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세이더 전차
1. 제원
[image]
'''Tank, Cruiser, Mk VI, Crusader''' (A15 Crusader, Crusader Tank)
- 중량 : 19.1t - 22.12t[1]
- 전장 : 5.97m
- 전폭 : 2.77m
- 전고 : 2.24m
- 승무원
- Mk III :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 Mk I, II : 4명 - 5명 (+탄약수, 기관총수[2] )
- 장갑
- Mk I : 최대 40 mm
- Mk II : 최대 49 mm
- Mk III : 최대 51 mm
- 주무장
- 부무장 : Besa 기관총 1 - 2정 (4,950발)[3]
- 엔진 : 너필드 리버티 Mark II, III, IV 27-litre 12기통 가솔린 엔진 340hp
- 출력비 : 16 hp/t (Mk.I) , 15.37 hp/t (Mk.III)
- 변속기 : 너필드식 4단가속 1단후퇴
- 현가장치 : 크리스티식 수직스프링
- 연료량 : 500L (3개의 연료탱크 + 추가외장탱크 가능)
- 항속거리 : 322km (도로), 235km (야지)
- 속도 : 42km/h (도로), 24km/h (야지)
- 도하 능력: 1.0 m
- 초월 능력: 69.0 cm
- 접지압: 1.06 kg / cm²
- 생산량 : 5,300대
2. 개요
[image]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된 영국군의 순항전차. 크루세이더(Crusader)의 의미는 당연히 십자군.
3. 개발 및 특징
1936년부터 영국 육군은 미국의 월터 크리스티가 설계한 전차를 기본으로 하는 Mk.III(A13)와 장갑강화형 Mk.IV(A13 Mk.2) 순항전차를 개발, 운용했으나 더 두꺼운 장갑이 필요하다는 의견으로 각기 65대/665대 정도 생산하는 데에 그쳤다. 때문에 MK.III를 대신할 신형 순항전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원래 A14, A16등이 개발중이었으나 그 성능이 군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판단한 전쟁성은 이의 개발을 중지시키고 일단 기존의 A13을 재개량하는데 나서기로 했다.
이를 통해 순항전차 Mk.V(A13 Mk.3) 커버넌터(Covenanter) 1940년에 등장하게 되었으나 이중 커버넌터는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었다. 그탓에 영국은 커버넌터를 실전에 투입하지 못하고 다른 전차를 개발 및 생산을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하지만 크루세이더가 커버넌터의 후속차량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고 동시에 진행되었다. 선개통 후완공식으로 생산이 예정된 커버넌터를 영국은 너필드사에 커버넌터의 생산을 지시했고, 너필드사가 커버넌터의 포탑을 설계까지 했지만 너필드사는 차체까지 자신들이 설계한 전차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포탑만 공유하고 차체는 LMS와 너필드가 각각 커버넌터와 크루세이더를 생산하기로 한 것이다. 바퀴가 그 전의 순항전차들 보다 한 쌍이 많은데 순항전차들이 점점 무거워졌기 때문에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크루세이더 역시 '''커버넌터보다 약간 나았을 뿐''' 문제 투성이여서 잦은 고장과 부족한 고폭탄 화력으로 악명을 떨쳤다. 화력도 2파운더 자체가 고폭탄이 존재하지 않고, 철갑탄의 위력도 이미 그 당시에는 한물 간 것으로 평가되는 처지인데다가[4] 초기형에 탑재된 전방 기관총탑은 조금만 사격을 해도 화약연기로 인해 총탑 내에서 사람이 버틸 수 없는 등의 사태가 발생해서 철거하는 등의 이유로 화력도 꽝이었다. 그래서 실제 데뷔전(戰)이었던 북아프리카 전역의 배틀액스 작전에서는 투입된 크루세이더 반 이상을 잃는 처참한 성적을 내었다. 그나마 장점인 빠른 속도도 작은 차체에 맞춘 리버티 엔진에 냉각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고온의 사막인 아프리카에서 문제가 생겼다.
