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여자고등학교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무학중학교와 함께 있다. 무학중은 본래 무학여자중학교[1] 였으며, 2004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2. 역사
2.1. 학교 연혁
- 1940년 4월 20일: 무학공립고등여자학교 개교. 조선총독부에서 내선일체 시범학교로써 남학교인 욱구공립중학교(현재 경동고등학교)와 여학교인 무학공립고등여자학교를 조선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 반반으로 개교한 것이다.
- 1945년 10월: 무학여자중학교로 변경
- 1951년 12월: 무학여자고등학교로 개편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및 교훈
#
3.2. 교가
#
1.무학봉 빛구름 치솟는 새벽에
배움의 종소리 울리는 곳 이집에
시위처럼 바른 지조 손쌀같이 힘차게
한마당에 지성으로 목숨 보람 배우세
몸과 뜻 갈고 닦아 사람 구실 이루어
겨레의 소금 되세 우리 무학 여학교
2.대한에 피어난 문화의 꽃송이시위처럼 바른 지조 손쌀같이 힘차게
한마당에 지성으로 목숨 보람 배우세
몸과 뜻 갈고 닦아 사람 구실 이루어
겨레의 소금 되세 우리 무학 여학교
씩씩한 일꿈틀 자라나는 이 밭에
복된 품성 키우시는 스승 사랑 계시니
몸과 뜻 갈고 닦아 사람 구실 이루어
겨레의 소금 되세 우리 무학 여학교
복된 품성 키우시는 스승 사랑 계시니
몸과 뜻 갈고 닦아 사람 구실 이루어
겨레의 소금 되세 우리 무학 여학교
3.3. 교복
4. 학교 특징
행당동, 왕십리, 옥수동, 금호동에서 진학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으며 소수의 학생들은 광진구나 송파구 등 다른 곳에서 통학하기도 한다. 더 옛날에는 이천시 등 경기도 다른 지역에서도 왔다고 한다.
여학교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체육대회를 진행하지 않으나[2] 피구나 약식 발야구 등의 반대항 구기대회 등이 존재한다.
학교 분위기는 자율적임을 강조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학교생활에 참여하는 분위기로, 야자 등도 전적으로 학생의 선택에 맡기지만 참여율이 높아 야자실 자리경쟁은 항상 치열하다.
과학중점학교인 만큼 이과를 밀어주는 분위기가 어느정도 있는 편. 이 밖에도 학교 학사일정을 보면 과학 관련 대회가 많은 편이다.
무학여고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내신 수준이 점점 높아져서 해가 갈수록 내신 따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특히 이과의 경우 거의 70-80명[3][4] 의 학생이기 때문에 등급 경쟁이 매우매우 피터진다. 특히 국어, 영어, 과탐 등은 정말 열심히 공부해야 할 것이다. ('''특히 영어에 목숨 거는 경향이 있음 ''')
5. 학교 시설
무학여고는 전통있는 학교이다. 이 말은 즉슨 학교시설이 전반적으로 오래되었다. 3학년들이 사용하는 신관은 그나마 괜찮지만 1, 2학년이 주로 사용하는 구관은 옛 건물이라 상당히 낡은 편.
그러나 인조잔디가 깔린 운동장은 축구 원정을 올 정도로 잘해 놓았고[5] , 학생식당[6] 도 학교 교사와 조금 떨어져 있어서 식사에는 불편함이 없다. 야자실 또한 쾌적하고 아늑한 편이다. 2014~15년 사이에 화장실 공사를 진행해 화장실 시설도 훨씬 개선되었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노선
학교 바로 앞에 버스정류장[7] 이 있어서 버스 통학이 매우 편리하다.
7.1.1. 무학여고
- 서울 버스 110
- 서울 버스 141
- 서울 버스 145
- 서울 버스 148
- 서울 버스 241
- 서울 버스 421
- 서울 버스 463
- 서울 버스 2016
- 서울 버스 4211
- 서울 버스 성동02
- 서울 버스 성동03
- 서울 버스 성동08
7.2. 철도
두 역 모두 5~10분 정도 거리가 있다.
8. 출신 인물 및 관련 인물
- 강지영 - 걸그룹 카라의 전 멤버이자 키이스트 소속 배우, 가수.
- 김귀정 열사 - 1985년 졸업. 2001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인정.
- 남치형 - 한국기원 여류 바둑기사
- 김순례
- 김영주(1955) - 국회의원이자 전 고용노동부 장관, 농구선수.
- 김다래 - 걸그룹 라니아의 전 멤버이자, 현재 Ela8te 멤버, 트위치 스트리머.
- 서영은
- 신낙균
- 신형원 - 가수이자 경희대학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교수.
- 여운계
- 윤선진
- 이용녀
- 이승주 - 걸그룹 에이디이의 전 멤버이자 현재 배우.
- 임나영 - 걸그룹 PRISTIN의 전 멤버이자 아이오아이의 전 멤버.
- 임예진 - 지금이야 중견급 여배우이시지만, 이래 봬도 40여 년 전 국민 여동생이셨던 분. 리즈시절 때 이 분을 볼려고 수많은 남학생들이 무학여중/여고 행 버스를 타려고 장사진을 이뤘다는 얘기는 전설 아닌 레전드.
- 정재숙 - 현 문화재청장, 전 중앙일보 기자.
- 채빈 - 걸그룹 네이처의 멤버.
- 허은아 - 제21대 국회의원
9. 사건·사고
- 성수대교 붕괴 사고: 무학여자고등학교 학생 8명이 버스 추락으로 사망했다. 당시 신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