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안군
[clearfix]
1. 소개
조선의 왕족 출신 문신. 이름은 이재덕(李載悳). 사도세자의 3남인 은언군의 양증손자이며 상계군의 양손자이자 익평군의 양자다.
2. 생애
1852년(철종 3년) 3월 18일 덕흥대원군의 11대손이자 충정공 이홍술의 6대손인 이계(李烓)와 진사 김운순의 딸 안동 김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왕족의 범위는, 대군 후손의 경우 5대손까지, 군의 후손은 4대손까지였다. 그런데 이재덕의 조상 중 마지막으로 왕을 했던 사람은 '''중종'''이기 때문에[1] 덕안군이 태어날 때는 왕족이 아니었다. 그러나 1863년(철종 14년) 9월 철종의 4촌 형 익평군의 양자로 입적하여 왕실 종친이 되었다.[2]
1867년(고종 4년) 3월 고종이 창덕궁 후원에서 소현세자와 인평대군의 자손들을 만나고 이 중 춘당대에서 유생들에게 명령을 내려 이해 응하게 하여 시를 짓게 했다. 이를 응제시라 하는데 이 때 이재덕이 좋은 점수를 얻어 과거의 최종 시험인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상중이라 응시하지 못했다.# 1871년(고종 8년) 1월 성균관에서 전주 이씨 출신 유생들의 응제시 때도 좋은 결과를 내었다.
같은 해 별시문과(別試文科)[3] 에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그 해 5월 30일 홍문관 교리에 제수 되고, 이후 부사과(副司果)[4] 를 거쳐 병조 정랑(兵曹正郞)[5] 을 역임하였다. 1873년 홍문관 부수찬[6] 을 거쳐 지평[7] 이 되었고, 1876년 홍문관 응교[8] 를 지내는 등 활발히 활동하였다. 그러나...
2.1. 사망과 이후
26세이던 1877년(고종 14년) 6월 5일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시신은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진관리[9] 에 안장되었다.
1899년(광무 3년) 법적 고조할아버지 사도세자가 장종을 거쳐 장조의황제로 추존되면서 황제의 4대손은 황족으로 대하는 예법에 따라 같은 해 9월 '덕안정(德安正)'에 추증되었고 1903년(광무 7년) 11월에 덕안군(德安君)으로 승격되었다.[10]
1910년(융희 4년) 8월 21일 순정효황후가 덕안군의 부인 서씨에게 훈 2등 서봉장을 서훈하였다. 이후 덕안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록은 없다.
2.2. 후손
부인 달성 서씨 사이에서 아들 이언용[A] 하나를 두었다. 이언용은 덕안군 사후 은언군의 종손(宗孫)으로서 제 역할을 다 했고 휘경원[11] 의 참봉도 지냈으나 1893년(고종 30년) 후사 없이 요절하였다.[12] 이처럼 대가 끊긴 경우에는 이언용의 아들 대에서 양자를 골라 입적시키는데, 마땅한 인물이 없었는지 특이하게 이언용을 대체할 덕안군의 새로운 아들로 덕흥대원군 12대손이자 부사과 이재경의 아들 이완용을 입양했다.[13][14]
이완용은 두 아들을 두었는데,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후처 사이에서 아들 이해만[A] 을, 역시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첩 사이에서 아들 이해구를 얻었다. 이해만은 자식이 없어 철종의 생가 누동궁 사손 이해승의 아들 이택주를 입양했다. 이택주는 6.25 전쟁 때 사망하였으며 슬하에 이우석, 이우용 두 아들을 두었다. 현재는 이우석의 장남 이성기가 은언군가의 종손으로 있다.# 그 밖의 다른 가문의 일원들에 대해선 알려진 것이 없다.
[1] 덕흥대원군은 중종의 아들이다.[2] 원래 익평군 이희는 친아들 경은군 이재성이 있었으나 서자라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해 적장자를 새로 입양한 것이다.[3] 조선시대에 정규 과거 외에 임시로 시행된 과거.[4] 조선시대 오위의 종 6품 관직.[5] 조선시대 병조에 둔 정 5품 관직으로 정원은 4명이다. 정랑은 육조의 실무를 관장하여 중요한 자리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이조 · 병조의 정랑은 좌랑(佐郞)과 함께 인사 행정을 담당하여 전랑(銓郞)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들은 삼사(三司) 관직의 임명 동의권인 통청권(通淸權)과 자신의 후임자를 추천할 수 있는 재량권이 있어 권한이 막강했으며 이에 대한 폐단이 일어났으니 그 유명한 붕당이다.[6] 조선시대 홍문관의 종 6품 관직.[7] 조선 시대 사헌부의 정 5품 관직.[8] 조선시대 홍문관 · 예문관의 정4품 관직.[9]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10] 작호는 양어머니의 본관인 경기도 개풍군 덕수리의 덕수(德水)에서 따왔다.[A] A B 1900년에 편찬된 선원속보(璿源續譜)에서는 이름이 보이지 않는다.[11] 순조의 어머니 수빈 박씨의 무덤.[12] 정확한 생년은 알 수 없으나 덕안군의 생몰년도를 볼 때 20대로 추정된다.[13] 흔히 아는 매국노 이완용이 아닌 동명이인데, '용' 자가 다르다. 전자의 이완용은 李完用으로 쓰는데 비해, 후자는 李完鎔으로 쓴다. 하지만 이 사람도 친일파다.[14] 덕안군과 실제 혈통 상으로는 선조의 형 하원군의 손자 대에서 갈라졌다. 촌수로는 21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