크루세이더 Mk.I이 형편없는 성능을 보여주며 등장했지만, 영국입장에서는 뾰족한 대안이 없었다. 마틸다 Mk.II와 밸런타인 전차는 보병전차다 보니 기동전을 하기에는 너무 느렸고 엄폐물이 없기에 대전차포에 완전히 노출되어 기동성이 중요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는 매우 치명적인 단점이었다. 미국에서 공여받은 스튜어트 전차는 경전차의 한계를 넘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일단 차체 전방에 있는 기관총 포탑을 제거하고 포탑 장갑을 강화한 Mk.II를 생산하게 된다. Mk.II는 크루세이더 전차중 가장 균형잡힌 모델이었다.
독일의 3호 전차가 5cm 단포신으로 업건하고 방어력을 50mm대로 강화되어 롬멜과 함께 들어오자 더이상 2파운더도 효과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는데다[5] , 처음부터 6파운더를 상정하고 설계된 카발리어 순항전차의 생산이 지연되어, 주포를 2파운더에서 6파운더로 강화하고 장갑을 50mm로 강화한 Mk.III이 개발되었다. 크루세이더 Mk.III의 경우 3명이던 포탑 운용인원이 2명으로 줄어들어 전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사실 이 2인용 포탑은 무리하게 6파운더를 우겨넣어 불편하기 짝이 없었다. 당장 전차장은 포신 왼쪽에 끼다시피 뒤쪽을 향해(!) 앉아 있었다. 표현하자면 전차장이 자리에 바로 앉아 정면을 보면 포미가 보인다. 앞쪽의 잠망경을 보려면 고개를 꺾어야 했으며 (크루세이더 전차의 포탑에는 큐폴라가 없다.) 무전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포탑 뒤쪽으로 이동해야 했다. 게다가 탄약수가 없어졌으니 전차장은 이 불편한 자세로 전차를 지휘하면서 장전까지 해야 했다.(크루세이더의 탄약고는 포탑 아랫쪽이 있다.)하나 다행인 점은 6파운더는 3호 전차의의 5cm포 보다 관통력이 한참 높았고 고폭탄이 있었다.
영국은 울며 겨자먹기로 5,300대나 생산되었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영국이 미국의 바짓단를 잡고 늘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만다. 원래 망해가는 집안이 엉뚱한 곳에 돈을 날렸으니 그 뒤는 다른 사람 붙잡고 살려줘 하는 셈. 결국 리/그랜트 전차가 무기대여법으로 오면서 영국이 그렇게 원하던 강력한 화력을 얻게 되자 크루세이더는 사실상 리의 보조(..) 수준으로 격하되었고 포탑에 75mm 주포가 장착된 M4 셔먼이 손에 들어오게 되자 영국군은 크루세이더를 전선에서 퇴출시켜버린다. 어쨌든 크루세이더 전차는 북아프리카 전역이 종료될 때까지 전선에서 운용되었다.
보다 우수한 순항전차인 크롬웰이 등장하자 생산이 중지되었으나 정작 크롬웰 또한 셔먼에게 밀려서 3,000대 정도 생산되는데 그친다. 성능자체는 크롬웰이 셔먼에 비해 부족한 점은 별로 없지만, 워낙 운용하는 셔먼 수가 많고 영국의 경제력이 버티기 힘들어 졌기 때문이었다.[6] 하지만 크루세이더가 전선에서 밀려났지만 워낙 찍어둔 숫자가 많다보니 재고 상당수가 대공전차, 자주포, 화포 견인차량, 가교전차, 지뢰제거 전차로 닥치는 대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 전투 차량으로는 크루세이더 AA로 불리는 대공전차로 개조된 버전만이 종전때까지 사용되었다. 다만 서부전선에서 사실상 독일이 제공권을 상실했기 때문에 주로 보병화력지원을 했다고 한다. 그걸 염두에 뒀는지는 모르지만, 크루세이더 AA는 보병 제압을 할 수 있는 기관총이 덤으로 장착되어 있다.[7]
크루세이더 전차는 비슷한 체급의 독일의 3호 전차와 비교 할 수 있었다. 특히 3호전차는 독일 전차 중에서 순항전차에 영향을 특히 많이 받아 고속 중심, 대전차포 장착 등 특징이 비슷했는데, 크루세이더와 3호 전차 둘 다 아프리카 전선 이후로 최전선 전투보다는 다른 전차로 개수되어 사용되는 등 말로까지 비슷했다.
