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사법경찰관리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전문(약칭: 사법경찰직무법)[1]
특별사법경찰관리 집무규칙(법무부령)
특별사법경찰관리 지명절차 등에 관한 지침(법무부예규)
1. 개요
'''형사소송법 제197조(특별사법경찰관리)''' 삼림, 해사, 전매, 세무, 군수사기관 기타 특별한 사항에 관하여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의 범위는 법률로써 정한다. (현행법)
특별한 사항에 한정하여 수사권을 갖는 공무원 또는 선장 등. 흔히 "특사경"이라고 약칭한다. 제한 없는 수사권을 갖는 일반사법경찰관리(경찰공무원, 검찰수사관)과 대비된다.'''형사소송법 제245조의10(특별사법경찰관리)''' ① 삼림, 해사, 전매, 세무, 군수사기관, 그 밖에 특별한 사항에 관하여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특별사법경찰관리와 그 직무의 범위는 법률로 정한다. (2020년 개정법, 시행일 미지정)
누가 이에 해당하는지 및 이들에 공통되는 사항은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이 규정하고 있으나, 개별법률에서 특별사법경찰관리로 규정한 공무원도 없지 않다.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소속 관서의 장은 사법경찰 직무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그 직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설치할 수 있다(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12항).
직무별로 각기 다른 혐의에 대해서 조사를 하는데 여기서 피의자 조사를 받는다는 것은 흔히 말하는 '''경찰서 다녀왔다'''는 말과 완전히 동일한 절차다. 출석요구서도 동일 양식(법조항은 제각각 다르지만 그 내용은 글자 몇 개만 빼면 완전히 동일하다)을 사용하며 긴급체포의 권한도 있고(물론 검찰 송치는 필수) 검찰에 송치한 후 기소유예를 받거나 판사의 판결에 의해 벌금형 이상의 처벌이 내려지게 된다.
계속해서 첨단 지능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그 빈도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것으로 보이는 미래를 대비해서 수사기관도 첨단 지능 범죄 분야에 전문성을 갖춰야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를 고려했을때 일반 사법경찰도 중요하지만 각 분야에 뛰어난 전문성이 있는 특사경의 입지와 중요도도 늘어나야 한다는 시각이 대다수다. 지금은 특사경의 권한이 제한적이고 일반 사법경찰의 수사력이 압도적이지만 향후 특사경의 권한과 수사력 또한 확대되는 방향으로 갈것으로 예상된다.
2. 검사장의 지명을 요하지 않는 특별사법경찰관리
2.1. 교도소장 등
2.1.1. 교도소 등의 장
교도소장 등은 해당 시설 안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관하여 사법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한다. 이에 해당하는 사람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교도소·소년교도소·구치소 또는 그 지소(支所)의 장 (사법경찰직무법 제3조 제1항)
- 소년원 또는 그 분원(分院)의 장이나 소년분류심사원 또는 그 지원(支院)의 장 (같은 조 제2항)
- 보호감호소·치료감호시설 또는 그 지소의 장 (같은 조 제3항)
2.1.2. 기타 교정·출입국 관련 공무원
교정시설 순회점검 업무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은 교정시설 안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관하여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한다(사법경찰직무법 제3조 제4항).
출입국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은 출입국관리에 관한 범죄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범죄에 관하여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한다(같은 조 제5항).
- 출입국관리에 관한 범죄와 경합범 관계에 있는 「형법」 제2편제20장 문서에 관한 죄 및 같은 편 제21장 인장에 관한 죄에 해당하는 범죄
- 출입국관리에 관한 범죄와 경합범 관계에 있는 「여권법」 위반범죄
- 출입국관리에 관한 범죄와 경합범 관계에 있는 「밀항단속법」 위반범죄
2.2. 산림 보호에 종사하는 공무원
2.3. 근로감독관 및 선원근로감독관
근로감독관의 직무범위와 수사관할에 관해서는 근로감독관, 노동법 문서 참조.
선원근로감독관은 그의 관할 구역에서 발생하는 선박소유자와 선원의 「선원법」 또는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한 범죄에 관하여 사법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한다(사법경찰직무법 제6조의2 제3항).
2.4. 선장과 해원 등
2.5. 국가정보원 직원
국정원 직원으로서 원장이 지명하는 사람은 국가정보원에 수사권이 있는 죄(국가정보원 문서 참조)에 관하여 사법경찰관리와 군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한다(국가정보원법 제16조, 사법경찰직무법 제8조).
2.6. 자치경찰공무원
이와 관련하여, 자치경찰공무원이 직무수행 중에 범죄를 발견한 경우에는 범죄의 내용 또는 증거물 등을 소속 자치경찰단장을 거쳐 즉시 제주자치도 지방경찰청장 또는 경찰서장(해양경찰서장 포함)에게 통보하고 그 사무를 인계하여야 한다(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98조 제1항 본문).
물론, 특별사법경찰관리로서의 직무에 속하는 범죄와 경범죄 처벌법 및 도로교통법에 따른 통고처분의 대상이 되는 범칙행위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같은 항 단서).
3. 검사장의 지명을 요하는 특별사법경찰관리
3.1. 일반적인 경우
다음 각 자로서 그 소속 관서의 장의 제청에 의하여 그 근무지를 관할하는 지방검찰청검사장이 지명한 자는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한다(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5조).
이들은 계급에 따라 다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5조).
3.2. 근로감독 공무원
근로감독을 하는 고용노동부 공무원 중 7급 이상은 근로감독관으로서 당연히 사법경찰관에 해당하지만, 8,9급은 사법경찰리에 해당하며 관할 검사장의 지명을 요한다. 상세는 근로감독관 문서 참조.
3.3. 국립공원공단 임직원
국립공원공단 문서 참조.
