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번대

 




1. 개요
2. 51 (관악교통 → 한남운수) (★)
3. 51 (안성여객)
4. 51-1 (좌석) (관악교통 → 우신버스) (★)
5. 52 (한남운수)
6. 52-1 (한남운수)
7. 53 (혁성운수 → 북부운수)
8. 53 (좌석) (남부운수) (★)
9. 53 (좌석) (혁성운수 → 개봉여객) (★)
10. 53-1 (혁성운수 → 북부운수) (★)
11. 54 (혁성운수 → 북부운수)
12. 54 (좌석) (보성운수 → 신성교통 → 신인운수) (★)
13. 55 (창진상운 → 부흥교통 → 진화운수 → 대원여객)
14. 55 (좌석) (★) (풍양운수 → 화곡교통)
15. 55-1 (창진상운 → 부흥교통) (★)
16. 55-2 (창진상운 → 신진운수 → 범양여객 → 한남운수)
17. 55-3 (부흥교통 → 진화운수 → 대원여객)
18. 55-4 (부흥교통) (★)
19. 56 (신흥기업)
20. 56 (좌석) (옥성운수 → 범일운수)
21. 56-1 (신흥교통) (★)
22. 56-2 (신흥기업)
23. 57 (신흥기업)
24. 57-1 (신흥교통) (★)
25. 58 (신흥기업)
26. 58-1 (신흥교통) (★)
27. 59 (원효여객 → 한성교통 → 우신교통 → SM버스)
28. 59 (좌석) (원효여객 → 서울승합)
29. 59-1 (원효여객) (★)
30. 60 (원효여객 → 한성교통) (★)
31. 60 (좌석) (상신교통) (★)
32. 61 (삼흥운수 → 태진운수) (★)
33. 61 (좌석) (영인운수)
34. 61-1 (태진운수) (★)
35. 61-1 (좌석) (영인운수) (★)
36. 62 (태진운수)
37. 62 (좌석) (남부운수, 신길운수 → 신길운수)
38. 62-1 (태진운수)
39. 62-1 (좌석) (신길운수)
40. 63 (한서교통 → 태진운수 → 승원여객 → 서울버스)
41. 63 (좌석) (공항버스) (★)
42. 63-1 (승원여객 → 서울버스)
43. 63-1 (좌석) (승원여객) (★)
44. 63-1(좌석) (공항버스) (★)
45. 63-2 (승원여객) (★)
46. 64 (한서교통) (★)
47. 64 (좌석) (중부운수) (★)
48. 64-1 (중부운수)
49. 64-2 (중부운수) (★)
50. 65 (한서교통)
51. 65 (좌석) (신촌운수) (★)
52. 65 (좌석) (태진운수) (★)
53. 66 (동서교통 → 대성운수 → 남성교통)
54. 66 (좌석) (화곡교통) (★)
55. 66-1 (동서교통 → 대성운수 → 남성교통) (★)
56. 67 (한서교통 → 동부운수) (★)
57. 67 (좌석) (세풍운수 → 동남교통) (★)
58. 68 (한서교통)
59. 68 (좌석) (김포교통)
60. 69 (한서교통)
61. 69-1 (한서교통)
62. 70 (대일교통 → 삼진교통 → 남부운수 → 범일운수)
63. 70 (동성교통) (★)
64. 70 (좌석) (현대교통) (★)
65. 71 (삼선버스 → 대진운수)
66. 71 (좌석) (범양여객 → 신장운수) (★)
67. 72 (삼성여객) (★)
68. 72 (좌석) (선진운수) (★)
69. 72-1 (선진운수)
70. 72-2 (좌석) (선진운수)
71. 73 (신진운수 →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72. 73 (좌석) (신촌교통) (★)
