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공포병

 



[image]
△ 한국 공군 방공포병 특기 휘장
[image]
△ 한국 공군 방공포병 특기 흉장[1]
1. 개요
2. 대한민국 공군의 방공포병
2.1. 연혁
2.2. 보직
3. 목록
3.1. 대공포
3.1.1. 대구경
3.1.2. 소구경
3.2. 대공 미사일
3.2.1. 단거리(저고도)
3.2.2. 중거리(중고도)
3.2.3. 장거리(고고도)


1. 개요


Air Defense Artillery (ADA), Air Defense (AD), Anti Aircraft (AA), 대공포, 대공 미사일을 이용하여 국가의 영공을 방위하는 임무를 맡는 병과이다. 본 문서에서는 공군의 방공포병에 대해서 서술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영국군에서는 공군 소속(독일 육군 방공포병은 사실상 대전차 포병에 가까웠는데 군단 단위부터 대공포가 편제되어 있어 그 아래 편제는 주둔지 관할 공군 방공사단에서 파견해 주는 대공포 부대에 의존했다.)이었으며 미군에서는 지금까지 육군 소속이다. 영토가 넓은 나라에선 별도로 방공군을 두기도 한다. 주력 방공부대가 없는 군종이라도 해군의 기지방어용 대공포나 대공유도탄, 함정의 방공망 등 어느 정도의 대공 체계는 있는 게 일반적이다.
한국군에서는 육군 포병병과의 부분으로 시작되었다. 1991년 7월 1일에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2]되었고, 육군은 현재 독자적인 방공병과(야전방공)를 운영하고 있다. 노태우 정권 시절, 8·18 계획에 따라 중·고고도(中·高高度) 방공전력은 공군 담당으로, 저고도(低高度) 방공전력은 육군 담당으로 정리하게 된다.[3]] 1991년 육군방공포병사령부와 예하 제1방공포병여단, 제2방공포병여단 및 육군방공포병학교는 육군에서 공군으로 이관되었고, 전군과 동시에 공군은 제3방공포병여단을 창설했다. 육군에 남은 제3방공포병여단은 제1방공여단으로 재편되었다. 이때 포병병과에서 보병병과 내의 방공특기로 바뀌게 되며 공군은 '방공포병', 육군은 '방공'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 된다. 장성급이나 경력이 높은 원사/준위 중에는 육군 출신들이 남아있지만 거의 사멸한 상태이다. 사족으로 붙이자면 이 구획 구분이 지금 C-RAM 체계 도입과정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공군은 중저고도 방공을 위해 이스라엘 아이언 돔 체계를 도입하려 하고 육군은 이 과정에서 놓칠 수 있는 포탄의 요격을 위해 기관포형 C-RAM 체계 도입을 신청했다. 문제는 돈이 없고 이 과정에서 서로 자기관할 구역이라고 구역 싸움질을 하는 중이다
조선인민군도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조선인민군 육군이 각각 자체 방공망을 운용 중이다.
탄도탄 요격 미사일이 개발되면서 대응하기 위한 MD(Missile Defense)의 핵심전력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텔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기에 고출력 레이더 등의 카운터 스텔스 기술을 도입하기 쉬운 방공포대가 있다면 스텔스기가 맘대로 설치면서 다니기 어렵다.(Allied Force 작전 당시 다니 졸탄 대령 방공포대장은 F-117을 SA-3 대공 미사일로 격추시켰다. 물론 추후 밝혀진 이야기에 따르면 시도때도 없이 이동 및 설치를 하느라 엄청 힘들었다고 한다.) 탑재량에 한계가 있는 전투기, 전폭기에 비해 동시 다수교전기능이 발달되고 있어 무인전투기 시대에서는 한번에 많은 미사일을 날려 무인전투기를 격추하는 데 핵심이 될 세력이다.
(한국군의 방공포병들은 다른 국가와는 전혀 다른 체계의 전투를 준비하는 북한군에 대비하기 위해서 각종 체계를 개발 중에 있으며 20xx년도 이후에는 새로운 무기체계를 도입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노후화된 장비들은 2선으로 물러나거나 퇴역할 예정이다.)

