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위
[image]
영화 라스트 모히칸 中
[image]
울산성 전투. 조명연합군이 일본군이 농성 중인 울산성을 포위하고 있다.
包圍. 사전적 의미는 상대의 주위를 에워싸는 것. 합성어로 포위망, 포위작전, 포위공격등이 널리 쓰인다.
군사적 의미로 많이 쓰이며, 전쟁에서 쓰일때는 크게 야전포위, 공성(對 도시)포위로 나눠진다. 어느쪽이든 당하는 입장에선 치명적이지만, 야전에서 더욱 그렇다. 야전에서 포위를 성공시킨 쪽은 역사에 남을 대승이 되고, 포위를 당한 쪽은 전후 좌우에서 날아오는 공격에 점점 뭉치게 되면서 행동에 제약을 받게 되고 결국 '''전멸'''[1] 이냐 '''항복'''이냐[2] 의 양자택일을 강요받게 된다. 이 경우 아무리 잘 풀린다(어떻게든 포위망을 뚫고 퇴각에 성공) 해도 최소한 대패는 면할 수 없다.
[image]
구체적인 설명은 '''망치와 모루 전술#s-5''' 문서를 참조하자.
하지만 이건 포위작전을 잘 행했을 때의 이야기이다. 손자병법에서 아군이 적의 10배면 포위하라고 하는 이유가 있다. 어지간한 수적 우위 없이는 포위가 어렵다는 뜻이다. 즉, 적은 한곳에 뭉쳐있는데 아군은 적을 포위한답시고 분산배치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철저하게 계산된 시간내에 칼같이 배치가 되어야 포위망이 형성 되는 것인데, 그게 불가능하다면 '''각개격파'''만 될 뿐이다. 그렇기에 사기/숙련도가 높은 정예병이+뛰어난 지휘관의 작전과 통제 하에+기동력까지 갖추고 있어야 제대로 된 포위가 가능한 것이다.[3] 기껏 포위가 성공하나 싶었더니 적 수뇌부가 상황을 금방 깨달으면 혼란에 빠지기전에 충격력을 이용해서 포위망을 돌파하여, 오히려 아군 분단되어 참혹한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의외로 그리 많지 않은 숫자로 포위했을 때는 전투보다는 보급로를 끊어서 이긴 경우도 많다.
이렇듯 포위는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요하는 전술이기에, 유명세 및 성공했을 때의 대성공에 비해서 잘 쓰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이순신조차도 조선수군이 건재했을 시기에나 학익진으로 대표되는 포위전술을 대성공시키며 왜군을 몰살시키기를 밥먹듯 하였지, 사실상의 패잔병만 거느리고 있던 명량 해전에서는 그냥 정직한 방어전 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성 또는 도시를 상대로 포위할때는 견고한 상대를 직접 공격하여 막대한 손실을 입는 대신 상대의 보급을 끊어 말려죽인 후 항복을 받아내는 방법으로 쓰인다. 이 경우는 봉쇄에 가깝다. 겨울에 쓰면 더욱 효과가 있다. 물론 우세한 화력과 병력으로 도시를 그대로 함락시키는 경우도 있다.
포위를 했다가 되려 역으로 포위를 당하는 경우.
영화 라스트 모히칸 中
[image]
울산성 전투. 조명연합군이 일본군이 농성 중인 울산성을 포위하고 있다.
1. 개요
包圍. 사전적 의미는 상대의 주위를 에워싸는 것. 합성어로 포위망, 포위작전, 포위공격등이 널리 쓰인다.
군사적 의미로 많이 쓰이며, 전쟁에서 쓰일때는 크게 야전포위, 공성(對 도시)포위로 나눠진다. 어느쪽이든 당하는 입장에선 치명적이지만, 야전에서 더욱 그렇다. 야전에서 포위를 성공시킨 쪽은 역사에 남을 대승이 되고, 포위를 당한 쪽은 전후 좌우에서 날아오는 공격에 점점 뭉치게 되면서 행동에 제약을 받게 되고 결국 '''전멸'''[1] 이냐 '''항복'''이냐[2] 의 양자택일을 강요받게 된다. 이 경우 아무리 잘 풀린다(어떻게든 포위망을 뚫고 퇴각에 성공) 해도 최소한 대패는 면할 수 없다.
[image]
구체적인 설명은 '''망치와 모루 전술#s-5''' 문서를 참조하자.
하지만 이건 포위작전을 잘 행했을 때의 이야기이다. 손자병법에서 아군이 적의 10배면 포위하라고 하는 이유가 있다. 어지간한 수적 우위 없이는 포위가 어렵다는 뜻이다. 즉, 적은 한곳에 뭉쳐있는데 아군은 적을 포위한답시고 분산배치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철저하게 계산된 시간내에 칼같이 배치가 되어야 포위망이 형성 되는 것인데, 그게 불가능하다면 '''각개격파'''만 될 뿐이다. 그렇기에 사기/숙련도가 높은 정예병이+뛰어난 지휘관의 작전과 통제 하에+기동력까지 갖추고 있어야 제대로 된 포위가 가능한 것이다.[3] 기껏 포위가 성공하나 싶었더니 적 수뇌부가 상황을 금방 깨달으면 혼란에 빠지기전에 충격력을 이용해서 포위망을 돌파하여, 오히려 아군 분단되어 참혹한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의외로 그리 많지 않은 숫자로 포위했을 때는 전투보다는 보급로를 끊어서 이긴 경우도 많다.