73. 73-1 (신진운수 → 범양여객 → 삼성여객) (★)
74. 74 (신진운수 → 한성교통 → 우신교통 → SM버스)
75. 74-1 (신진운수) (★)
76. 75 (신진운수 → 신성교통) (★)
77. 76 (대일교통 → 삼진교통 → 남부운수 → 범일운수)
78. 76 (좌석) (남부운수) (★)
79. 76-1 (남부운수) (★)
80. 77 (서울승합 → 성동운수 → 동진상운 → 서울승합 → 대흥교통)
81. 77 (좌석) (대흥교통) (★)
82. 77-1 (대흥교통)
83. 77-2 (대흥교통)
84. 78 (서울여객 → 삼영교통) (★)
85. 78-1 (서울여객 → 삼영교통 → 도선여객)
86. 78-2 (삼성여객) (★)
87. 78-3 (삼성여객)
88. 79 (남산운수 → 신진운수) (★)
89. 79-1 (남산운수 → 삼성여객)
90. 80 (삼성여객) (★)
91. 80 (좌석) (유성운수 → 서울승합 → 삼선버스) (★)
92. 81 (삼성여객)
93. 81 (좌석) (제일여객) (★)
94. 81-1 (삼성여객)
95. 82 (중앙교통) (★)
96. 83 (남산운수 → 신진운수, 삼성여객 → 진화운수)
97. 83-1 (남산운수 → 신진운수 → 진화운수)
98. 84 (동아운수)
99. 84 (좌석) (동아운수) (★)
100. 84-1 (동아운수) (★)
101. 84-2(동아운수)
102. 85 (풍양운수)
103. 85-1 (풍양운수)
104. 85-2 (풍양운수)
105. 85-2 (좌석) (풍양운수) (★)
106. 85-3 (풍양운수) (★)
107. 86 (대진운수 → 삼원여객 → 우신운수) (★)
108. 87 (동아운수 → 서울버스)
109. 87 (좌석) (동아운수 → 대진운수) (★)
110. 87-1 (서울버스)
111. 88 (범진여객) (★)
112. 88-1 (범진여객) (★)
113. 89 (범진여객) (★)
114. 89 (좌석) (범진여객) (★)
115. 89-1 (범진여객) (★)
116. 90 (동원여객 → 과천여객 → 우신버스) (★)
117. 90(좌석) (동원여객 → 과천여객 → 우신버스)
118. 90-1 (삼원여객, 과천여객[1]) (★)
119. 90-1 (좌석) (우신버스)
120. 90-2 (좌석) (우신버스) (★)
121. 91 (동원여객 → 범진여객) (★)
122. 92 (신촌운수) (★)
123. 92-1 (신촌운수) (★)
124. 92-2 (신촌운수 → 중부운수)
125. 93 (성진상운 → 관악교통) (★)
126. 94 (성진상운 → 관악교통)
127. 94 (좌석) (관악교통) (★)
128. 94-1 (관악교통) (★)
129. 95 (한남운수) (★)
130. 95-1 (한남운수 → 한성운수) (★)
131. 95-2 (한남운수 → 신촌교통) (★)
132. 95-3 (한남운수) (★)
133. 96 (상마운수 → 한남운수)
134. 96 (좌석) (상마운수) (★)
135. 97 (대화여객 → 삼원여객) (★)
136. 97-1 (삼원여객) (★)
137. 97-2 (삼원여객 → 우신버스)
138. 98 (일광운수 → 태광교통 → 안남운수 → 군포교통)
139. 98-1 (군포교통 → 신진운수) (★)
140. 99 (일광운수 → 태광교통 → 안남운수 → 군포교통)
141. 99-1 (군포교통)