[image]
왼쪽부터 순서대로 영국, 유럽대륙, 미국의 철도 건설한계이며, 소련 및 러시아는 미국보다 살짝 크거나 비슷하다. 이를 통해서 영국이 타국에 비해서 전차의 확대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여담으로 크루세이더 전차는 굉장히 낮은 전고를 가지고 있는데, 다른 영국전차도 마찬가지지만 굉장히 내부공간이 비좁았다. 저 특유의 각진 포탑은 내부 공간만 따지면 오히려 유효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공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 문제는 Mk.III때 포미가 거대한 6파운더를 장착하면서 심화되었고, 3인포탑에서 2인포탑으로 개악하는 원인이 된다.[8] 장갑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경사장갑이 설계에 나름 적극적으로 들어가 있었는데, 영국은 전차의 요구 장갑을 경사장갑 보정으로 인한 방어력과 자체 두께로 인한 방어력을 동일하게 보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영국군의 요구가 정면장갑 50mm 였다면 수직장갑 50mm와 경사장갑 60도 25mm(계산상 50mm)를 동일하게 보았다.
4. 종류
크루세이더는 형식에 따라 크게 Mk. 1, Mk. 2, Mk. 3으로 분류된다.
- Mk.I
[image]
참고로 차체 앞쪽에 상자형으로 위로 튀어 나온 것이 2개 있는데, 바라보는 사람 기준으로 왼쪽이 조종수 자리이고 오른쪽이 기관총 사수 자리이다. 저렇게 튀어나온 이유는 차체가 너무 낮아 사람이 들어가 있기 힘들어서...
참고로 차체 앞쪽에 상자형으로 위로 튀어 나온 것이 2개 있는데, 바라보는 사람 기준으로 왼쪽이 조종수 자리이고 오른쪽이 기관총 사수 자리이다. 저렇게 튀어나온 이유는 차체가 너무 낮아 사람이 들어가 있기 힘들어서...
- Mk.I CS
3인치 유탄포를 장착한 보병 지원 버전이다.
- Mk.II
- Mk.II CS
- Mk.III
[image]
Mk. 1, Mk. 2와는 달리 화력 강화가 되어 40mm의 2파운더 대신 57mm의 6파운더를 장착하였다. 또한 포탑 정면장갑도 50mm로 강화되었다. 당시 3호 4호와 정면이 비슷했다.
Mk. 1, Mk. 2와는 달리 화력 강화가 되어 40mm의 2파운더 대신 57mm의 6파운더를 장착하였다. 또한 포탑 정면장갑도 50mm로 강화되었다. 당시 3호 4호와 정면이 비슷했다.
- 크루세이더 대공전차(Crusader AA Mk.I, II, III)
[image]
Mk. 1은 보포스 40mm 대공포를 장착하였으며 오픈탑 포탑에 자동장전장치가 달려있었다. 하지만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에는 포탑이 없는 대신 방호벽을 장착한 상태로 투입되었다. 이후 Mk.2와 Mk. 3에는 오리콘 20mm 대공포 2정과 비커스 303 구경 기관총 1정이 탑재되었다. Mk. 2와 Mk. 3의 차이점이라면 서로 무전기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 정도?
Mk. 1은 보포스 40mm 대공포를 장착하였으며 오픈탑 포탑에 자동장전장치가 달려있었다. 하지만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에는 포탑이 없는 대신 방호벽을 장착한 상태로 투입되었다. 이후 Mk.2와 Mk. 3에는 오리콘 20mm 대공포 2정과 비커스 303 구경 기관총 1정이 탑재되었다. Mk. 2와 Mk. 3의 차이점이라면 서로 무전기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 정도?
