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무라 카즈오
1. 소개
中村 一夫 [1]
일본의 애니메이터.
대표작은 마징가 시리즈, 겟타로보 시리즈, 강철 지그, 백수왕 고라이온 등.
무시 프로덕션 출신으로 데즈카 오사무 , 토미노 요시유키에게도 인정받은 실력파. 1970년대 로봇 애니메이션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지금도 이 사람이 담당한 에피소드만 찾아보는 사람들이 많다. 수려한 그림체로 당대부터 높이 평가받았으며 사람과 로봇, 남자와 여자 구별없이 다 잘그린 것으로 유명했다. 원화만큼은 당대 최고 레벨이었다. 얼마나 잘 그리는지를 간단히 예를들면 당대 최고의 애니메이터들이 "디자인이 너무 복잡해서 움직일 수 없다"라고 해서 작중 내내 거의 움직이지 않는 육신합체 갓마즈와 비슷한 복잡한 디자인의 고라이온을 움직이게 그려버린 사람이다. 이 사람이 그린 에피소드들은 다른 작화감독이 그린 거에 비해서도 질이 크게 차이가나서 마징가 Z 때부터 높이 평가받았으며 슈퍼로봇대전에서도 나카무라 카즈오가 담당한 에피소드 내용을 대부분 재현할 정도로 알게모르게 고정 팬이 있다. 굵은 펜으로 마구 휘갈긴 듯한 강한 터치가 특징이다. 이런 특징은 그의 스튜디오인 나카무라 프로덕션의 초창기 작화에서도 나타났다. 그러나 손이 느렸던지 아니면 아래에 언급되는 성격 문제 때문인지 작품 활동을 많이 하지 못했다.
기동전사 건담에서는 야스히코 요시카즈와 번갈아가면서 작화 감독으로 작업하였다. 다른 작화감독보다 야스히코 특유의 그림체에 가까워서 야스히코와 구별하기 힘들고 팬들도 매우 좋아한다. 야스히코가 TV판 후반부에 과로로 병원에 입원했을 때는 총작화감독을 대행했다고하지만, 일정 파행으로 중요한 장면을 제외하면 대부분 수정 안 한 원화가 그대로 올라가서 작붕이 많다.
극장판에서도 다른 작화감독이 담당한 에피소드의 작화는 야스히코가 새로 그린 걸 사용했지만 나카무라 카즈오가 그린 것은 대부분 그대로 사용하였다. 기렌 자비의 연설, 미하루 라토키에 에피소드, 건담 VS 지옹이 특히 유명하다. 특히 카이 시덴은 오히려 야스히코보다 나카무라의 그림으로 더 유명해졌다.[2]
그러나 흥분을 잘하는 성격이라 애니메이터 시절부터 많은 사고를 쳤다고 한다. 납기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자 책임을 지겠다면서 손가락을 자르려고 한 적이 있고. 나카무라 프로덕션 운영 중에도 사고를 쳐서 혹성로보 단가드A 제작 중에 신문에 올라가기도 했다.[3] 여직원 한 명이 맘에 안든다고 방에 가둬두고 직원들과 함께 구타했다는 것이다.[4] 토에이가 계약을 끊자 토에이에 특상 초밥 100인분을 그쪽이 결제하게 배달보내는 장난을 쳐놓고 나몰라라 했단 루머도 있다. 그래서인지 토에이는 백수왕 고라이온 뒤로 다시는 나카무라 카즈오와 같이 일하지 않는다. 회사 직원들도 사장을 정상인 취급 안 하고 잘 안 얽히려고 한다고. 비화 중 일부는 키타쿠보 히로유키가 ASKfm에서 직접 밝힌 실화다.# [5] 어쩌면 이런 성격이기 때문에 액션 작화나 악당들의 묘사에 특히 귀기가 담겨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나카무라 프로덕션이란 작화 하청 제작사를 창업해 애니메이터를 육성했다. 주로 로봇을 그릴줄 아는 애니메이터들을 육성하고 있으며 회사 로고도 건담 같아보이는 거대로봇. 대부분의 SF 애니메이션에 1회라도 참여한 적이 있는 회사다. 규모는 굉장히 크며 해외 지사도 있다. 나카무라 카즈오 본인이 애니메이터를 접고 경영에 집중해 잘 보이지 않아 업계에서 쫓겨났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나카무라 프로덕션은 선라이즈를 비롯한 여러 메카닉, 액션 애니메이션에서 액션 신 하청을 담당하는 상당히 규모있는 회사이다. 애니 스태프롤 보다보면 수시로 보일 정도이다. 이렇게 애니메이션 업계는 실력 위주로 돌아가서 사고를 쳐도 실력이나 인맥이 있으면 쫓겨나지 않는 편이다.
