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클럽

 

1. 개요
2. 비판
3. 총평
4. 기타


1. 개요




Korea Joins the '20-50 Club' (Insight)
1인당 국민소득 2만('''20''' Thousand) 달러 이상, 인구 5,000만('''50''' Million) 명 이상의 기준을 동시에 충족한 국가를 지칭. 2012년 5월 말 '''조선일보에서 처음''' 경제 규모 및 선진국의 기준으로 제시한 신조어.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일보에서 정의한 20-50 클럽 국가 목록
국가
2015년 1인당 GDP(달러)
국가별 인구(명)[1]
미국
55,805
321,601,000
일본
32,486
126,926,000
독일
40,997
81,900,000
영국
43,771
65,097,000
프랑스
37,675
64,275,000
이탈리아
29,867
60,796,000
대한민국
27,195
50,629,000
현재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영국 이렇게 7개 국으로 구성되어있다. 2014년에 비해 2015년에는 되려 미국 빼고 줄었는데 이것은 달러강세 때문이다.

2. 비판


'''20-50 클럽에서 한국만 빼면 전부 40-60을 기록해본 적이 있는 국가들이다.'''
한국을 20-50 클럽 리스트의 나머지 국가들과 같은 격으로 취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조어일 뿐 아무런 공신력이 없다. G7과 G20이야 공신력과 실체가 있는 회합이고, 브릭스MINT, 넥스트 일레븐, MIKTA, MAVINS[2]는 세계적으로 공신력이 있는 금융사 골드만삭스에서 만들어낸 단어라지만 20-50 클럽은 신뢰도가 지극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인구 5천 만 이상 국가(2013년 기준)
1인당 GDP 2만 달러대 이상 국가(2013년, IMF)
총 GDP 5천 억달러 이상 국가(2013년, IMF) #
순위
국가
인구(명)
순위
국가
1인당 GDP(달러)
순위
국가
GDP(백만달러)
1
중국
1,368,130,000
1
룩셈부르크
112,473
1
미국
16,768,050
2
인도
1,263,100,000
2
노르웨이
100,579
2
중국
9,469,124
3
미국
319,163,000
3
카타르
98,986
3
일본
4,898,530
4
인도네시아
252,164,800
4
스위스
81,276
4
독일
3,635,959
5
브라질
203,505,000
5
호주
64,578
5
프랑스
2,807,306
6
파키스탄
188,254,000
6
덴마크
59,129
6
영국
2,523,216
7
나이지리아
178,517,000
7
스웨덴
58,014
7
브라질
2,246,037
8
방글라데시
157,390,000
8
싱가포르
55,182
8
러시아
2,096,774
9
러시아
146,233,000
9
미국
53,001
9
이탈리아
2,071,955
10
일본
127,080,000
10
캐나다
52,037
10
인도
1,876,811
11
멕시코
119,713,203
11
네덜란드
50,816
11
'''캐나다'''
1,826,769
12
필리핀
100,613,300
12
핀란드
49,055
12
'''호주'''
1,505,924
13
베트남
89,708,900
13
오스트리아
49,039
13
'''스페인'''
1,358,687
14
에티오피아
87,952,991
14
아일랜드
48,608
14
'''대한민국'''
1,304,468
15
이집트
87,572,500
15
벨기에
45,538
15
멕시코
1,260,915
16
독일
80,767,000
16
아이슬란드
45,416
16
인도네시아
870,275
17
이란
77,924,700
17
쿠웨이트
45,189
17
네덜란드
853,806
18
터키
76,667,864
18
독일
44,999
18
터키
819,990
19
콩고민주공화국
69,360,000
19
아랍에미리트
44,552
19
사우디아라비아
748,450
20
프랑스
66,078,000
20
프랑스
44,099
20
스위스
650,431
21
태국
64,871,000
21
뉴질랜드
40,516
21
아르헨티나
610,288
22
영국
64,105,654
22
브루나이
39,659
22
스웨덴
558,949
23
이탈리아
60,783,711
23
영국
39,372
23
나이지리아
521,812
24
남아프리카공화국
54,002,000
24
일본
38,468
24
폴란드
517,705
25
버마
51,419,420
25
이스라엘
36,926
25
노르웨이
512,581
26
'''대한민국'''
50,423,955
26
이탈리아
34,715
26
벨기에
508,275

