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역사

 


[1]
1. 개요
2. 공산주의의 원류
3.2. 인터내셔널과 초기 공산주의 운동
3.3. 사회민주주의와의 갈등
4.1. 볼셰비키 혁명
4.2. 레닌주의 하의 소련
4.3. 스탈린주의로의 변화
4.4. 스탈린 체제
5. 공산주의 운동의 전파
5.1. 유럽의 공산주의 운동
5.2. 아시아의 공산주의 운동
5.3. 아프리카의 공산주의 운동
5.4. 아메리카의 공산주의 운동
5.5. 제2차 세계대전과 반파시즘
6. 전후 유럽의 공산주의
6.1. 동유럽의 공산화
6.2. 소련의 변화경직
6.3. 변화의 시도
6.4. 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
7. 전후 비(非)유럽 지역의공산주의
8. 공산주의의 붕괴
8.1. 공산국가의 개혁개방
8.2. 소련의 붕괴
9. 현재의 공산주의
10. 관련 문서


1. 개요


본 문서에서는 공산주의의 역사를 '''통시적 관점'''으로 작성하였다. 다만 공산주의가 사회주의의 급진적 분파라는 점을 감안할 때 몇몇 부분은 사회주의/역사 문서와도 겹칠 수도 있다.[2]

2. 공산주의의 원류


관련 문서 참고.

3. 과학적 사회주의



3.1. 마르크스엥겔스


[image]
[image]
[image]
[image]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공산당 선언
자본론

3.2. 인터내셔널과 초기 공산주의 운동



3.3. 사회민주주의와의 갈등



4. 러시아 혁명소련



4.1. 볼셰비키 혁명



4.2. 레닌주의 하의 소련



4.3. 스탈린주의로의 변화


[image]
이오시프 스탈린

4.4. 스탈린 체제


[image]
[image]
[image]
대숙청 당시 숙청대상자 목록
라스쿨라치바니예 당시의 집단농장
우크라이나 대기근 당시의 아이들

5. 공산주의 운동의 전파



5.1. 유럽의 공산주의 운동



5.2. 아시아의 공산주의 운동



5.3. 아프리카의 공산주의 운동



5.4. 아메리카의 공산주의 운동



5.5. 제2차 세계대전과 반파시즘



6. 전후 유럽의 공산주의



6.1. 동유럽의 공산화



6.2. 소련의 변화경직


[image]
[image]
니키타 흐루쇼프
쿠바 미사일 위기
[image]
[image]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프라하의 봄(1968)

6.3. 변화의 시도


[image]
[image]
[image]
알렉산데르 둡체크
(체코슬로바키아)
너지 임레
(헝가리)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6.4. 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


[image]
[image]
[image]
[image]
발터 울브리히트
(동독)
에리히 호네커
(동독)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
(폴란드)
보이치에흐 비톨트 야루젤스키
(폴란드)
[image]
[image]
[image]
[image]
카다르 야노시
(헝가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엔베르 호자
(알바니아)
토도르 지프코프
(불가리아)

7. 전후 비(非)유럽 지역의공산주의



7.1. 아시아


[image]
[image]
김일성
천리마 운동 포스터
[image]
[image]
[image]
[image]
중공 시기의 마오쩌둥
대약진 운동 포스터
제사해 운동 포스터
문화대혁명의 광기
[image]
[image]
베트남 전쟁 당시 노년의 호치민
사이공 대통령궁에 진입하는 베트콩 전차

7.2. 아프리카



7.3. 아메리카


[image]
[image]
피델 카스트로와 혁명군 병사들
체 게바라

8. 공산주의의 붕괴



8.1. 공산국가의 개혁개방


[image]
[image]
덩샤오핑
천안문 6.4 항쟁(1989)

8.2. 소련의 붕괴


[image]
미하일 고르바초프

8.3. 동유럽 혁명



9. 현재의 공산주의



10. 관련 문서



[1] 이 영상은 다큐멘터리 '지상의 낙원 - 사회주의의 비상과 몰락(Heaven on Earth - The Rise and Fall of Socialism)'이다. 다만 이 영상에서의 '사회주의(Socialism)'는 사회주의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라기보다 공산주의(Communism)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2] 단, 사회주의/역사 문서에서는 공산주의뿐만 아니라 사회민주주의 등의 타 분파들도 전체적으로 어우르는 관점을 취했기에 그 문서로만 공산주의의 역사를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