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조롱이

 

[image]
'''황조롱이'''
Kestrel
이명:
''Falco tinnuncul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매목(Falconiformes)

매과(Falconidae)

매속(Falco)

'''황조롱이(F. tinnunculus)'''
[image]
학명: ''Falco tinnunculus''
한국어: 황조롱이
일본어: チョウゲンボウ(長元坊)
중국어: 紅隼, 紅鷂子, 鷂子
영어: common kestrel
독일어: Turmfalke
프랑스어: Faucon crécerelle
스페인어: cernícalo común
러시아어: обыкнове́нная пустельга́
에스페란토: tinunkolo
[clearfix]
1. 개요
2. 특징
3. 현재의 모습
4. 유사종


1. 개요


황조롱이는 소형 맹금류로, 유럽·아프리카·말레이시아·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도시의 건물이나 산 지역에서 번식하는 드물지 않은 텃새이다. 몸길이는 33 ~ 35㎝이고, 4~6개의 알을 낳으며, 먹이를 찾으며 공중에서 원을 그리며 돌고 일시적으로 정지 비행하는 습성이 있다. 자신이 둥지를 틀지 않고 새매말똥가리가 지은 둥지나 하천의 흙벽 및 암벽의 오목한 곳에 번식하며, 주로 절벽이나 처마 같은 지형에 둥지를 튼다.
천연기념물 제323-8호로 지정되어 있다.

2. 특징


분포는 한국·일본·중국, 동쪽은 티베트까지, 남쪽은 통킹·미얀마, 히말라야 및 펀잡 북부, 겨울에는 하이난 섬·인도네시아·인도·스리랑카, 때로는 필리핀·보르네오·말레이시아에서 월동하며 타이완에서도 기록되어 있다. 사실상 오늘날 대한민국의 하늘을 지배하는 맹금류로, 생존과 번식을 위해 토끼나 고라니 등의 큰 사냥감을 노리는 검독수리라든지, 야행성 사냥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수리부엉이 등의 대형 맹금류들은 야생동물의 수가 크게 감소한 도시 주변에서는 사실상 전멸하다시피한 데 비하여 몸집이 작은 황조롱이는 도시에 차고 넘치는 닭둘기, 참새를 포식하며 적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
울음소리는, 평소에 어디 앉아서 내는 소리는 "끼엑 끼엑 끼엑 끼엑"하는 소리를 반복하며 낸다. 그 외에 하늘 높이 날아다니며 내는 소리는 ''휘이~리리리라~"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생각보다 자주 등장하곤 한다. 주로 시골 또는 옛날을 배경으로 한 넓은 벌판 장면이 나오면 상당히 높은 가능성으로 이 소리가 들린다. 미국 애니메이션의 절벽 및 계곡을 대표하는 새(그리고 맹금류를 상징하는) 울음소리가 붉은꼬리말똥가리의 소리라면 일본 애니메이션의 한적한 시골 들판을 대표하는 새 울음소리는 바로 이 녀석의 소리다. 대한민국에서도 간혹 황조롱이가 사는 지역에서 낮 동안에 이들이 공중에서 활동할 때 그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대개 100~150m 남짓의 야트막한 산 위의 대학교 부지나 군부대 등에서 자주 보고 들을 수 있다.
외모는 소형 맹금류답게 꽤나 귀여운 편. 땡그랗고 검은 눈과 작은 몸, 귀여운 두상이 합쳐져서 귀엽다는 평가가 많다.
아무래도 크기가 작은 데다[2] 먹이의 종류가 폭넓다는 점이 생존에 있어 유리한 점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덩치가 작아서 적은 양의 먹이만으로 활동이 가능한 데다 개체가 살아가는 데 있어 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다. 대단한 사냥을 하지않고 곤충만 먹고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도 큰 이점. 게다가 이들은 도시에서도 사는데 도시의 생태는 이들에게 밥이 될 곤충, 비둘기, 쥐, 기타 소형 조류 등 다른 피식자들이 충분한 편이다. 한국의 도시는 그린벨트 등 보통 작은 뒷산을 끼고 있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도 다람쥐 등 황조롱이의 한 끼가 되는 소동물이 많다.
더군다나 특유의 비행 능력과 기동성이 다른 상당수의 맹금류에 비해 우위에 있어 직접적인 충돌이나 먹잇감 경쟁에서도 우위에 있을 수 있다는 것. 전투기로 비유하자면 동급의 다른 기종에 비해 속력·선회력·항속 거리나 작전 반경 자체가 우수하다는 것. 당연히 직접 교전이든 같은 표적에 대한 포착 능력이나 선제타격 능력 등이 우세이므로 타 기종에 비해 우위를 갖는 건 당연하다.
날개의 양력 효율이 굉장히 높은지(다만 맞바람이 약간 필요하다) 호버링[3]하고 있다가 먹이가 보이면 급강하해서 붙잡는다. 바람이 강하면 무려 뒤로 나는 장면도 이따금씩 목격된다.