이렇듯 포위는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요하는 전술이기에, 유명세 및 성공했을 때의 대성공에 비해서 잘 쓰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이순신조차도 조선수군이 건재했을 시기에나 학익진으로 대표되는 포위전술을 대성공시키며 왜군을 몰살시키기를 밥먹듯 하였지, 사실상의 패잔병만 거느리고 있던 명량 해전에서는 그냥 정직한 방어전 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성 또는 도시를 상대로 포위할때는 견고한 상대를 직접 공격하여 막대한 손실을 입는 대신 상대의 보급을 끊어 말려죽인 후 항복을 받아내는 방법으로 쓰인다. 이 경우는 봉쇄에 가깝다. 겨울에 쓰면 더욱 효과가 있다. 물론 우세한 화력과 병력으로 도시를 그대로 함락시키는 경우도 있다.
2. 현실에서 성공한 포위
2.1. 야전
2.2. 해전
2.3. 對 도시
- 평양성 전투(668년)
- 병자호란 때 청군의 남한산성 포위 → 항복
-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당시 프로이센군의 파리 포위 → 항복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 함락
- 세바스토폴 공방전
- 베를린 전투
3. 가상에서 성공한 포위
별로 유명하지 않은 작품이고 완성도도 안습 그 자체인 최하위 직업에서 최강까지 출세하다 ~꾸준한 노력은 치트였습니다~라는 라이트 노벨에서 300 VS 5000을 300이 포위섬멸진이라는 진영을 펼쳐서 이겼다는 서술이 나왔다.(...) 덕분에 일본 2ch는 물론이거니와, 타입문넷, 루리웹에서 '이게 뭔 미친 소리냐?'며 네타거리가 되었고, 포위섬멸전만 쳐도 검색 페이지가 이걸로 도배가 될 지경이 됐다. 이후 워낙에 욕을 쳐먹은 나머지 5000을 500으로 수정하는가...... 싶더니만, 서적판에서는 990 VS 6000으로 재조정을 해놨다(...) 17배 조금 안 되는 차이에서, 6배 조금 넘는 차이로 줄어들긴 했지만, 이건 무슨....
4. 현실에서 실패한 포위
4.1. 야전
- 장진호 전투
- 사르후 전투
-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 쿠르스크 전투
- 청산리 전투 후반부
- 크웨이러스(Kweires) 공군기지 포위 (시리아 내전)
4.2. 對 도시
- 알레시아 전투
- 번성 공방전
- 안시성 전투
- 평양성 전투(661년)
- 레닌그라드 공방전
- 보스니아 내전 - 사라예보 포위전. 무려 1425일이나 이어진 포위를 버텨 내었다.
- 누블, 알 자흐라 포위 (시리아 내전)
2012년 7월 19일부터 2016년 2월 3일까지 알레포 주 북부의 시아파 거주 2개 읍인 누블, 알 자흐라(합쳐서 인구 3만 5천~6만)가 자유 시리아군, 알누스라 전선, 이슬라믹 프론트에 포위되었었다. 결국 시리아군과 헤즈볼라가 작전을 펼쳐 포위 해제.
- 데이르 에조르 포위 (시리아 내전)
2014년 7월 14일부터 2017년 9월 5일까지 3년 1개월간 IS에 포위된 시리아 정부군의 점령 도시였다. 이 포위 기록은 레닌그라드 공방전 때의 레닌그라드보다 아홉 달쯤 더 길게 포위를 견딘 것이다.
5. 가상에서 실패한 포위
- 아스타테 성역 회전
- 폴라리스 공방전 - 폴라리스 랩소디
6. 역포위
포위를 했다가 되려 역으로 포위를 당하는 경우.
6.1. 對 도시
카이사르는 갈리아 연합군의 결전을 강요하기 위해 베르킨게토릭스가 도망친 알레시아를 포위했고, 알레시아 공격보다는 포위망 방어진 강화에 주력하는 등, 의도적으로 역포위 상황을 유발했다. 그리고 이겼다!
데이르에조르를 3년 넘게 포위하던 IS는 2017년 시리아 군에 의해 역포위를 당하고, 얼마 못 가 결국 괴멸되고 만다.
7. 포위전으로 이름난 명장들
세계 전쟁사에서 가장 유명한 포위전술전인 칸나이 전투를 지휘한 장군.
다만 한니발의 전술을 그대로 베꼈다고 하여 낮게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해전에서 포위전을 사용해 대승을 거두었다.
8. 관련 문서
[1] 성공적으로 적을 섬멸전 단계까지 이끈 포위전은 흔히 포위섬멸전이라고도 부른다.[2] 항복하고도 몰살당한 사례도 있다. 장평대전 문서 참고.[3] 조조는 손자병법에 "아군의 역량이 적군보다 훨씬 우월하면 굳이 10배의 병력까지는 필요없다"고 주석을 단 바가 있는데 이러한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