1. 개요


1970년 4월 1일 개편으로 정릉부터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1번부터 165번까지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후 변경과 폐지, 신설, 165번 이후의 번호 부여 등으로 인해 이 체계가 무너졌다.

2. 51 (관악교통 → 한남운수) (★)


[image]
[image]
좌석버스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좌:MBC 뉴스데스크/우:버스라이프)
운행구간 : 신림9동차고지 - 서울대학교 본부앞 - 서울대입구역 - 이수교차로 - 반포 - 녹사평역 - 남산3호터널 → 롯데백화점 → 광교 → 광화문(세종문화회관) → 시청 → 신세계 → 남산3호터널 → 이하 역순
본래 관악교통에서 운행하다가 80년대 중반 한남운수로 넘어간 좌석노선이다. 2000년에 도시형 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서울대학교 구내 구간을 단축하였지만, 승객 부족으로 인한(퇴근 시간에 보면 자리만 겨우 채우는 수준이었다.) 엄청난 적자로 인해 2001년 무렵에 폐선되었다.
폐선 후 기존 면허는 모두 말소되었고,[2] 기존 차량들은 차량 면허를 새로 발급받아 타 노선으로 이동하였다.

3. 51 (안성여객)


문화촌 - 잠실. 안성여객 면허취소에 따라 폐선

4. 51-1 (좌석) (관악교통 → 우신버스) (★)


운행구간 : 신림9동차고지 - 서울대학교 본부앞 - 서울대입구역 - 이수교차로 - 구반포 - 신반포 - 고속터미널
본래 관악교통에서 운행하다가 우신버스로 넘어간 51번 좌석노선의 단축판이다. 1990년대 초반 폐선.

5. 52 (한남운수)


[image]
좌석버스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
운행구간 : 서울대 - 신림역 - 신대방삼거리 - 장승배기 - 동작구청 - 노량진역 - 본동가칠목
1977년 신설, 본래 종로2가까지 운행하던 좌석버스였으나 1997년 12월 1일부로 형간전환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본동가칠목으로 불법 단축운행하다가 이후에 정식으로 인가받았다.
2004년 개편 후 서울 버스 5516이 되었다.

6. 52-1 (한남운수)


[image]
[3]출처
개편 후 5518번으로 바뀌었다가 5516번에 흡수되었다. 그 영향으로 5516번이 노량진 방향으로 운행할 때 153번의 회차 구간으로 우회한다.

7. 53 (혁성운수 → 북부운수)


[image]
[image]
[image]
사진 왼쪽 차량이 해당되며, 해당 면허는 현재 2019년식 개선형 저상으로 그대로 다니고 있다.출처
운행 구간 : 휘경동 - 전농동 - 장안동 - 답십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대문 - 종로 - 광화문 - 서부역 - 원효로 - 여의도 - 영등포
혁성운수가 2000년 대규모 업체 정리와 함께 사라지면서 북부운수가 인수한 노선. 전농동 운행에서 그야말로 혼돈의 끝을 보여주었다. 개편 후 기점이 휘경동에서 면목동, 신내동으로 변경되고 광화문/시청 경유를 롯데백화점 경유로 조정해 서울 버스 262로 바뀌어 지금에 이른다.
여담으로 '아저씨! 거기가 열렸어요' 라는 야릇한(?) 광고를 달고 다닌 노선 중 하나였다. 관련 게시물

8. 53 (좌석) (남부운수) (★)


운행구간 : 석수역 - 코카콜라 - 구로공단역 - 보라매공원 - 병무청 - 대방동 - 여의도 - 전자상가 - 용산 - 삼각지 - 남영동 -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신세계 → 서울역
1977년 신설, 이후 753번으로 노선 변경

9. 53 (좌석) (혁성운수 → 개봉여객) (★)


[image]
운행 구간 : 장안아파트 - 신설동 - 마장동 - 광화문 - 서부역 - 원효로 - 여의도 - 영등포 - 구로동 - 광명동
1981년 신설, 도시형 53번을 광명시까지 늘려놓은 노선이었는데, 이후 개봉여객에 넘긴 후, 80년대 중반에 폐지되었다가, 90년대 좌석버스 붐에 힘입어 또다시 혁성운수에서 도시형 53번과 똑같은 노선으로 1991년 4월 18일 부활되지만, 1995년 2월 16일 다시 폐지. 이후 남은 잉여차량으로 지역순환 402, 427 신설에 사용하고 일부 면허는 신성교통 좌석 907번 증차분으로 매각하였다.

10. 53-1 (혁성운수 → 북부운수) (★)


운행구간 : 장안A - 동대문구민회관 - 장한평 - 장안시장 - 답십리 - 전농동 - 서울시립대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청량리역 - 서울시립대 - 전농동 - 배봉초교 - 휘경공고 - 장안A
혁성운수가 부도로 폐업하면서 북부운수가 인수한 노선. 1993년 8월 10일 53번의 하위 노선 개념으로 신설되어 장안동 - 신설동 간을 운행하였다. 1995년경에 402번이 신설되면서 서서히 유령노선이 되더니, 노선을 대폭 변경하여 장안아파트 - 경동시장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결국 2001년에 폐선.