황조롱이가 나는 모습.
또 호버링이 아니더라도 비행중에 급강하해 먹이를 잡는다.정말 순간적으로 낚아채서 다시 급상승하는데, 잠깐 눈을 돌리는 사이 없던 무언가가 발에 붙들린 채 날아가는 수준.
또한 발바닥에 있는 민감한 세포에 의해 먹이에 발이 닿는 순간 반사적으로 발톱이 먹잇감을 파고든다. 이런 점 때문에 어지간히 사람에 경계심이 없어진 황조롱이라고 해도 직접 만지려고 하는 것은 위험하다.
서울특별시 도심에서 비둘기를 사냥하는 사진 영상1 영상2이 포착되어 황뽀대라는 칭호를 얻었다. 비둘기의 자연 천적은 없는 것으로들 알고 있었으나, 새로이 떠오른 다크호스.둥지 습격 덕분에 도심에 황조롱이가 떴다 하면 길가에서 편히 돌아다니던 비둘기들은 공황 상태에 빠진 듯이 길을 헤매거나 황조롱이가 보지 못한 곳으로 우루루 몰려갈 정도. 좀 민감한 참새나 까치 같은 경우는 비둘기보다 먼저 아무 이유 없이 일제히 사방팔방으로 흩어져 도망간다.
한강변의 패권을 노리는 까치 떼에게 패퇴하는 모습도 목격되었는데 원광대학교에서는 까치 1마리에게 황조롱이 3마리가 공격당하는 진풍경이 목격된 바 있다. 까치의 경우 워낙 성깔이 사나워서 가능한 일이다. 얘는 상황만 되면 맹금류에게도 기꺼이 덤빈다. 황조롱이와 친척뻘인 비둘기조롱이도 여러 마리가 모여있는 상태에서도 까치 한 마리에게 꼼짝을 못할 정도이니 까치가 거의 체격이 엇비슷한 소형 맹금류 상대로 얼마나 깡이 쎈지 알 수 있다. 시골 등지에서는 드문드문 에게 죽은 시체도 발견된다. 삵도 현재 대한민국에선 육상 쪽 상위포식자 중 하나다.
덧붙여서, 이들은 유리를 인식하지 못한다. 도심에서 닭둘기를 사냥하려고 왔다가 빌딩에 머리를 처박고 떨어지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대부분의 야생 동물이 거울을 보면, 자신의 상이 반사됐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거울 너머에 자신과는 다른 독립된 개체가 하나 더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미러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지능을 가진 동물은 매우 적다. 그리고 유리는 반사, 굴절이 없다는 전제하에 이론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어떠한 동물도 볼 수 없다. 동물의 시각은 물체에 반사되어 나온 빛을 감지하는 것인데,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체는 시각적으로 없는 것이나 같다. 인간이나 일부 동물이 유리를 인식하는 것은 경험의 산물일 뿐이다.[4] 때문에 버드세이버 스티커는 맹금류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맹금류 모양의 버드 세이버는 전형적인 전시행정의 산물로, '''전혀 소용이 없다.''' 그래서 스티커를 붙여놓아도 스티커가 없는 부분으로 날아가다가 죽는다. 오히려 10cm정도의 간격을 두고 있는 점 모양의 스티커나 자외선을 반사하도록 만들어진 유리가 훨씬 더 효과적이다.
[image]
서울 도심에서는 서울어린이대공원동물원에 야생 황조롱이가 가끔씩 등장하는 편. 특히 호랑이, 사자, 코끼리 우리 쪽에 가끔씩 날아와 사람들 앞에서 착지하는 모습도 보인다. 아주 가끔 사냥도 한다. 그래서인지 바로 옆인 세종대 건물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2015년엔 아성체 황조롱이가 공대건물에 난입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사실 맹금류 중에서는 개체수가 상당히 많은 편이기 때문에 한강공원이나 중랑천, 안양천 주변같이 탁 트인 곳을 산책하다 보면 한두 마리는 쉽게 볼 수 있다. 탁 트인 교외 농경지에서는 전봇대 꼭대기를 찬찬히 뒤지면 앉아서 쉬는 것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청라호수공원 근처에 자주 나타나기도 한다.
매사냥에 쓰이기도 하며 과거 백제시대 땐 여성 전용 매사냥 새였고, 도롱태라고 불렸다. 현재에도 매사냥에 쓰이기도 한다.
황조롱이가 천연기념물이다보니 흔히 개체수가 부족하거나 심지어는 멸종 위기종이라고 착각하기 쉬운데, 한국 국내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는 토종 텃새다.(출처: 한국조류보호협회) 때문에 "오히려 이렇게 흔한 새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필요가 있을까?"하는 말이 나올 정도.(출처)[5] 황조롱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보기 드문 새라서가 아니라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만약 사라진다면 생태계 균형이 깨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멸종 위기 동물 등급은 최소관심대상(Least Concern, LC; IUCN) 너무 흔해서 멸종할 가능성이 사실상 없다는 말이다. 참고로 멸종 위기 등급에서는 인간도 최소관심대상으로 분류되어 있다. 멸종 우려에 대해 최소한의 관심만 가지면 된다고 해석하면 될 것이다. 사실 맹금류치고는 너무 흔해서 일본에서만 해도 서식지만 보호하며 야생 황조롱이를 포획하는 것만 금지할 뿐, 개인이 사육하는 개체를 번식시키는 것에는 아무런 제약도 없으며, 이런 개인이 번식시킨 황조롱이는 아무 문제 없이 애완동물로 거래되고 있다.[6] 스스로 사냥을 나갔다 오기 때문에 굳이 먹이를 주지 않아도 되어서 길들이기도 쉬운 편이며 오래 길들이면 거실로 들어오거나 사람이 자신을 만지는 것을 허용하기도 한다.
이름과 달리 조롱이와는 조금 거리가 있는 종이다. 조롱이는 Hawk라 불리는 새매와 가깝고(수리목 수리과), 황조롱이는 Falcon 이라 불리는 에 가깝다(매목 매과).[7] 참고로 쇠황조롱이는 황조롱이와 이름이 비슷한데, 비교적 흔하고 한 곳에 눌러사는 텃새인 황조롱이와는 달리 쇠황조롱이는 한국에 가끔 날아오는 보기 드문 철새이다.
여담으로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에서 이름을 부르면 재롱을 부리고 사람 정수리 위에서 생활하는, 새순이라는 참새가 주인공이었던 방송분이 있었는데, 이 참새가 잠깐 길가에 있는 나뭇가지 위에 올라간 사이 황조롱이가 낚아채 가버렸다. 당연히 그 참새는 먹이행. 순식간에 카메라 앞에서 주인공이 사망해버린 이 에피소드는 결국 방영되지 못 하였고 추후 X파일 특집으로 공개되었다.

