 경찰 정도로 보면 되며 딱 유럽식 국가헌병대에 맞는다. 애초 무장경찰부대의 창설 목적이 공안(민경)이 담당하기 힘든 테러 공격, 폭동이나 반란 등 소요사태, 대규모 무장강도 등에 대비하고자 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5.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진압 의혹


2019년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가 발생하자, 시위대 측은 중국에 충성하는 홍콩 경찰경찰청장 스티븐 로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로 의심되는 병력을 지원받아 대대적인 시위대 탄압에 나서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위대측은 3만 명 정도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병력이 중국 본토 광둥성에서 홍콩으로 몰래 입국, 2만 명 정도가 연수를 핑계로 경찰훈련학교에서 훈련받아 홍콩 경찰로 가짜 신분을 부여받아 세탁하고, 나머지는 시위대로 위장시켜 폭력시위나 말도 안 되는 극단적 행동을 하게 하거나 백색테러에 동원했다고 주장한다.
현재 중국 당국은 이를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
2020년 3월 18일,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시위가 격화되었던 2019년중국 공산당 중앙정부의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인력들이 홍콩에 파견을 와서 시위 진압 업무에 투입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일국양제 위반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음은 해당 기사다. 기사 물론 이 문제는 코로나19 판데믹과 홍콩 국가보안법에 가려서 묻혀 별 이슈화가 안 되었고 국가보안법 이후 홍콩에선 '''다시는 굳이 무경이 파견나올 정도의 대규모 시위는 사실상 불가능'''해진 관계로 앞으로 이런 논란들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6. 편제


2017년 이후에 개편을 했는데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구급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행정구역단위로 4개의 직할시급과 22개의 성급(타이완 성제외), 5개의 자치구 +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产建设兵团)로 내위부대(内卫部队)가 32개의 총대(본대)가 있으며, 기동부대(机动部队)가 제1 기동부대, 제2 기동부대가 있고 1개의 해경부대(海警部队)가 존재한다. 총대 휘하로 O지대(支队)로 예속되어 있다.(해경의 경우는 좀 다르다.)

6.1. 무장경찰내위부대



6.2. 무장경찰기동부대



6.3. 무장경찰해경부대




7. 2017년 이전 편제




8. 관련 문서


[1] 뒤에 보이는 건물은 라싸의 포탈라궁이다.[2] 다른 나라의 대장에 해당.[3] 20세가 넘은 남녀를 전시에 동원하는 일종의 예비군 조직이다. 1주일 병영체험을 수료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4] 일부 지역에 한해 공안 소속 대테러 부대가 있는 경우도 있다.[5] 항구 등 해안에는 무경 산하 해안경비대가 배치된다.[6] 예를 들면 베트남은 1991년 국교 정상화 이전까지 인민해방군이 국경에 배치되었었고 1991년 소련 붕괴 이전까지 중소 국경도 마찬가지였으나 둘 다 현재는 무경이 들어간다. 소련/러시아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국경수비대를 배치해오고 있다. 현재 북한과의 사이가 험악해지면서 인민해방군 부대도 북중국경에 배치되었으며 기갑 전력까지 나오는 등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7] 약물 주사형으로 사형시, 법관들이 최고인민법원에 올라가서 해당 약물을 수령해 온다.[8] 과거에는 민간인도 총살형으로 사형했으나 잔혹하다는 이유와 군인도 아닌 자들이 명예가 어디 있냐면서 반발이 심해서 바뀐거라고 한다.[9] 이 점은 한국군 헌병인 군사경찰도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10] 자원개발, 광산을 담당하는 부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