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애니메이션
1. TVA 1기: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J.C.STAFF에서 애니화. TOKYO MX에서 2010년 10월 7일 밤 11시 '''심야'''부터 방영. 내용 전개상 소설-게임-코믹스-게임으로 이어지는 스토리의 평행세계격. 갤럭시 엔젤 때와 마찬가지인 형태이다.[1]
게임과는 달리 확실하게 개그&모에 노선으로 나가고 있는데 '''갤럭시 엔젤급으로 막가는 개그 애니메이션'''이므로 제목만 보고 명탐정 코난 같은 추리물이라고 생각하면 신나게 낚이니 주의. 2화부터 굶어서 배고픈 로리들이 교실의 낡은 책상 밑에서 자라고 있던 버섯을 구워먹는 등 약빤 개그가 일품. 괴도 아르세느의 복장 등 수위가 꽤 아슬아슬한 장면도 있다. 전 12화 제작진이 참고한 작품이 '''갤럭시 엔젤 + 명탐정 코난'''이라고 한다(…).
각 화의 타이틀이 전부 다른 탐정 작품의 패러디. 패러디된 제목은 타이틀이 나올 때, 돋보기가 지나가기 전에 표시된다. 내용 중에도 추리 소설 패러디가 있다 [2]
성우진의 경우 주연 4인방의 경우에는 신인이며 조연은 대체적으로 유명한 성우들을 배치했다. 특히 Genius 4의 경우에는 아케치 코코로를 제외한 3명의 성우가 막장 애니의 선배라 할 수 있는 갤럭시 엔젤 멤버의 성우와 같다.[3]
여담으로, 나스 키노코와 우로부치 겐 등이 이 애니를 절찬했다.# 그 밖에도 이 애니를 본 사람들 사이에서는 갤럭시 엔젤의 전성기에 맞먹는다는 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2ch에서 2010년도 베스트 애니메이션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애니원 2011년 신작 라인업에 올라왔다.# 그런데, 디지몬 크로스워즈랑 마찬가지로 1년 동안 방영하겠다는 소식이 전혀 없었으며, 그나마 크로스워즈는 2012년 5월에 방영을 시작하는데 밀키 홈즈는 2012년인 지금도 여전히 감감 무소식.(...) 2015년이 된 현재도 아무 소식이 없는 것 보면 판권만 사두고 그대로 썩혀두었거나 방영도 안하고 판권 만료가 됐을 확률이 크다. 결국 국내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인 마이씨앗TV로만 서비스 되었다. 다만 한 번의 폐쇄 후 재오픈을 한 뒤로 해당 작품은 찾아볼 수 없다.
최종화인 12화 끝부분에 정체불명의 전학생 모리 아티가 등장함으로써 차후 전개를 암시하는 듯한 결말을 맺었다.
특별편의 방영이 확정되어 2011년 3분기의 중반부인 8월 25일 방영을 결정지었다. 시간대는 과거의 그 시간대와 동일하다. 목요일 23시.[4]
1기의 BD/DVD 1권 초동 판매량은 6,929장으로 무난한 편.
오프닝으로 불린 "정답은 하나가 아니야!"는 이후 본작의 상징을 넘어 이후 '''부시로드 컨텐츠를 상징하는 대표곡이 된다.''' [5]
1.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正解はひとつ!じゃない!!
- 작사: 하타 아키
- 작곡, 편곡: 야마구치 아키히코(山口朗彦)
- 노래: 밀키 홈즈
- 엔딩 테마 本能のDOUBT
- 작사: 코다마 사오리(こだまさおり)
- 작곡, 편곡: 나카야마 마사토(中山真斗)
- 노래: 페이란
1.2. 회차 목록
2. TVA 2기: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제2막
그리고, 8월 20일 2기가 결정되었다. 2012년 1월부터 TOKYO MX 등지에서 방송. 11년 12월 31일에 1화 선행방송을 하였다. 1기보다 병맛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됐다. 제작사는 1막에선 J.C STAFF가 단독제작이었던 게 2막에서는 아트랜드랑 같이 공동작업으로 만들어졌다.
TVA 끝부분에 엔드 카드도 존재한다.
1기와 달리 일본에서 상당한 혹평을 받았으며 그 결과 2기의 BD 초동이 1기의 1/3수준 밖에 안되는 2,353장이라는 흥행 참패로 나타났다. 특히, 최종 에피소드 라드편에서 엄청난 욕을 먹었으며 토이즈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던 1기와는 달리 정말 같은 캐릭터가 맞나 싶을 정도로 완전히 붕괴된 캐릭터들[22] 로 만들어 놨다는 점 등이 주된 불평 이유다.