27
스페인
29,150


28
바레인
27,926


29
'''대한민국'''
25,975

인구가 5천만을 채우지 못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3] 이상 & 국가총생산 1조달러 이상인 국가"는 3개 스페인,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가 더 있다.
스페인은 약 4600만 정도의 인구 규모를 지녔으며, 전통적으로 제조업과 금융업, 관광업을 키워온 남유럽 부국이다. 그러나 유로존 위기에 크게 쇼크를 받은 후 수년간 저성장 및 내부 분열에 시달리다가 2016년부터 서서히 쇼크에서 헤어나오게 되었다. 2014년에 한국에게 경제 규모를 따라잡혔으며, 2018년 기준 전체 gdp, ppp는 한국과 다소 차이가 벌어졌고, 1인당 gdp도 살짝 적다.
캐나다는 3600만, 호주는 2400만 정도의 인구를 지녔고 각각 43,000달러, 51,000달러 정도의 1인당 gdp를 보여준다. 거의 하나의 대륙만한 국토에서 나오는 천연 자원과 농산물 수출이 경제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영연방 소속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3. 총평


'''대한민국선진국 콤플렉스와, 내실이 아닌 외형만을 중요시하는 국격만능주의가 만들어낸 산물.'''
인구가 5,000만 넘는 국가 중에 20,000달러 이상 기록한 나라가 드문 것 자체는 사실이다. 인구가 많을수록 평균 국민소득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건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제한된 여건에서 이 정도의 경제 발전을 해냈다는 것을 심플하게 보여주는 지표로서는 나쁘지 않다. 다만 이것을 그 이상의 무언가로 활용할 수는 없다.
어차피 20-50 클럽이란 단어가 한국 내에서조차도 오래 회자되지 않았음에도, 온갖 조롱이 속출했던 이유는(....) 일단 해당 조어가 생겨날 당시 저 클럽 속 선진국들을 포함한 전세계가 불황 속에 있었던 데다, 한국은 저성장 및 실업, 양극화 문제에 속을 썩는데 더해 정부-국민 갈등까지 심화되어 사회 분위기가 침체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런 시점에 국민 소득 2만 달러를 자축하는 신조어가 따위는 쓸데없이 애국심을 독촉하는 프로파간다로 보일 수 밖에.


한국, 내년 '30-50 클럽' 가입..세계 7번째/YTN
2018년에 한국의 국민 소득이 3만 달러를 넘어서서 이 조어는 30-50클럽으로 대체되었고, 다음 목표로 40-50클럽이 등장했다. # IMF의 추계에 의하면 한국은 2023년 경에 4만달러 시대에 진입하게 된다.

4. 기타


스포츠에서 20-50 클럽이라고 따지고 들면 20-20 클럽과 마찬가지로 특정 기록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실 30-30 클럽, 40-40 클럽 같은 것들은 만능 선수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에 20-50 클럽, 30-60 클럽 식으로 선수의 기록에 숫자를 맞추는 건 크게 의미는 없다.
  • 야구로 따지면 20홈런 50도루인데 한국 프로야구에서 이 범주에 포함되는 인물은 이종범이 유일하다. 무려 세차례나 기록했는데 (96, 97, 03)2003년에는 20홈런 50도루로 여기에 딱 맞췄다. 각각 시즌에 20홈런 50도루를 둘다 경험해본 선수로는 김주찬과 이순철이 있다.
반대로는 50홈런 20도루가 있는데 이건 아직 달성자가 없고 야마이코 나바로의 48홈런 22도루가 가장 근접한 수치다.
  • 축구로 따지면 20득점 50도움인데 이를 달성하는 선수가 있다면 뛰어난 골잡이가 있는 팀의 섀도우 스트라이커나 공격형 미드필더일 가능성이 높다. 리오넬 메시가 한 시즌만에 80골 20도움을 달성하긴 했다.
그래도 한 가지 위안삼을 만한 것이 있다면, 이 목록에 있는 나라들 중에서 대한민국은 유일하게 정말 밑바닥에서 시작해서 그 자리까지 올라간 나라라는 것이다. 다른 여섯 나라들은 모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만 하더라도 각각 연합국추축국핵심 주축을 이루던 국가들이었고, 여기에 캐나다가 끼면 바로 '''G7'''이다. 그리고 위에서 지적한 대로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이상 & 국가총생산 1조달러 이상인 국가'로 범위를 확장해도 별로 달라질 것은 없는데, 스페인은 아무리 스페인 내전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독재로 나라가 피폐해졌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유럽 국가였던데다가 산업기반이 초토화되지는 않았기도 했기 때문에 한국보다는 처한 환경 자체가 훨씬 좋은 국가였다. 호주캐나다는 애시당초 영국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성장한 영연방 소속이며 드넓은 영토에서 나오는 자원이 풍부한 곳이라 역시 한국과는 처한 환경 자체가 매우 다르다.

[1] 2016년 4월 IMF 자료. 예측치 포함[2] "마빈스"라고 읽으며 멕시코, 호주, 베트남,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3] 2018년 기준 3만 달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