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군

 

1. 大軍
2. 大君
2.1. 고려와 조선의 작위
2.1.1. 조선 왕조의 대군들
2.1.2. 관련 문서
2.2. 일본에서 천황 또는 정이대장군을 달리 이르던 말
2.3. 2018년 TV조선에서 방영하는 TV드라마


1. 大軍


말 그대로 규모가 큰 군대 또는 군세.
단일 국가가 동원한 역사상 최대의 대군은 2차 세계대전 후반기의 미군으로 당시 미군이 동원한 총병력은 1,500만명에 달했다.
전근대 시기의 최고기록은 고수전쟁[1]에서 수나라가 동원한 113만명[2]이다.

2. 大君



2.1. 고려와 조선의 작위



고려 시대에도 사용되었지만, 조선 시대에 비해서는 규칙이 느슨했다. 고려 초에는 왕자들에게 대군이나 원군이 붙었으며 원 간섭기부터 군(君)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종종 대군을 쓰기도 했다.
공민왕 때부터 원 간섭기 이전에 쓰던 오등작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건 조선 초기에도 영향을 미쳐 당시 왕자들은 공, 왕족 외척 부마들은 후, 백, 자, 남을 썼으나 곧 제후국 체제를 도입함에 따라 대군, 군, 부원군, 대원군으로 바뀌었다.[3]
태종 때부터 '대군'은 세자가 아닌 왕의 적자에게 내리는 작위로 정해졌으며, 품계는 무계였다.[4] 서자는 군이라 하여 구분했으며, 세자(보통은 장남)가 있기 때문에 왕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세자가 폐위되거나 급서하거나 반정을 일으키는 등의 이유로 왕위를 물려받기도 한다. 인조 대 이후로는 대군에 봉해진 왕족이 없는데, 왕의 적자가 한 사람 뿐이거나 아예 없었기 때문이다.
세종의 아들들부터는 대군 및 군에게 내리는 호칭에 전국 각지의 지명을 따다 붙였다. 가령 수양대군의 '수양'은 해주의 별칭, 금성대군의 '금성'은 나주의 별칭, 창녕대군의 '창녕'은 말 그대로 창녕이다. 이는 중국의 황제가 친왕 및 왕들에게 봉토를 하사하고 책봉하듯이, 조선의 왕 역시 아들들에게 '명목상' 봉토를 하사하고 책봉하는 시스템을 따른 것이다.
대군 또는 군의 봉작을 받으면 대감이라고 불린다.[5] 마마 항목에도 나와있듯이 한국의 사극에서는 왕자에게 대감이 아닌 마마라고 칭하는데 이는 고증오류이다.
오늘날 대한민국에서는 '대원군'이라는 단어와 함께 언중 및 언론 등에서 비유적 표현으로 간혹 사용되는데, 권력형 비리를 저지르거나 대통령의 혈연으로써 정계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아들이나 남자 형제를 종종 이에 빗대어 부르기도 한다. 봉하대군, 영일대군 등.
영어로 번역할 경우 일반적으로는 왕자를 뜻하는 Prince로 쓰지만 가끔 서양의 대공에 대응되는 Grand Prince[6]로 쓰기도 한다. 조선의 경우 서얼 왕자인 군에게도 왕위를 계승한 이력이 있고, 방계왕족에게도 군의 작위를 내린적이 있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기 위한 것. 왕의 적자인 대군과 구별하려고 할 때 다른 군은 Prince로 번역한다.

2.1.1. 조선 왕조의 대군들


아버지
군호
어머니
비고
태조
진안대군
신의왕후
태조의 적장자였으나, 후계에서 탈락하였고 고려 멸망 1년 후 사망

훗날의 정종. 후궁소생은 있었지만 정비소생은 없었다.[7] 대군이라는 작위는 태종 시기에 등장한 작위이므로 실제 대군이 된적은 없었다.
익안대군
회안대군

훗날의 태종. 아래에 있는 이복동생 둘(무안대군, 의안대군)을 죽였다. 대군이라는 작위는 태종 시기에 등장한 작위이므로 실제 대군이 된적은 없었다.
덕안대군
무안대군
신덕왕후
의안대군
잠깐이나마 세자였다. 때문에
태종
양녕대군
원경왕후
세자였으나, 폐위되면서 양녕대군에 봉해졌다.
효령대군
충녕대군
훗날의 세종.
성녕대군
세종
수양대군[8]
소헌왕후
훗날의 세조. 원래 '진평대군'이었다가 '함평대군', '진양대군'을 거쳐 수양대군이 되었다.[9] 아래에 있는 친동생 둘(안평대군, 금성대군)을 죽였다.
안평대군[10]
임영대군[11]
광평대군[12]
금성대군[13]
평원대군[14]
영응대군[15]

