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51
[1]
1. 노선 정보
2. 개요
동아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7.32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84번 도시형버스(화계사 - 중앙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국립4.19묘지교차로 - 도선사입구’ 구간을 연장했고, 중앙대 방향은 창경궁로 대신 대학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번호 또한 151번으로 바뀌었다.
- 2019년 1월 5일부터 토요일 운행 대수는 5대 줄고, 공휴일 운행 대수는 1대 늘면서 토요일/공휴일 운행 대수가 25대로 같아졌다. 이로써 1일 총 운행횟수가 토요일의 경우는 기존보다 25회 감회되었고, 공휴일의 경우는 기존보다 5회 증회됐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토요일의 경우 전반적으로 배차간격이 2분가량 늘었으며, 공휴일의 경우도 인가상 최대 배차간격은 2분 늘어난 12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공문
- 2020년 2월 17일부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85분인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00분으로 15분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6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감회되었다. 이에 따라 본래 평일 5~8분, 토요일/공휴일 7~12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 6~9분, 주말 7~15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일자미상으로 복편 도선사입구 정류장이 삭제되었다. 따라서 우이동 종점 방향은 성원아파트에서 내려야된다.
4. 특징
- 일반버스 16대, 저상버스 17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17대의 저상버스 중에서 3대는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있다. 해당 차량은 기사들한테 악명 높은 차종 중 하나이다. 국립재활원, 서울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등등의 시설을 경유하는 노선이라 2009년 이후 예비차 2~3대를 제외하고 전부 저상버스로 운행해 왔지만 153번에 저상버스를 늘리는 등의 차량 이동 등으로 현재는 저상버스와 일반버스 배차 시 1:1로 맞춰서 배차하고 있다.[4]
- 중앙대학교 근처를 지나는 간선버스 중 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정류소가 있는 노선이다. 또한 용산과 서울역, 남대문시장, 종로, 대학로 등 강북의 주요 지역을 모두 경유하기에 흑석동에서 강북으로 나갈 때 가장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이다.
- 4.19묘지 인근에서부터 입석이 시작되고, 화계사 부근에서 앞문까지 승객이 꽉 찬 상태로 미아역, 미아사거리, 길음역, 안국동까지 운행할 정도로 수요가 많다. 삼양로 구간에서 안국동 가는 109번이 있지만 이쪽도 만만찮다. 물론 중앙대학교 정류장에서 줄 서있는 경우도 많다![6] 중앙대에서 서울역, 종각, 길음역을 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중앙대학교병원 앞에서 한강 건너는 노선은 이 노선이 유일하다.
- 한강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 비슷한 번호의 150번과 152번처럼 노량진 방면으로 가는 듯하다가 옆 골목으로 들어가 P턴한 후 흑석동으로 빠진다. 150번, 152번 선형을 생각했거나 한 끝 차이로 번호를 잘못 보고 탑승했다간 낭패. 2009년까지만 해도 잘못 탔다면 꼼짝 없이 흑석동까지 갈 수 밖에 없었지만 노들역 영업개시 이후 2010년부터는 그나마 골목길 들어가자마자 한 번 정차한 후에 흑석동으로 빠지니 잘못 탔다면 여기서 환승하자.
- 이 노선에 투입된 차량 2대가 타요로 랩핑되었다.
- 한때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기가 예비차(일반버스)를 제외한 모든 차량에 설치됐었다. 멘트는 “동아운수 151번 버스가 도착하였습니다. 151번은 우이동, 롯데백화점, 중앙대학교로 운행합니다”이다. 현재는 미사용.
- 2016년 9월 9일부터 삼성화재에서 임산부의 안전한 버스 이용을 위한 ‘임산부 안심 버스벨’을 이 노선 버스 차량에 설치했다. #
- 중앙대학교 정류장 도착 후 기사가 화장실 가기 위해 쉬었다 가는 경우도 있으나, 쉬지않고 우이동으로 운행하는 기사도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7] , 서울역, 남영역[8] , 용산역[A]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서울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9] , 흑석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용산역[A]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 솔밭공원역, 4.19민주묘지역, 화계역, 성신여대입구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공항철도 직통열차),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무궁화호)[A]
[1] 우측 차량은 이 노선의 유일한 중저상버스였으며, 현재는 개선형 저상으로 대차되어 153번에서 운행중이다.[2] 본 노선 소속 예비차가 N15번으로 다중등록 되어 있고, 반대로 N15번 소속 정규차 1대도 역시 본 노선으로 다중등록 되어 있다.[3] 토요일 / 공휴일 25대 운행[4] 다만 최근에는 이 노선보다는 153번에 저상 신차를 투입하고 153번에 있던 일반 차량을 가져오는 추세이기도 하다. 이 노선에도 신차는 꾸준히 들어가고 있다.[5] 멤버 조준호와 손현이 중앙대학교 출신이다. 참고로 84번 버스는 1970년대 초부터 2004년 버스개편까지 노선 변경 없이 운행했으며 중앙대앞 정류장은 단순한 회차지점에 불과했지만 중앙대생에게는 커다란 추억의 편린과 다름 없는 존재였다.[6] 중앙대학교 정류장에서 원하는 자리에 앉기 어려울 수 있으니 특정 자리를 선호한다면 흑석동 빗물펌프장 정류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보자[7] 조계사 하차[8]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 5분 거리[A] A B C 신용산역 하차[9] 중앙대병원 방향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