11. 54 (혁성운수 → 북부운수)


[image]
출처 광고는 영화 아홉살 인생.
운행 구간 : 휘경동 - 전농동 - 장안동 - 답십리 - 용두동 - 신당역 - 을지로 - 서울서부역 - 원효로 - 여의도 - 공군회관 - 보라매공원 - 대림동
53과 더불어 장안동 일대를 주력으로 다녔던 노선이며 개편 후 대부분의 구간이 단축되고 구 155번의 동대문운동장역 - 옥수동 구간을 이어받아 현재의 서울 버스 2233이 됐다. 여의도 - 대림동 구간은 서울 버스 5534가 계승하였다.

12. 54 (좌석) (보성운수 → 신성교통 → 신인운수) (★)


운행구간 : 가산동 - 구로주공A - 가리봉역 - 디지털1~3단지 - 구로공단역 - 보라매역 - 여의도 - 마포 - 공덕동 - 만리동 - 서부역 - 미도파
원래는 구로동 - 미도파 간을 운행하였으나, 80년대 중반에 신성교통으로 넘어간 후 계열사인 신인운수로 다시 이관되었다. 이 때 종점이 가산동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90년대 후반에 150번의 운행댓수를 늘리기 위해 폐선되었다.

13. 55 (창진상운 → 부흥교통 → 진화운수 → 대원여객)


[image]
해당 차량은 108번에서 2015년식 NEW BS106 차량으로 운행중이다.
[image]
출처
운행구간 : 구리(수택동) - 망우리 - 상봉동 - 청량리 - 신설동 - 동대문 - 종로 - 서울역
원래는 755번과 같이 봉천동까지 운행하던 초장거리 노선으로[4] 1991년 상반기에 소요시간이 너무 길어 서울역으로 단축되었다. 그리고 1993년 8월 10일에 제기동으로 단축하였다.
2001년 6월 부흥교통이 진화운수에게 합병되면서 운수업체가 진화운수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1년 12월 11일에 755번 좌석버스와 통합한 후 서울역으로 연장했다.
차량 관리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진화운수가 장지동 본사와 떨어진 영업소 노선들을 모두 정리하게 되었고, 2002년 4월 1일에 운수업체가 대원여객으로 바뀌었다.
구리 - 서울을 돌아다니는 55번 형제의 리더. 개편전에는 29대가 5~10분 간격으로 다녔으며 막차가 수택동에서 00:20에 출발하여 서울역에서 01:10에 막차가 끊겼다. 당시 대성리까지 가던 765번 직행좌석버스와 더불어 구리/남양주에서 청량리를 잇는 심야버스 역할을 했다.
정작 리더는 개편 당시 2226번으로 청량리까지로 단축되었고 이후 폐선되어 버렸다. 하지만 서울 버스 201이 사실상 이 노선의 후신. 심야운행도 201번이 이어받아서 수택동 00:00, 서울역 01:20으로 이어지고 있다.


14. 55 (좌석) (★) (풍양운수 → 화곡교통)


운행구간 : 신월동 - 신월시영아파트 - 신정역 - 목동사거리 - 구통합병원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연세대 - 사직동 - 광화문 - 시청 - 서소문 - 신촌
1979년 10월 1일 서울시 좌석버스 개편 때 봉천동에서 성북동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신설 초기에는 BF101로 운행했으며, 이후 BS105를 거쳐 BS106 하이파워 좌석형 스틸바디 차량으로만 운행하였다.
신월동 구간은 326번, 1003(327)번, 328번과 겹쳤고, 1003(327)번의 보조 노선이었다. 그런데도, 수요는 미어터질 정도로 많았다. 이 때는 5호선이 생기기 전이었고, 양천구청역도 1992년에서야 생겼기 때문에 버스 말고는 시내로 나갈 대중교통편이 없었기 때문이다. 55번, 61번, 61-1번, 129번 등 광화문, 시청, 미도파로 가는 노선이 매우 많았던 것도 이 때문.
1996년에 노선이 동일하고 정차 정류소가 적은 직행좌석 1003번이 신설되고 5호선이 개통되면서 적자가 심해졌으며, 1999년에 수요 부족을 이유로 승객이 많은 정류장에 안내문 하나만 내걸어놓고, 쓸쓸히 폐선되었다.