다만, 1기의 개그를 좋아했던 팬들 입장에선 개그면에서는 전작을 뛰어 넘는 역대급 애니였다는 평도 많다. 사실 1기부터 원작 캐릭터들이 재창조 수준으로 변했는데 그 글러먹은 기믹의 캐릭터들을 좋아한다면 1기 이상으로 캐릭터 면에서도 맘에 들 수 있다. 혹평을 듣던 라드 에피소드도 역으로 밀키홈즈에서 가장 웃긴 화였다고 뽑는 사람도 많다.
국내에서는 무인편을 서비스했던 마이씨앗TV에서 서비스했으며 무인편과 마찬가지로 현재는 서비스가 되지 않는 상태다.
2.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ナゾ!ナゾ? Happiness!!
- 작사: 코다마 사오리
- 작곡, 편곡: 타카다 쿄(高田 暁)
- 노래: 밀키 홈즈
- 엔딩 테마 Lovely Girls Anthem
- 작사: 코다마 사오리
- 작곡, 편곡: 히라타 요이치로(平田祥一郎)
- 노래: 아소 나츠코(麻生夏子)
2.2. 회차 목록
3. 특별판: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Alternative ONE & TWO
4. TVA 3기: 두 사람은 밀키홈즈
'두 사람은 밀키홈즈'라는 이름으로[35] 2013년 7월에 3기가 방영했다. 이번에도 오리지널 스토리가 진행된다.
신 캐릭터인 앨리스&카즈미(페더즈)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기존 주인공이었던 밀키홈즈는 페더즈의 선배격인 조연 인물로 등장한다. 탐정과 괴도를 중심으로 한 진지한 능력자 배틀물&성장물로 애니메이션 1,2기보다는 게임판의 분위기와 훨씬 흡사하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분량이 24분이 아니라 13분으로 줄어들었다. 이 경우는 근 방영된 작품에서는 드문 경우. 특이하게도 본편의 줄어든 시간만큼 전반부에 '밀키 홈즈 정보국'이라는 명칭으로 성우들의 실사 버라이어티가 약 10여분 방송되는데, 본편에서 약기운을 뺀 만큼 이 쪽에 넣고 있는게 아니냐는 평을 받았다.[36][37]
분위기는 게임판에 가깝게 진지하며, 토이즈를 사용할 때에도 게임판과 같은 효과음이 난다. 같은 J.C.STAFF 제작이지만 2기까지의 공동작업 제작사였던 아트랜드를 버리고 노매드가 섞여들어간 탓인지 작화는 기존 애니메이션판과는 많이 다르다. 그 때문에 그런지 작화의 색감이나 분위기가 1, 2기에 비해 칙칙해지고 생기가 없어졌으며 간간이 눈에 띄는 작붕이 몇몇 장면에서 생겼다. 신작은 애니와 게임의 내용을 적당히 섞어 '토이즈도 강력하고 명성도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진지한 영웅이지만 사실 조금 덜렁대는 부분도 있다'라는 설정을 가지게 되었다. [38] 페더즈 앞에선 선배 노릇을 하려고 나름대로 노력하는 걸 보면, 애니메이션 2기 이후에 이들이 보다 성장하고, 성숙해진 것이라 볼 수도 있겠다.
전작에서 등장했던 괴도제국과 코코로를 제외한 Genius 4 멤버들은 짤막하게 모습만 비추다가 11화에서야 등장하고 그외에 게임판 주인공이었던 앨러리가 8화에서 코바야시가 마지막화에서 짤막하게 나오며 마지막화 엔드카드에도 모습을 비춘다. 또한 밀키홈즈는 1~2기의 다락방 신세를 벗어나고 게임판과 동일한 집무실에서 일하고 있다. 정말 1기, 2기와 비교하면 분위기, 캐릭터들, 연출 등이 너무 많이 바껴서 같은 시리즈가 맞나 할 정도다.
BD 1권 초동 판매량은 441장.
4.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ぐろーりーぐろーいん☆DAYS
- 작사: 코다마 사오리
- 작곡, 편곡: 타카다 쿄
- 노래: 밀키 홈즈
- 엔딩 테마 セイシュンビギナー!
