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역

 

'''진천역'''
(보강병원)
[image]

'''다국어 표기'''
영어
Jincheon
한자
辰泉
중국어
일본어
辰泉(チンチョン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 지하 76 (진천동)
'''관리역 및 고객센터'''
1호선
진천관리역 / 1고객센터
'''운영 기관'''
1호선

'''개업일'''
1호선
1997년 11월 26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5.7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열차거리표'''
'''월배차량기지
인입선
'''
진 천
기점
辰泉驛 / Jincheon Station
1. 소개
2. 일평균 이용객
3. 승강장
4. 출구 정보
5.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1. 소개


[image]
1호선 개통 초창기 시절의 모습으로 대곡역 연장 이전 즉, 진천역이 종점이던 시절의 모습이다.
1호선의 설화명곡역~월촌역 구간을 관할하는 관리역이다.
벽면 색상은 흰색. 진천네거리에서 유천치안센터 방향으로 약간 남쪽에 있으며, 부역명은 '''보강병원'''이다. 보강병원은 3번 출구에서 동쪽으로 약 250m 거리에 위치한다.
2002년 5월 10일 대곡역이 영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첫 개통[1] 당시의 시종착역이었다. 대곡역과 진천역 사이에 월배차량기지사업소가 있으며, 월배차량기지사업소 인입선은 진천역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설화명곡역에 종착한 열차는 행선을 진천행으로 바꾸고 회차하여 월배차량기지사업소에 입고한다.[2] 자연히 건넘선도 기지인입선 쪽에 있다.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 북쪽은 옛 월배산단과 소규모 산단이 있었으나, 순차적으로 택지지구로 개발 중이다. 주변에는 이마트 월배점과 보강병원 등이 있다.
아양교역처럼 다양한 방면으로 연결되는 역이며 대곡지구, 월성1동(월배지구/신월성), 대천동은 역이 소재한 진천네거리에서 바로 연계된다. 시내버스 이용시 이마트 월배점이나 미즈맘여성병원에서 하차한 후 이동하면 된다. 대천동공영차고지 방향(유천포스코아파트 등)으로 가려면 대곡역에서 대천동공영차고지 방면으로 직통하는 버스가 배차간격이 긴 편인 655번뿐이기 때문에 진천역 및 이마트월배점에서 609번이나 836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대곡2지구에 들어오는 306번 역시 이마트월배점에서 이용해야 한다.
승하차 인원은 상인역만큼은 아니지만,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많아서 어느 정도 이용률이 있다. 2002년대곡역이 개통된 후 이용객이 감소하다가, 월배지구의 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새로 생기면서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진천네거리 북쪽의 이마트 월배점, 진천역 AK그랑폴리스 아파트, 월배계룡리슈빌 아파트, 월배이안아파트, 월배 태영데시앙 아파트, 월배 힐스테이트 아파트, 월배쌍용예가, 월배아이파크 등이 있는 대천동[3]이 나오는데, 그 위의 대천교를 지나면 성서4차산업단지가 있다.
역명의 유래는 지명을 따랐다. 700년 전 이 곳에 500세대가 살고 있다 하여 오백이라 불렸었는데, 다섯가지 복이라는 뜻의 오복으로 변해 오복촌이라고 불렸다. 또 그 곳에는 수심 1m 이상으로 수량이 풍부한 일명 텃샘이 있었는데 50년전 우물을 개수하다 샘둑에서 큰 기둥 만한 향나무 뿌리가 발견되어 이곳을 미리샘(이라는 순한글의 한잣말 진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참고로 이 진천역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에 있고, 충청북도 진천군에는 철도역이 없으니 착오 없기를 바란다. 충북 진천군은 鎭川, 대구 진천동은 辰泉으로 한자도 다르다. 오히려 대구광역시 시민 중에서는 지리덕후가 아닌 이상 진천동은 알아도 진천군은 모르는 경우가 많고, 진천군에서도 진천동을 모르기는 마찬가지이다. 참고로 진천군에서 철도를 이용하려면 청주시천안시, 음성군, 증평군으로 가야 하지만, 수도권 내륙선이 본격 착수되면 철도가 놓일 가능성이 있다.
2017년 2월 안전문이 설치됐다.
2019년 겨울, 진천역 3번 출구 계단에 밟으면 피아노 소리가 나는 타일이 설치되었다. 신매역에 있는 피아노 계단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2. 일평균 이용객