- Mk. 2 건 트랙터
[image]
QF 17파운더 중대전차 포를 견인하기 위한 차량에 대한 요구로 만들어졌다. 포전차의 그것을 대체하는 상자 모양의 간단한 상부 구조로 되어있는 차체를 가지고 있다. 중기관총을 막을 수 있을만한 14mm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내부 승무원들을 보호할 수 있었다. 대전차포 견인 이외에도 승무원 활동 영역 이내에 후방에서 탄약을 운반하였다 한다.
QF 17파운더 중대전차 포를 견인하기 위한 차량에 대한 요구로 만들어졌다. 포전차의 그것을 대체하는 상자 모양의 간단한 상부 구조로 되어있는 차체를 가지고 있다. 중기관총을 막을 수 있을만한 14mm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내부 승무원들을 보호할 수 있었다. 대전차포 견인 이외에도 승무원 활동 영역 이내에 후방에서 탄약을 운반하였다 한다.
- 크루세이더 구난전차
- 크루세이더 자주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나온 차량으로 실험 목적만을 위해 크루세이더 차체 정면에 5.5 인치 포를 장착하였다.
[image]
아르헨티나에서는 전쟁 이후 건 트랙터를 이용해 자주포로 개조했다. 건 트랙터 차체 정면에 프랑스제 75 mm와 105 mm를 각각 장비한 자주포를 개발했다.
[image]
아르헨티나에서는 전쟁 이후 건 트랙터를 이용해 자주포로 개조했다. 건 트랙터 차체 정면에 프랑스제 75 mm와 105 mm를 각각 장비한 자주포를 개발했다.
5. 매체에서의 등장
[image]
TVA 4화 마지막 부분에 Mk II가 등장. 같이 보이는 처칠과 마틸다는 3D 모델링인데 크루세이더만 배경 작화인 것으로 봐서, 이 시점에선 처음부터 출연시킬 생각이 없었던 듯하다.
[image]
극장판에서 Mk.III가 세인트 글로리아나 여학원 소속으로 등장한다. 로즈힙이 탑승하며, 세인트 글로리아나 최고 속력이라고 자랑하는데 그야 다른 전차들이 최고속도 시속 20km대인 처칠과 마틸다이니 제일 빠를 수 밖에... 크루세이더의 카탈로그 스펙은 도로 주행 기준 최대 속력 42km/h로 티거 1의 카탈로그 스펙인 45km/h보다 느리다, 때문에 극중에선 필요시 엔진 리미터(조속기로 보인다)를 해제해 속력을 높인다는 설정이 사용되고 있다.극장판 익시비전 매치에서 팀킬 하나 해먹고, 대학선발전에서는 리미터를 해제하고 개울을 뛰어넘어 챞챞이 하나 탈락시키고 퇴장. 그런데 저 학교가 설정상으로는 크롬웰 전차를 가지고 있는 게 문제다. 일단 작중에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TVA 4화 마지막 부분에 Mk II가 등장. 같이 보이는 처칠과 마틸다는 3D 모델링인데 크루세이더만 배경 작화인 것으로 봐서, 이 시점에선 처음부터 출연시킬 생각이 없었던 듯하다.
[image]
극장판에서 Mk.III가 세인트 글로리아나 여학원 소속으로 등장한다. 로즈힙이 탑승하며, 세인트 글로리아나 최고 속력이라고 자랑하는데 그야 다른 전차들이 최고속도 시속 20km대인 처칠과 마틸다이니 제일 빠를 수 밖에... 크루세이더의 카탈로그 스펙은 도로 주행 기준 최대 속력 42km/h로 티거 1의 카탈로그 스펙인 45km/h보다 느리다, 때문에 극중에선 필요시 엔진 리미터(조속기로 보인다)를 해제해 속력을 높인다는 설정이 사용되고 있다.극장판 익시비전 매치에서 팀킬 하나 해먹고, 대학선발전에서는 리미터를 해제하고 개울을 뛰어넘어 챞챞이 하나 탈락시키고 퇴장. 그런데 저 학교가 설정상으로는 크롬웰 전차를 가지고 있는 게 문제다. 일단 작중에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2차 세계대전 시대의 영국군 전차로 크루세이더 마크3이 등장한다. 기존에 마크 시리즈가 있는 경우 업그레이드시 이것으로 변환되며 성능은 그럭저럭 괜찮은편.