3. 현재의 모습


요새는 맹금류답지않게 도시 주변에서 생각보다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다. 먹이가 되는 쥐나 새같은 작은 동물들도 도시 주변에 많기 때문이며 심지어 인간에 대한 경계심도 얕아졌는지 사람들이 사는 아파트 베란다발코니에 천연덕스럽게 둥지를 까는 모습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우선 절벽이나 처마 밑에 둥지를 트는것보다 구조적으로 훨신 안정적이고[8], 고층 아파트 일수록 대부분의 천적들이 거의 접근 못하는 천혜의 요새가 따로없는 데다[9], 사람들까지 상주하고 있으며[10], 매 종류에 속하는 천연기념물인데다[11] ''''집에 매가 둥지를 틀면 좋은 징조'''' 라는 인식도 있어 최소한 해코지는 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12]
이 정도 환경만 해도 황조롱이의 새끼들은 어지간한 포육과정에서 도태될 확률이 야생 개체들보다 훨씬 낮은 편인데다 이상태로 가만히 내버려 둬도 잘 자랄 황조롱이 둥지의 아파트 주인이 동물을 좋아하기까지 한다면 금상첨화 인지라 황조롱이에게 있어서 이런 아파트는 이 이상 없을 최고의 환경이다.[13] 그러다보니 아파트에서 이렇게 인간을 경험하고 알게 된 황조롱이 가족들이 아파트에서의 VIP 대접 맛을 잊지 못하고 다음 해에 다시 오거나 다른 아파트를 찾아 들어갈 확률이 높다. (...)
사실 황조롱이 이외에도 많은 새들이 아파트에 둥지를 짓지만 모두가 환영받는것은 아니다. 가장 흔하게 둥지를 볼 수 있는 비둘기를 유튜브에 검색할경우 연관 검색어로 바로 "비둘기 퇴치"가 나오며 각종 도구와 약품을 동원해 집에서 내쫓는건 기본이고 비둘기의 눈앞에서 알과 둥지를 치우거나 알을 구워 프라이를 해먹고 삶은 알을 둥지에 넣어서 반응을 즐기는 증오성 컨텐츠들이 주르륵 나온다... 워낙 이미지가 안좋은 비둘기와 육아영상을 비롯한 각종 애정어린 컨텐츠가 줄줄이 나오는 황조롱이는 사람들의 반응이 정말 대조적인 모습이다.