동생인 나카무라 타이치도 애니메이터이며 여러 애니메이션, 특히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에도 참여했었다. 동생이 참여한 작품에 나카무라 카즈오가 보조로 참여했단 설도 있다. 나카무라 타이치는 작화 특징이 별로 없고 작화의 질이 매번 천지차이로 왔다갔다해서 단순히 나카무라 프로덕션이 하청으로 참여한 에피소드에 이름만 올린 거라는 설도 있다.
2. 대표작
- 데빌맨 - 8화만 참여
- 마징가 Z - 3, 9, 17, 24, 29, 35, 41, 48, 53, 58. 유미 사야카를 예쁘게 잘 그리는 사람으로 알려져있었다.
- 그레이트 마징가 - 19, 26, 32, 37, 43, 48. 인종차별을 다룬 19화, 카부토 코우지가 컴백하는 43화로 유명
- 겟타로보 - 9, 15, 22, 29, 35, 41. 22화 비극의 겟타Q는 겟타로보 최고의 에피소드로 꼽히며 그외 나카무라 카즈오가 담당한 에피소드는 평가가 높다.
- 겟타로보G - 7, 10, 13, 17
- 용자 라이딘 - 21화만 담당
- 강철 지그 - 1, 5, 11, 14, 18, 27, 32, 37, 40, 43 캐릭터 디자인 및 1화와 중요 에피소드를 담당한 간판 대표작1.
- 마그네로보 가킨 2, 8, 14, 19, 26, 32.
- 혹성로보 단가드A - 가명 참여
- 애로우 엠블렘 그랑프리의 매 - 난조 분페이라는 가명으로 참여
- 무적강인 다이탄3 - 1화와 4화, 다이탄3 변신 뱅크신, 선 어택 뱅크 신 담당. 토미노 요시유키 연출과 나카무라의 작화가 조화를 이룬 1화가 유명하다. 동생이 담당한 8화에도 참여했단 설이 있다.
- 은하철도 999 - 17화만
- 기동전사 건담 12, 18, 23, 28, 33, 37, 42
- 더 울트라맨 - 21,22,50. 토미노가 연출하고 나카무라가 그린 마지막화가 유명
- 백수왕 고라이온 - 1, 2, 4, 6, 8, 뱅크 신. 캐릭터 디자인. 대표작 2
3. 나카무라 프로덕션 출신 인물
성격과 별개로 그림에는 일가견이 있는 사람이라 제자를 많이 키워냈다. 주로 선라이즈 애니메이션에 참여한다. 아래는 이 스튜디오 출신 인물로 사장을 사람 취급하지 않는 사내 분위기상 스승이 아닐 수도 있다.
- 무라세 슈코 - 신기동전기 건담 W
- 히라이 히사시 - 기동전사 건담 SEED
- 오오츠카 켄 - 건담 빌드 파이터즈
- 나카다 에이지 - 코드 기아스
- 키타쿠보 히로유키 -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사이버 포뮬러 SAGA, 마이 히메
- 후지타 카즈미 - 제네식 가오가이가 디자이너
- 신보 타쿠로 - 기동전사 건담 00,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외 로봇 애니메이션 다수
- 히라마츠 타다시 - 그 남자! 그 여자! 등
- 무라키 야스시 - 이타노 서커스 전문 애니메이터
- 타카세 켄이치 - 케로로 중사,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 치바 미치노리 - 기동전사 건담 00,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 야나기사와 테츠야 - 하이스쿨 D×D 1~3기
- 이리에 야스히로 -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
- 이시다 카나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
- 니시자와 스스무 - 일곱 개의 대죄: 신들의 역린, 일곱 개의 대죄: 분노의 심판
- 야나세 유지 -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우리 딸을 위해서라면, 나는 마왕도 쓰러뜨릴 수 있을지 몰라., 신들에게 주워진 남자
- 아사이 요시유키 - Charlotte, Fate/Apocrypha
- 하야시 이사오 -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
[1] 현재는 타키가와 카즈오로 개명했는데 데릴사위로 들어가서 성이 바뀐 것 같다.[2] 원래 야스히코의 카이 시덴은 정수리가 뾰족한 캐릭터였는데, 오히려 Z건담과 디 오리진의 카이 시덴의 디자인은 나카무라 카즈오에 가깝다. 야스히코도 인정한 모양.[3] 그래서인지 단가드 A나 애로우 엠블렘 그랑프리의 매 라는 작품에는 그가 담당한 것으로 보이는 그림체의 에피소드가 몇 개 있으나 南条文平라는 가명으로 크레딧되었다. 키타쿠보 역시 전혀 모르는 이름이 올라왔다고 증언해 누군가의 가명인건 확실하다.[4] 이유도 어처구니가 없는게 저 여자한테는 귀신이 들렸다면서 구타했다고 한다. 이 일 말고도 부하에게 가스라이팅급 정신적 학대를 했다고 한다. 키타쿠보도 당했다고.[5] Askfm 글 마지막에 보면 자기가 밝힌건 25% 정도로 나머지 75%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공개하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