3.4. 금융감독원 직원
3.5. 군사법경찰관리
군사법원법에 의하여, 군인, 군무원 및 군에 준하여 군사법원법의 대상이 되는 사람(사관생도, 사관후보생, 부사관후보생 등)에 대하여 군사경찰은 일반사법경찰권을 행사한다. 이 경우 민간검사의 지명은 필요로 하지 않고, 군검사의 지휘를 받아 수사를 진행한다.
군사경찰은 중대한 군사상 기밀ㆍ초병ㆍ초소ㆍ유독음식물공급ㆍ포로ㆍ군용물에 관한 죄를 범하였거나 또는 비상계엄이 선포된 경우, 헌법 27조 2항 및 군사법원법에 의거하여 군인 또는 군무원이 아닌 국민도 군사법원법에서 재판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군사경찰에서 사법경찰권을 진행하는 것이 행정효율 및 재판효율에 유리하다. 따라서 민간인에 대하여 상술한 범죄의 혐의로 조사할 경우, 검사의 지명을 받아 수색하도록 되어 있다.
군사법원법에서는 군사경찰 병과의 군인들과 군무원, 기무부대 소속 군인과 군무원, 국정원의 직원 및 검찰수사관이 군사법경찰관리의 업무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군사법원법에서는 아직 '헌병'으로 표기되어 있어, 군사특기의 명칭 변경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참고로 특별사법경찰'''리'''의 지위를 가지는 8급 이하 일반직공무원, 소방장 이하 소방관과 달리, 하사와 중사와 8급 이하 대한민국 군무원은 특별사법경찰'''관'''의 지위를 가진다. 이는 군 계급체계에서 하사와 중사는 간부에 속하며, 8급 이하 군무원도 간부에 준하여 대우하기 때문이다.
3.6. 기타
그 밖에, '사법경찰직무법'에는 열거되어 있지 않지만, 대통령경호실 경호공무원도 검사장의 지명에 의한 특별사법경찰관리가 될 수 있다(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 제17조). 또한 국세청 세무공무원도 마찬가지로 검사장의 지명에 의해 특별사법경찰관리가 될 수 있다(조세범 처벌절차법 제2조 4항의 가, 나).[4]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인해 사법경찰관리인 순경 이상 경무관 이하의 경찰공무원이 검사의 수사지휘를 받지 않게 된것에 반해 특사경에 대한 수사지휘권은 유지된다. 하지만 현재 특사경은 검사의 수사지휘권보다도 해당 관청 상급자의 입김에 의해 받는 영향력이 압도적이다. 검찰에는 특사경에 대한 지휘부서가 전무한 상황이며 있다 쳐도 특사경이 관할하는 분야에 대해 무지한 검찰이 무작정 수사지휘를 할 수 없는 현실 때문이다. 수사에 대한 자율성도 중요하지만 형사사법절차에 무지한 특사경이 수사권을 오남용 할수도 있기 때문에 검찰의 감독 역할이 무력화 되어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있다.
현재 특별사법경찰관으로 지정된 부처 중 가장 많은 인원을 확보한 곳이 바로 국세청이다. 특별사법경찰관리 지명된 인원이 17년말 기준 4424명으로 전체인원의 40%를 넘는 인원이다. 즉 특별사법경찰관리 지명자의 대다수가 국세청 소속 공무원인 것을 감안하면, 다른 부분들은 가외적이고 국세청 세무직 공무원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5]
[image]
3.7. 관련 사항
지방검찰청 검사장은 사법경찰관리 및 군사법경찰관리의 지명, 적격 여부 확인 등을 위하여 범죄경력조회 및 수사경력조회를 할 수 있다(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 제11조).
4. 일본의 특별사법경찰
일본 역시 특별사법경찰 제도가 있는데, 한국 형사사법시스템이 대부분 일본에서 유래된 만큼 권한이나 역할이 한국과 매우 유사하다.
- 한일 양국 모두 특별사법경찰로 인정하는 직렬
- 일본만 특별사법경찰로 인정하는 직렬
- 한국만 특별사법경찰로 인정하는 직렬
[1] 영문 명칭: Act on the Persons Performing the Duties of Judicial Police Officials and the Scope of their Duties.[2] 「관세법」 위반사범을 단속할 권한이 있는 공무원은 해상(海上)에서 관세법 제269조(밀수출입죄) 또는 제270조(관세포탈죄 등)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이 정지명령을 받고 도피하는 경우에 이를 제지(制止)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에는 총기(銃器)를 사용할 수 있다(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7조). 보다시피, 조문이 좀 뜬금없는 법률에 들어 있다.[3] 기존에 제36호로 규정되었던 식물검역관이 제34호에 함께 규정되면서, 제36호는 삭제되었다.[4] 법리상으로 판단했을때 세무공무원은 특별사법경찰관리로 인정되지 않는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검사의 수사지휘 대상도 아니고 대인적 강제처분권은 없다. 하지만 형사소송법이 준용되는 대물적 강제처분권을 행사한다는 특성과 전체적인 시각으로 봤을때 조세범칙조사가 검경의 수사처럼 사법적 성격임을 감안했을때 사실상 특별사법경찰관리가 아니냐는 학계의 시각도 다수 존재한다.[5] 하지만 전술했듯이 세무공무원의 수사권은 온전하지 않다.[6] 총리를 경호하는 시큐리티 폴리스는 경시청 소속의 정식 경찰관이다.[7] 같은 VIP 경호조직이기에 대응되는 기관으로 간주.[8] 한국의 경우 특사경은 아니지만 검사와 같이 근무하기 때문에 검사가 체포하는 형식으로 잡는다.[9] 한국도 법적으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지급하지 않는다.[10] 출관직처럼 한국도 법적으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지급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