진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13,501명
11,352명
6,145명
8,374명
8,112명
8,921명
8,602명
8,735명
8,965명
9,362명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0,300명
11,204명
12,292명
12,772명
13,559명
13,838명
14,023명
14,178명
'''14,550명'''
9,911명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 2000년 전의 승객 수 이용 기록 없음
  •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약 4년 5개월간 1호선의 종점이었던 곳이라 환승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나, 2002년 5월 10일 대곡역의 개업으로 이용객이 급감했다.[4] 특히 대곡역 개통 다음해인 2003년 2월 18일대구 지하철 참사가 터지면서 1년만에 승객의 절반이 빠지는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가, 2004년에 다소 회복하여 8천여 명의 수요를 유지하였다.
  • 그러다가 역 북쪽에 2008년부터 시작된 유천동, 대천동 택지지구의 입주로 인하여 이용객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2011년에는 하루 평균 1만 명을 넘겼고, 꾸준히 수요가 늘어나면서 2017년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14,000명까지 올라서 대곡역 수요를 추월했다.
  • 이마트 월배점을 중심으로 월성1동, 대곡지구, 대천동 일대의 아파트 단지들과 접근이 편리하게 연결된 것이 2010년대 들어서 진천역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한 원인이며, 앞으로도 큰 폭으로 승객이 늘어날 여지가 있다.
  • 역의 남쪽으로 1~2km 떨어진 306번으로 연계되는 대곡2지구가 조성되고 있으며 2018년 대부분 입주가 완료되었다. 이 외에도 진천역 주변으로 43층, 585세대 규모의 진천역라온프라이빗센텀 주상복합이, 위로는 1533세대 규모의 월배삼정그린코아포레스트 아파트가 현재 건설 중에 있으며 이 아파트들이 모두 입주가 끝나면 이용객이 더욱 늘 것으로 전망된다.


3. 승강장


[image]
진천역 승강장
[image]
역 안내도 크게보기
대곡




월배

[image]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곡·설화명곡 방면

서부정류장.반월당·중앙로·동대구·안심 방면

4. 출구 정보


  • 1번 출구: 진천역AK그랑폴리스아파트, 진천트윈팰리스아파트, 월배계룡리슈빌아파트, 월배차량기지사업소, 베이트리웨딩, 월배아이파크, 국민은행 진천역지점, 대구은행 진천지점, 맥도날드 대구진천점(DT점), 대천동, 유천동
  • 2번 출구: 진천동주민센터, 미즈맘여성병원, 진천초등학교, 진천동우체국, 유천치안센터
  • 3번 출구: 진천역대성스카이렉스아파트, 진천청구타운, 보강병원, 대곡지구방면, 신한은행 월배지점
  • 4번 출구: 이마트 월배점, 진천이안아파트, 월성1동, 월배지구방면, 삼성서비스센터 신월배점, 스타벅스 대구진천역, 월배지구

5.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정류소
시내버스
진천역(1번 출구)
600, 609, 623, 650, 651, 836, 달서5, 달성2, 고령 606
진천역(2번 출구)
600, 609, 623, 650, 651, 836, 달서5, 달성2, 성서1, 성서1-1, 고령 606
이마트월배점앞
306, 609, 623
이마트월배점건너
306, 609, 623
진천청구타운앞
306, 성서1, 성서1-1
진천청구타운건너
306

6. 대구 테크노폴리스 셔틀버스


대구 시내에서 대구 테크노폴리스로 출·퇴근 한다면 상인역, 월배역, 진천역에서 대구 테크노폴리스로 운행되는 출·퇴근 무료 셔틀버스를 이용 할 수 있다. 노선도는 아래 그림을 참고하길 바라며 더 궁금한 사항은 한국노총대구지역본부 홈페이지를 참조하자
[image]
  • 정시 출발하오니 출발 시간보다 일찍 도착하여 대기 할 것


[1] 참고로 대구에서 가장 먼저 공사가 시작된 역이다.[2] 2호선과 달리 1호선 열차에는 따로 "기지입고" 행선이 없다.[3] 진천동이 아닌 월성동(월성1동, 월성2동 모두) 관할이다.[4] 비슷한 사례로 대곡역, 하양읍 구간 개통 이후 급감 가능성이 높은 안심역, 사월역 등이 있다. 이 중 대곡역은 그나마 감소폭이 덜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