- 작사: 코다마 사오리
- 작곡, 편곡: 타카다 쿄
- 노래: 밀키홈즈 페서스
4.2. 회차 목록
5. TVA 4기: 탐정 가극 밀키 홈즈 TD
2015년 1월에 방영을 시작했다. 분량은 24분으로 부활했으며, 다시 다메다메한 밀키홈즈로 다시 돌아왔다. 그렇다고 해서 정줄놓고 똥폐인이었던 10-12년의 밀키홈즈는 아니고 나름 유능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똘기가 충만한 쪽으로 더 기울어져 있다. 애니메이션 오프닝 연출과 공식 홈페이지의 소개도 다시 다메다메한 밀키홈즈로 돌아왔다는걸 노린 듯이 한껏 약을 빨아먹었다. 그리고 그에 걸맞게 패러디가 엄청나게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러키☆스타의 와사노미야 신사 라던지 죠죠의 그림체 라던지 소 머리에 달린 뿔과 외눈박이 게라던지 루트비코 요법이라던지 # 등이 있다. 제작사는 '두사람은 밀키홈즈' 때와 동일한 J.C STAFF와 노매드다. 그래서 그림체도 '두사람은 밀키홈즈' 때와 동일하다. 토이즈 사용시 나오는 효과음도 두 사람은 밀키홈즈 때와 같이 게임판과 동일한 SE를 쓴다.
다만 제작진이 1, 2기와 많이 달라서 그런지 개그센스나 연출력이 많이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억지로 1, 2기의 똘기를 흉내내는 느낌인데, 분명 웃으라고 만든 장면이 웃기지 않을 경우가 많다는 평이 있다.
설정도 유행하는 아이돌이라는 요소를 억지로 넣으면서 조잡해졌다는 평도 많다. 거기다 어른의 사정 때문인지[40] 전작부터 나오는 캐릭터였던 괴도제국과 코코로를 제외한 G4도 거의 나오지 않아서 아쉬움을 느끼는 팬들도 많은데 이를 대체하는 신규 캐릭터들이 하나같이 재미가 없다는 것도 문제. 첫화에 앙리에트가 짤막하게 목소리로 전언을 전하는 걸 시작으로 마지막화에 괴도제국이 등장한다! 그런데 마지막까지 코코로를 제외한 G4는 나오지 않았다. 전작에는 조금이나마 모습을 비춰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걸 보면 그저 안습이다.
대 아이돌 시대를 맞이한 정도 요코하마를 배경으로 슈퍼 아이돌 아마기 마리네가 도둑맞은 기적의 노래를 되찾기 위해 예능계로 뛰어든 밀키 홈즈의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아마기 마리네의 성우는 닛타 에미. [41]
TD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시리즈는 밀키 홈즈와 세계관을 공유하는 모바일 게임 토이즈 드라이브('''T'''oys '''D'''rive)[42] 홍보를 위해 나온 작품이다.공식 사이트 BD/DVD에도 본 게임의 시리얼 코드가 동봉되어 있으며, 엔드 카드에도 본 게임에 등장하는 탐정들이 등장한다.
IS 일본인 인질 피랍 살해사건으로 인해 5화는 TV에서 휴방되었고[43] 반다이 채널, 니코니코 동화로만 방송되었다가, 3주 뒤 재방했다.
7화부터 고전 애니를 패러디하기 시작했다. 7화은 빨강머리 앤, 8화는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오스칼이 있다.
5.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ミルキィ A GO GO
- 작사: 코다마 사오리
- 작곡, 편곡: 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 노래: 밀키 홈즈
5.2. 회차 목록
6. 극장판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역습의 밀키 홈즈
극장판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는 공지가 나온지 한참 흘러, 드디어 공식적으로 제목과 키 일러스트, 개봉 일자 등이 공개되었다. 2016년 2월 27일 개봉 했다. 감독은 사쿠라이 히로아키.
어른의 사정 때문에 TD에선 아예 말도 못한 G4와 괴도 제국 전원이 애니메이션에 다시 활약하고, 페더즈 역시 등장한다. 전체적으로 1기부터 3기까지 나온 주요 아군과 적군 다 등장하는 올스타전. 4기 등장인물들도 까메오로 등장하지만 대사나 활약은 없다. 제작진은 1기 때와 같은 제작진으로 제작되며 그 덕분에 그림체 자체는 1기와 상당부분 흡사하다. 하지만 극장판이라서 그런지 작화에 기합이 들어가서 작붕이 거의 없는 좋은 퀄러티를 보여준다.