4. 유사종



[1] 황조롱이가 고양이까지 공격하기도 한다. 다만 도 도심 소동물치고는 전투력이 높아서 굳이 고양이를 노리는 경우는 자주 있지는 않다. 또한 황조롱이 체급에 고양이를 잡아 죽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아마도 둥지 근처에 고양이가 있어서 위협하려고 한 행동일 확률이 높다.[2] 덩치는 비둘기랑 거의 비슷하거나 더 작고 날개만 살짝 긴 정도로 맹금류 치고는 매우 소형이다.[3] https://www.youtube.com/watch?v=O-txnYnZDd4/https://www.youtube.com/watch?v=tuxdddIgii0/https://www.youtube.com/watch?v=_03F49thJ6s/호버링 근접 영상/호버링 영상[4] 건물 공사로 새로 유리를 설치하는 경우, 투명하기 때문에 유리가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부딪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서 크게 테이프로 X 표기를 하거나 경고 문구를 부착한다. 공사중이 아닌 완성된 유리문 가운데에 가로로 길게 스티커를 붙여 놓거나 일부를 불투명하게 처리하는 것도 무심코 드나들다가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5] 비슷한 얘기가 나오는 동물로 도롱뇽 등이 있다. 사실 이들은 성공적으로 보호를 했기 때문에 개체수가 나름 회복이 되어서 이제 꽤 흔해진 것이다.[6] 물론 엄청나게 비싸다. 법적으로는 아무 문제도 없지만, 애완 황조롱이 한마리에 20만~30만엔에 육박할 정도로 고가로 거래된다.[7] 이는 황조롱이의 친척인 비둘기조롱이도 마찬가지다.[8] 무너질 일 없는것은 물론, 비가 와도 어지간한 악천후가 아니라면 잘 젖지 않는다.[9] 알과 새끼를 노리는 고양이와 뱀, 삵 등의 접근이 원천봉쇄되며, 검독수리수리부엉이 같은 조류는 고층 둥지에 접근 자체는 가능하지만 이들은 아파트가 있는 도심에는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다.[10] 닭둘기 보다 이미지가 훨씬 좋아서 오히려 신기해 하며 왠만해선 황조롱이가 거주하는 베란다 환경에 신경을 써주는 편이며 방송국에 제보하기도 한다.[11] 천연기념물의 불법적 포획이나 밀렵, 고사시 5년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이하의 벌금이 물린다.[12] 황조롱이가 거주하는 시기 동안 베란다를 쓰는 게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배설물과 울음소리 등 시각 + 후각 + 청각 모두 피해를 볼 수 있어서 불편함을 감수하고 싶지 않다면 야생동물보호협회에 신고해 아기새를 죽이지 않고 조용히 보내는 방법을 주로 쓴다. 이렇게 하면 거주지가 다른 곳으로 옮겨질 뿐이니 황조롱이 입장에서도 크게 해가 될 건 없다.[13] 야생에서야 먹이도 부족하고 약한 새끼들일수록 강한 형제자매들에게 가차없이 밀려나겠지만 아파트 주인이 인심 좋고, 특히 마음에 들기까지 했다면 황조롱이 가족들 모두 배불리 먹을 수 있게 돼지고기를 먹여 잘 챙겨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