[16]

단종. 문종의 (장성한) 유일한 아들이므로 당연히 처음부터 세손(할아버지 세종 재위 시)→세자(아버지 문종 재위 시)였다. 숙부 수양대군(세조)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 물러났다가, 단종 복위 운동의 실패로 상왕에서 폐위되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신분으로 죽음을 맞이했다. 먼 훗날 숙종 때 '노산대군'으로 격상되었다가, 마침내 '단종'으로 추존되었다.
세조
해양대군[17]
정희왕후
훗날의 예종. 의경세자(덕종)의 급서로 세자가 되고 왕위에 올랐다.
덕종
월산대군[18]
소혜왕후
시인으로 명성을 떨친 대군이며 이름은 정, 자는 자미, 호는 풍월정이다. 세조의 장손이자 추존왕 덕종(의경세자)과 소혜왕후 한씨(인수대비)의 장남이며 성종의 친형이다. 사실상 왕위를 아우에게 양보한 월산대군은 평생을 조심하면서 풍류객으로 지냈는데 성종과의 우애가 매우 돈독했다고 한다.
예종
인성대군
장순왕후
조졸했다(1461~1463). 사후 9년이 지난 1472년에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제안대군[19]
안순왕후
성종
진성대군[20]
정현왕후
훗날의 중종.
연산군
창녕대군[21]
거창군부인
둘째 아들. 아버지가 폐위되면서 불과 5살에 형(폐세자 황)과 함께 사사되었다.
중종
경원대군[22]
문정왕후
훗날의 명종.
선조
영창대군[23]
인목왕후
선조가 늘그막에 본 늦둥이로 유일한 적자였으나, 이복형 광해군에 의해 불과 8살에 죽었다.
원종
능원대군
인헌왕후
능창대군[24]
인조(능양군)의 동생. 형이 왕이 되기 전인 1615년에 광해군에게 역모를 의심받아 자살하였다. 원래 '능창군'이었으나, 형이 왕이 되고 아버지가 추존왕이 되면서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인조
봉림대군[25]
인열왕후
훗날의 효종. 소현세자의 급서로 세자가 되고 왕위에 올랐다.
인평대군[26]
능창대군의 사후, 그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용성대군[27]
조졸했다(1624~1629).

2.1.2. 관련 문서



2.2. 일본에서 천황 또는 정이대장군을 달리 이르던 말


'오오키미(천황)' 또는 '타이쿤(정이대장군)'이라 하였으며, 타이쿤은 이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2.3. 2018년 TV조선에서 방영하는 TV드라마


2018년 3월 3일 ~ 5월 6일까지 방영된 TV CHOSUN의 주말드라마 대군 - 사랑을 그리다.

[1] 2차 고수전쟁[2] 구체적인 사료가 존재하는 경우만 따졌을 때의 얘기. '호왈' 백만대군은 동서양 역사에 다른 사례들도 있다[3] 이후 성녕대군이 변한 소경공(卞韓 昭頃公)으로 추증되었다.[4] 왕자군은 원래 정1품이었으나 나중에 올려서 무품하계가 되었고, 대군(적자)는 무품상계다.[5] OO대군 대감, OO군 대감[6] 동유럽계의 대공, 주로 러시아계 국가들의 대공이 Grand Prince이나 대공이라는 작위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영미권, 불어권의 경우엔 일괄적으로 Grand Duke라고 표기한다.[7] 이런 이유로 이방원이 왕위를 잠깐 맡겼다는 견해도 있다. 만약 적자가 왕위를 계승하겠다고 주장하면, 계유정난 프리퀄이 발생할 수도(...)[8] '수양'은 해주의 별칭이다.[9] 마지막 군호인 수양대군이 가장 유명하지만, 가장 오래 불렸던 군호는 진양대군이다.[10] '안평'은 홍주의 별칭이다.[11] '임영'은 강릉의 별칭이다.[12] '광평'은 광주의 별칭이다.[13] '금성'은 나주의 별칭이다.[14] '평원'은 원주의 별칭이다.[15] '영응'은 연안의 별칭이다.[16] '노산'은 평창의 별칭이다.[17] '해양'은 남해의 별칭이다.[18] '월산'은 경주(월성)의 별칭이다.[19] '제안'은 황주의 별칭이다.[20] '진성'은 진주의 별칭이다.[21] '창녕'은 창녕이다.[22] '경원'은 인천의 별칭이다.[23] '영창'은 이천의 별칭이다.[24] '능창'은 능주의 별칭이다.[25] '봉림'은 봉산의 별칭이다.[26] '인평'은 인제의 별칭이다.[27] '용성'은 남원의 별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