[image]
[image]
[image]
[image]
1랭크에 Mk. 2와 Mk. 3가 등장한다. 크루세이더 대공전차 역시 등장하며 프랑스 트리에도 있다 영국답게 작약으로 고통받지만 답없는 프랑스 저랭에서는 그나마 쓸만한 전차다.
[image]
[image]
[image]
1랭크에 Mk. 2와 Mk. 3가 등장한다. 크루세이더 대공전차 역시 등장하며 프랑스 트리에도 있다 영국답게 작약으로 고통받지만 답없는 프랑스 저랭에서는 그나마 쓸만한 전차다.
[image]
6단계 경전차로 등장한다. 포는 준수하고 위장도 좋으나, 방어력이 문제가 된다. 특히 동티어대에 몰려있는 105mm급 주포에 한대만 맞아도 증발하기 쉽다. 9.17 패치까지는 고탑방에서의 정찰이 목적인 타 경전차와는 달리 5티어에서의 전투 경전차로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범용성 높은 주포와 좋은 기동성으로 6티어 탑방까지는 나름 활약했다. 9.18 패치로 중형전차로 간주되다 1.9 패치로 다시 경전차로 되며, 6티어로 한단계 격상하였다.
[image]
자주포로 개조된 버전도 등장한다. 일명 자주세이더. 특이하게도 앞뒤가 뒤바뀐 차체 때문에 후진이 전진보다 빠른 덕분에 대부분 후진으로 달리게 된다. 그래서 이쪽의 별명은 뒤로세이더.
6단계 경전차로 등장한다. 포는 준수하고 위장도 좋으나, 방어력이 문제가 된다. 특히 동티어대에 몰려있는 105mm급 주포에 한대만 맞아도 증발하기 쉽다. 9.17 패치까지는 고탑방에서의 정찰이 목적인 타 경전차와는 달리 5티어에서의 전투 경전차로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범용성 높은 주포와 좋은 기동성으로 6티어 탑방까지는 나름 활약했다. 9.18 패치로 중형전차로 간주되다 1.9 패치로 다시 경전차로 되며, 6티어로 한단계 격상하였다.
[image]
자주포로 개조된 버전도 등장한다. 일명 자주세이더. 특이하게도 앞뒤가 뒤바뀐 차체 때문에 후진이 전진보다 빠른 덕분에 대부분 후진으로 달리게 된다. 그래서 이쪽의 별명은 뒤로세이더.
영미연합군 소속 전차로 등장한다. 적 단일 유닛을 일시적으로 무력화하는 섬광탄을 보유하고, 화력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지대지와 지대공 간에 모드변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있어 적이 지상-공중 조합으로 나서면 리마스터 이전 용기병마냥 어버버버하다 터져나간다.
6. 둘러보기
[1] Mk.I - Mk.III[2] Mk.I은 전방에 기관총 포탑이 있었지만, 유용성이 없어서 제거되었다.[3] 기관총 포탑이 장착된 Mk.I만 기관총 2정.[4] 관통력자체는 출중했지만, 내부에 작약이 조금도 없는 통짜 철갑탄이었기 때문에 내부 살상력이 심각하게 부족했다.[5] 2파운더의 관통력은 3호 전차의 단포신 5cm보다 살짝 높았다.[6] 생산자체도 1943년부터 해서 다른 전차와 비교하면 생산년도도 짧은 편이다.[7] 일단 기관총도 대공사격이 가능하지만 장착된 기관총이 고작 7.7mm 빅커스 기관총이라 대공용으로는 가치가 없다.[8] 설계도면으로만 남은 3인승 6파운더 포탑이 있기는 한데, 어째서인지 해당 포탑은 생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