지금까지의 애니메이션 스토리들을 전부 이어주며 대단하게도 애니메이션 4쿨동안 나왔던 거의 모든 맥거핀들을 깔끔히 정리하고[52][53] 1,2기와 같은 특유의 병맛 진행으로 대단원에 막을 내린다. 후반부에는 시공간의 왜곡 때문에 1기부터 4기까지의 주요 장면들이 자주 나오게 돼서 정말 최종화다운 느낌이 난다. 마지막은 애니메이션 첫화와 동일하게 밀키 홈즈 vs. 괴도 제국 전원의 일기토로 끝난다. [54] 스토리와 여러가지 연출을 보면 이게 밀키 홈즈 프로젝트의 마지막 애니메이션이라는 계획으로 만든것같다.
2016년 12월 BD가 발매되었다.
공식 홈페이지
7. OVA: 탐정 오페라 밀키홈즈 아르센의 화려한 욕망
극장판 밀키홈즈가 밀키 홈즈 프로젝트의 마지막 애니메이션이라는 서술이 무색하게도 2017년 12월 31일에 밀키홈즈 신작 애니가 방영된다고 한다.
지금까지의 작품과는 다르게 괴도 아르센이 주인공이 되었다. 밀키홈즈에 대한 아르센의 집착을 볼 수 있는 짧은 OVA로 방영되었다. 2018년에도 밀키홈즈 프로젝트가 이어질 것이라는 포부를 밝힌, 훌륭한 팬서비스로 G4에다 패더즈까지 다 같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다시 반전으로 성우 유닛 라이브 중 2019년 2월 파이널 라이브를 마지막으로 밀키 홈즈 프로젝트를 종료하고 성우진 그룹을 해산한다는 내용이 발표되었다. 게임 1편이 나온지 8년이 다 되가고 인기도 많이 시들었으니 프로젝트 종료는 예상된 바였지만 외전 OVA에서 2018년에도 잘 부탁한다는 식으로 굉장히 어필했는데도 불구하고 허무하게 바로 끝났다. 종료가 결정된 컨텐츠에 신 애니가 더 만들어지를 기대하기는 힘들기 때문. 아주 깔끔한 마무리를 했던 극장판 이후에 나온 시리즈의 마지막이 외전 OVA라는 사실이 좀 뜬금없긴 하지만 원년 맴버인 밀키홈즈와 아르센을 포함한 괴도제국, G4와 페더즈까지 총 출동해서 모두 짧게나마나 대사가 있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어야 할듯하다.
8. OVA: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최고의 인사
探偵オペラ ミルキィホームズ サイコの挨拶
2018년 12월 31일 밀키홈즈 연말 특집 미루미루밀키 방송에서 같이 방영되었고, 도쿄 MX와 유튜브 라이브에서 최초 공개되었다. 분량은 30분.
앙리에트가 밀키홈즈의 의견을 듣고 학교에서 졸업시켜 사회로 데뷔시키려 했는데 밀키홈즈 일행이 말한 졸업은 '다락방 생활에서 졸업하고 싶다'는 뜻이었다.
파이널 라이브를 앞 둔 사실상 마지막 애니인 만큼,밀키홈즈에 등장했던 핵심 인물은 모두 등장한다. 또 뱅가드의 센도 아이치가 까메오로 등장한다. 토이즈를 쓸 수 있는 상태로 애니 1기 1화로 돌아가는 듯한 수미상관적인 소재들이 많이 나온다.
9. 기타
- 게임과 애니의 경우 그 갭이 너무 큰지라 일부에서는 착각하거나 부정하는 사실이 있는데 밀키홈즈의 게임과 애니 전 시리즈는 페러렐 월드가 아니다. 캐릭터의 성격말고도 세부설정에서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위에서 언급한 런던 여행, 괴도 제국의 설립과정, 스톤리버의 칼,[55] 그리고 삭제된 캐릭터들 등등 평행세계급으로 다르지만 서로 이어져있다는 식의 언급은 계속 나온다.[56]
- '우서의 하루살이'라는 5분 정도 분량의 애니메이션의 1기 11화에서 콜라보 형식으로 밀키홈즈 4인방이 출연했다. 원래 애니메이션 특성상 패러디 되는 캐릭터들은 다 우서식으로 그림체가 단순화되어서 나오는데 웬일로 밀키홈즈들은 그대로 나왔다. 소시지 시식 코너 앞에서 단서를 찾는 척하면서 소시지 폭풍 흡입을 시전하는 민폐스러움도 그대로 나왔다.[57] 주인공인 우서가 밀키 홈즈들을 보면서 어릴적에 가졌던 탐정에 대한 환상이 깨지기까지 한다. 지못미. 해당화의 제목은 '유령과 오페라와 우서'. 1기에서 조상들을 빙의시키는 것과 해당 작품의 이름을 생각해보면 굉장히 적절한 제목이란 평이다.