2. 대한민국 공군의 방공포병






2.1. 연혁


  • 1950. 6. 29 미국 제507고사포대대 1개소대(M55 4문) 수원비행장 배치/최초 임무수행
  • 1954. 1. 11 한국군 최초 고사포대대 창설(제505자동화기 고사포대대)
  • 1955. 8. 22 육군 제1고사포여단 창설
  • 1964. 4. 호크대대 창설[4]
  • 1965. 6. 나이키대대 창설[5]
  • 1966. 6. 14 육군 제1방공포병여단으로 개편
  • 1972. 12. 1 육군 제2방공포병여단 창설, 육군 방공포병사령부[6] 창설 (2개 여단)
  • 1975. 9. 수경사 제10방공포병단 창설
  • 1977. 10. 1 육군방공포병학교 창설
  • 1986. 12. 1 육군 제3방공포병여단 창설
  • 1988. 11. 1 공군 제88방공포전대 창설(공군작전사 예하)[7]
  • 1991. 7. 1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轉軍)[8] 제88전대 해체. 공군방공포병사령부 개편
  • 2001. 4. 1 육군방공학교 개편/부대이전
  • 2002. 9. 3 육군 방공병과 재창설[9]
  • 2008. 11. 28 공군 패트리어트(PAC-2) 도입
  • 2011. 12 수도방위사령부 제10방공단과 제3야전군사령부 예하 제1방공여단이 통합하여 수도방위사령부 제1방공여단으로 재편성
  • 2013. 6. 11 공군 방공포병사령부를 공군 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변경.

2.2. 보직


방공포병/보직 문서 참조.

3. 목록



3.1. 대공포



3.1.1. 대구경



3.1.2. 소구경



3.2. 대공 미사일



3.2.1. 단거리(저고도)



3.2.2. 중거리(중고도)



3.2.3. 장거리(고고도)



[1] 장교와 부사관용으로는 전용 흉장이 나온다. 사진의 흉장은 최근 개정된 것으로 구형은 방패 안에 나이키 형상의 삼각형이 새겨져있다. 원래는 작전통제장교 및 보좌관의 보직에 부여되는 병과휘장이라 전문하사는 원칙적으로는 못 쓰지만 간부용이라는 인식이 있어 붙이라고한다.(전문하사 단급 부대 교육 시 안 붙이고 오면 군장점 가서 달아 오라고 한다.) 문제는 포대에선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전문하사를 하기로 작정했다면 병장을 단 시점부터 단급부대 추진을 가는 보급부서와 선탑가는 부사관 또는 운전병에게 부탁하기 시작해야한다. 그나마도 비행단 추진이면 구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경우에 따라선 부서 부사관이 선물로 주기도 한다. 기본형은 사진에 있는 별과 월계관이 없다. 별만 달려있다면 10년 근속, 월계관 씌운 별이 달려있는 경우 30년 근속이나 부대 지휘관을 상징한다.[2] 여담으로 군인사법에 전군 시의 복무기간에 대한 규정이 있는데 짧은 것이 무조건 우선이다(제5조의2, 3항).[3] 물론 그렇다고 공군 방공포병에 단거리 방공전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나, 발칸이나 미스트랄 등을 중심으로 공군기지 머리 위만 딱 지킬 정도로 가지고 있다. 본격적인 야전방공은 육군 소관이다.[4] 미 군사고문단의 조언으로 창설되었다, 이 때 창설을 주장한 장교가 한국계 미군 장교 김영옥 대령이었다.[5] 상기 각주와 동일[6] 철매부대[7] 비행단에서 운용되는 방공무기 총괄[8] 방공포병이 육군에서 공군으로 이관되었다는 뜻.[9] 천마, 비호, 신궁 등의 방공전력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 재창설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