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남대로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국도 제1호선'''
목포 방면
서문대로

'''대남대로'''
(백운교차로 - 농성교차로)

판문점 방면
죽봉대로
'''국도 제22호선'''
정읍 방면
상무대로

'''대남대로'''
(농성교차로 - 남광주교차로)

순천 방면
남문로


둘러보기 틀 보기



'''대남대로'''
台南大路 / Daenam-daero

<color=#373a3c><colbgcolor=#81f7d8> '''노선 번호'''
''' 의 일부'''
''' 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의 일부'''
'''28번 광주광역시도'''[출처]
<color=#373a3c> '''기점'''
[image]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남광주교차로
<color=#373a3c> '''종점'''
[image]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 농성교차로
<color=#373a3c> '''연장'''
4.916km
<color=#373a3c> '''개통일'''

<color=#373a3c> '''관리'''
[image]광주광역시
'''왕복 차로수'''
8차로
전구간
11차로
백운교차로 - 주월교차로
<color=#373a3c> '''주요 경유지'''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남구 주월동/백운동[1]서구 농성동
台南大路 / Daenam-daero


1. 개요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있는 남광주교차로부터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있는 농성교차로까지 이어지는 길이 4.916km, 왕복 8차로의 도로. 1번 국도, 22번 국도, 60번 지방도의 일부이다. 도로 이름은 1968년광주광역시와 자매결연한 대만의 대남(타이난)의 시명에서 유래되었다.
이 길에 주한 중화인민공화국 광주 총영사관이 있다. 원래 한국-대만 수교 시절 중화민국의 광주 총영사관[2]이었으나, 한국과 대만단교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스틸한 것이다. 대만 측에서는 광주 총영사관을 지키기 위해 한국과 협의했으나 '''중국하나의 중국 논리로 서울 대사관에 이어서, 부산, 광주 총영사관도 대만한테서 강탈했다.''' 이후 대만은 광주에는 사무처를 설치하지 않았다. 부산에만 사무처를 설치했다. 이렇게 해서 대만의 지명을 딴 대남대로변에 중국의 총영사관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주 중화민국 부산 총영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접수하고 나서 다른 곳으로 이전했다.

2. 상세



2.1. 주요 구간



'''22번 국도'''
'''지상 : 필문대로와 직결 (동광주IC, 조선대학교 방면)'''
'''고가도로 : 필문대로와 직결 (동광주IC, 조선대학교 방면)'''

'''남광주고가도로'''


'''22번 국도 · 29번 국도'''
제봉로
전남대학교병원, 병무청 방면

'''남광주 교차로'''
'''남광주 교차로'''

남문로
화순, 학운IC 방면
천변우로
남광주시장 방면

'''남광주고가 교차로'''[3]
'''남광주고가 교차로'''[4]

천변우로[좌회전불가]
'''남광교 (광주천)'''
'''남광교 (광주천)'''
[우회전불가]

[5]
[6]

천변좌로
화순, 증심사 방면
'''남광주고가도로 종점'''
정율성로
양림역사문화마을 방면

[좌회전불가]

오방로
남부경찰서 방면
백운로
기독병원, 양림역사문화마을 방면



봉선중앙로
남부경찰서, 용산IC 방면
'''백운고가차도 기점'''
독립로
금남로, 문화전당(구도청) 방면

'''백운교차로'''
'''백운고가차도'''
'''백운교차로'''

봉선로
남부경찰서 방면

'''1번 국도'''

서문대로
나주, 노인건강타운 방면
'''백운고가차도 종점'''

'''1번 국도 · 22번 국도 '''
회재로
기독병원 방면[7]

'''주월교차로'''

회재로
서광주역, 월드컵경기장 방면[8]
금화로
서구청 방면



금화로
광주월드컵경기장 방면
화정로
서구청 방면[9]

'''건강관리협회교차로'''

화정로
시교육청 방면
상무대로
서구청, 금남로 방면

'''농성교차로'''[10]

'''22번 국도'''

상무대로
시청, 상무지구 방면
'''죽봉대로와 직결 (서광주IC, 버스터미널 방면)'''
'''1번 국도'''


2.2. 대체도로


농성교차로 - 백운교차로 구간은 서쪽으로 한 블럭을 옆에 두고 군분로와 두 블럭을 옆에 두고 있는 화운로-주월로-회서로 (셋 다 직결됨)가 실질적인 대체도로가 될 것이다. 특히 화운로-주월로-회서로 구간으로는 계속 쭉가면 서문대로로 바로 갈 수 있어서 서문대로 방면으로 가야되는 경우 대체도로로 이용하기에 많이 유용하다.

2.3. 대중교통



2.3.1. 철도도시철도


비록 지금은 없지만 광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가칭 백운역 ~ 남광주역 구간)이 백운교차로 ~ 남광주교차로 구간으로 지어질 예정이다.


2.3.2. 버스노선



2.3.2.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이 도로에서 다니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크게 백운교차로를 기준으로 노선이 많이 갈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 도로에만해도 급행버스가 무려 3개나 지나가는 것과 꽤나 많은 간/지선 버스가 지나가는 것을 보면 버스 노선에서도 꽤나 중요한 도로인 걸로 보인다. 특히 시간제지만 가로변버스전용차로까지 있는 것을 보면, 버스의 통행 고려를 꽤 했다는 것이 돋보인다.

2.3.2.2. 나주시 시내버스

나주시 시내버스 중에서는 나주 버스 999 노선이 남광주교차로 ~ 백운교차로 구간을 이용한다.

2.3.2.3. 화순군 농어촌버스

광주광역시를 출발/도착하는 모든 농어촌버스는 화순군을 가기 위해 이 도로의 전 구간[11](농성교차로 ~ 남광주교차로 구간)을 이용한다.

2.4. 교통량


광주광역시에서도 교통량 많기로 유명한 백운고가차도(백운교차로)와 농성광장(농성교차로), 그리고 남광주역(남광주교차로)로 무려 3개의 주요 교차로를 지나는 광주에서도 매우 중요한 도로이다. 애초에 광주 도심을 감싸는 제1순환로가 다 그러지만.

2.5. 주요 시설



2.6. 기타


2020년 6월 4일부터 대남대로 연선의 백운고가차도 철거가 시작되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와 연계돼서 실시되는 것이며, 2020년 11월 30일에 철거가 완료될 예정이다. 철거가 완료되면 바로 지하차도를 착공하고, 2호선 공사도 같이 진행된다.

[출처] #[1] 대로를 기준으로 남서쪽이 주월동, 북동쪽이 백운동이다.[2] 1887년 청나라 시절에 설치했다. 1992년까지 중화민국 주 광주 총영사관이었다.[3] 도로 특성상 좌, 우회전이 제한[4] 도로 특성상 좌, 우회전이 제한[좌회전불가] A B [우회전불가] [5] 도로 특성상 좌, 우회전이 제한[6] 도로 특성상 좌, 우회전이 제한[7] 교차로 특성상 통행이 불가능하다. 백운교차로 방면에서 오는 경우 고가도로 아래에서 오는 차량만 진입할 수 있고, 농성교차로 방향에서 오는 경우는 좌회전 금지돼 있다.[8] 백운교차로 고가도로 아래에서 오는 경우 좌회전 불가[9] 교차로 특성상 농성교차로에서 오는 경우 좌회전 불가[10] 이 교차로 아래로 농성지하차도가 지나간다.[11] 단, 318번은 도곡온천 경유를 위해 농성교차로 ~ 백운교차로까지만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