[1] 밀키 홈즈 작품 자체가 불미스러운 일로 와해된 갤럭시 엔젤의 뒤를 이으려고 만든 작품이다. 즉 애니와 게임의 괴리는 제작 초기부터 이미 결정된 일이었다.[2] 1화의 기숙사 식당 이름이 "너무 많은 주방장"인데 이건 렉스 스타우트의 추리소설 "주방장이 너무 많다"의 패러디.[3] 신타니 료코가 하세가와 히라노와 밀피유 사쿠라바를, 사와시로 미유키가 제니가타 츠기코와 민트 브라만슈를, 타무라 유카리가 토오야마 사쿠와 란파 프란보와즈를 맡았다.[4] 기존 방송의 재방송분에 특별편을 집어 넣은 형태. 고로 1기는 12화가 아닌 12+1화의 개념이 된다.[5] BanG Dream!과 D4DJ에서도 해당 컨텐츠의 주인공격인 Poppin'Party와 Happy Around!가 커버했다.[6]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원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7] 원제는 '다락방의 산보자(屋根裏の散歩者)'[8] 원제는 '포켓에 호밀을(ポケットにライ麦を)'[9] 원제는 '삼각관의 공포(三角館の恐怖)'[10] 원제는 '시계탑의 비밀(時計塔の秘密)'[11] 원제는 '신랑 실종사건(花婿失踪事件)'[12] 본명은 시마자키 나나코(島崎奈々子).[13] 원제는 '여왕의 목걸이(女王の首飾り)'[14] 원제는 '태양의 장난(太陽のたわむれ)'[15] 원제는 '세 번째 여자(第三の女)'[16] 원제는 'Y의 비극(Yの悲劇)'[17] 원제는 '여자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직업(女には向かない職業)'[18] 원제는 '공포의 계곡(恐怖の谷)'[19] 원제는 '셜록 홈즈의 귀환(シャーロック・ホームズの帰還)'[20] 어느 시점인지 굉장히 애매모호하다. 중간에 애니메이션 11화에서 G4가 아르센에게 당한 이야기가 나와서 1기 이후의 스토리로 보이지만 다 끝나고 다음화 예고가 8화다. 그리고 7화 마지막 장면에서 코코로 가 아이린에게 납치당하는데 8화에서 멀쩡하게 돌아와있기 때문에 OVA 내용 이후에 돌아온거라고 볼수있기 때문이다.[21] 원제는 '롱 굿바이(ロング・グッドバイ)'[22] 1기에서 캐릭터들의 '구제불능'이 기믹 or 개그코드에 가까웠다면 2기는 진짜로 구제불능이 되어버렸다! 첫화부터 아예 토이즈의 존재 자체를 잊어버리고, 나중에 사고쳐서 감옥에 갔는데 집보다 좋다면서 반성은 커녕 엄청 좋아한다.[23] 원제는 '야망의 끝(野望の果て)'[24] 원제는 '나일에서 죽다(ナイルに死す)'[25] 원제는 '파노라마 섬 기담(パノラマ島綺譚)'[26] 원제는 '셜록홈즈의 회상(シャーロック・ホームズの回想)'[27] 원제는 '구상의 사각(構想の死角)'[28] 원제는 '오리엔트 급행 살인사건(オリエント急行殺人事件)'[29] 원제는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そして誰もいなくなった)'[30] 원제는 '사랑스러운 뼈(愛しい骨)'[31] 원제는 '유주얼 서스펙트(ユージュアル・サスペクツ)'[32] 원제는 'LA 컨피덴셜(L.A.コンフィデンシャル)'[33] 원제는 '사자의 갈기(ライオンのたてがみ)'[34] 원제는 '아르센 뤼팽의 귀환(アルセーヌ・ルパンの帰還)'[35] 기획 초기의 '밀키 홈즈 시스터즈'라는 명칭은 기존의 밀키 홈즈 4인과 신작 밀키 홈즈 2인을 합쳐 부르는 용어이자 캐릭터에 대응하는 성우 유닛의 명칭으로 결정되었다.[36] 제과제빵 공장 견학, 카레 요리 대결, 콘서트 준비, 해당 성우들의 내년 다짐 등등 재미나고 때로는 약을 빤 에피소드들이 즐비하다.[37] 사실 밀키홈즈 성우들이 다른 애니 성우들에 비해 괴상한 기획(?)을 많이 맡는 편이다. 농촌 체험에 케이크 만들기, 야구장에 가서 게임 홍보하고 시구던지기, 붕어빵 맛있게 시식하기.. 등등 이만저만 고생이 아니다.[38] 4화의 내용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1, 2기에 있었던 구제불능 밀키 홈즈의 행적은 흑역사로써 자료실 내에 엄중히 봉인되어 있는 상태이다.[39] 안미금(安美錦)의 필명.[40] 1화에서 대놓고 코코로가 토츠가와의 "'''왜 다른 사람들은 못 나오는 건가요?"'''라는 질문에 '''"어른의 사정이다!!!!"'''라고 크게 일갈한다. 또한 말을 못하는 이유들을 보면 "다이어트 중"같이 하나같이 목소리 내는 것과는 별 관계가 없다. [41] 원래는 밀키홈즈로 출발한 성우들이 러브라이브로 같이 넘어갔다가 밀키 홈즈에 아이돌물 플랫폼이 역수입 된 것이다, 애초에 두 컨텐츠는 서로 콜라보레이션 상품도 낸 적이 있고 러브라이버 중 꽤 많은 사람들이 밀키홈즈에서 넘어온 경우가 상당히 많으며 현재도 이를 병행하는 러브라이버가 상당히 많다. 하지만 밀키홈즈의 인기가 세월이 지나갈수록 러브라이브에 따라잡힌 분위기인지라 이렇고 저런 말이 꽤 많이 나오기도 한다. 그와는 별개로 밀키홈즈 소속 성우들은 다른 일정들보다 밀키홈즈의 일정을 더 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42] 퍼블리셔인 부시로드 명의로 출시되었고, 실제 개발은 gloops(Inblue와 함께 넥슨에서 인수한 일본의 모바일 게임 회사 중 하나.)에서 이루어졌다.[43] 하필 5화의 내용이 납치와 몸값 요구에 대한 내용이라..[44] 원제는 '아이들은 숲에 숨어 있다'.[45] 원제는 퍼펙트 블루.[46] 원제는 '9마일은 멀다'.[47] 원제는 인사이트 밀.[48] 원제는 '올림픽의 몸값'.[49] 원제는 모든 것이 F가 된다.[50] 원제는 '노란 방은 언제 고쳤는가?'.[51] 원제는 '수수께끼풀이는 저녁식사 후에'.[52] 1기 극초반에 나와 밀키홈즈들의 토이즈를 뺐은 번개의 정체, 모리 아티의 목적 및 행방, OVA에서 생물테러를 일으키려다 실패한 악당들의 행방 등등[53] 참고로 OVA쪽 악당들은 밀키홈즈를 OVA판의 밀키홈즈로 기억하고 있어서 TVA판쪽은 이들을 전혀 모르고있다.[54] 하지만 밀키홈즈들이 너무 광렙을 한 덕분에 처음과 비교해서 좀 많이 바뀌었다. 샤로는 원작의 1KG 무게 제한을 완벽히 극복했는지 아예 염동력으로 베리어를 쳐서 4명 다 타서 고속이동까지 하게되는 수준이고 네로는 그냥 완벽한 연금술사가 되어버렸다. 덕분에 트웬티, 스톤리버, 레트는 버틸수가 없다. 유일하게 대장인 아르센느만이 자기의 맞수인 샤로의 상대가 된다.[55] 게임에서는 코델리아 스토리 도중에 고생해서 손에 넣게되지만 애니에서는 원래부터 습득하고 있었다.[56] 다만 이어져있다는 언급은 애니 쪽만 해당되고 아직 2편밖에 출시 안된 게임 쪽은 확실하지 않다.[스포일러] 그 만화가가 그 사건의 범인이었다.[57] 게다가 코델리아는 거기서도 노래를 부르면서 소시지를 찬양하는 기행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