15. 55-1 (창진상운 → 부흥교통) (★)


운행구간 : 구리(토평동) - 구리여중.고 - 밀알교회 - 럭키아파트 - 한성아파트 - 동현아파트 - 이문안 - 구리시청 - 삼육중고 - 교문사거리 - 딸기원 - 망우리고개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 → 제기동 → 시립동부병원 → 동대문구청 → 안암교 → 제기동 → 청량리 → 이하 역순
초창기엔 광릉내 - 숭인동 구간[5]을 운행하다가 숭인동 - 신설동 구간이 단축되고 1995년 8월 20일 수택동, 교문동 아파트단지 개발로 인해 광릉내 - 장현 - 퇴계원 - 교문사거리 구간이 토평동 - 구리여고 - 정각사입구 - 교문사거리로 변경됐다. 진화운수(정확히는 합병 전의 부흥교통)가 구리에서 영업할 때 KD 운송그룹과 협상을 하여 5-1번과 중복되는 이 노선을 폐선한다.[6]

16. 55-2 (창진상운 → 신진운수 → 범양여객 → 한남운수)


[image]해당 면허는 도원교통 171번에서 운행하다가 도원교통 6514번으로 넘어갔다.
[image]해당 면허는 도원교통 6514번에서 운행중.
[image]
출처
위 차량은 현재는 유상감차로 말소되었다.
운행구간 : 서울대 - 서울대입구 - 상도동 - 노량진 - 용산역 - 서울역 - 퇴계로 - 중구청
창진상운 시절 55번이 신세계를 기준으로 '교문동(이후 수택동으로 연장) - 신세계'로 단축되면서, 남은 '신세계 - 쑥고개' 간을 운행하기 위해 신설된 노선. 형제노선인 좌석 755번과 같은 종점을 썼지만, 다른 55번 형제노선과 달리 운용에 어려움이 발생해 신진운수에 양도 후 범양여객을 거쳐 한남운수에서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한남운수에서 서울대로 연장했다.
2004년 개편 이전에는 숭실대로 경유하는 노선 중에서 한강대교를 건너가는 노선으로는 드물게 상도터널을 경유하지 않고 장승배기와 노량진으로 돌아서 운행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기도 하였지만 상도터널 이후에 있는 지역주민들이 도심으로 갈 때 이용할 수 있었던 노선이기도 하였다.
2001년에 남대문로로 직행했던 노선을 같은 회사노선인 95번과 통합하여 중구청까지 연장하면서 회차지점이 옮겨지고 회차도 복잡해졌다.
2004년 7월 버스개편 때 한강을 건너던 노선이 많이 사라졌듯이, 이 노선 또한 용산 - 중구청 대신 중앙대학교 회차로 변경되었다. 덕분에 이전 55-2번 시절과는 달리 도심으로 가지 않기 때문에 승객 수가 감소되었지만 대신 흑석동 구간을 새로 달리게 되었다. 이후의 내용은 서울 버스 5517 문서를 참조.
MBC의 범죄수사물 수사반장경찰청 사람들에서 이 노선이 등장했던 적이 있다.


17. 55-3 (부흥교통 → 진화운수 → 대원여객)


[image]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108번에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구리(수택동) - 구리여중고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동 - 면목동 - 청량리 - 신설동 - 동대문 - 종로5가
우신운수 86번의 노선 단축으로 단축 구간 대체노선 격으로 구리시 토평동에서 돌다리 망우리 면목동 경유 종로5가 회차 노선이었다. 신설 초기 55-3 밑에 '舊 86번'을 표시했다.
운행대수 35대로 상당했음에도 면목동길에는 19번 같은 괴물들이 즐비했던 바람에 꼬마애 수준이었지만 그래도 면목동 수요는 꼬마가 아니었던 노선. 구리 - 서울 간을 오가는 대표적인 노선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었다.[7]
서울 버스 201로 개편되었지만 결국 2005년에 201이 서울역까지 연장되면서 201은 55번의 후계노선에 가깝게 되어버렸다. 개편 전에 비해서 운행댓수는 줄었으면서 거리는 늘어난 탓에 지금 201번 다니는 모양새를 보면 배차간격이 심히 늘어났다.

18. 55-4 (부흥교통) (★)


운행구간 : 구리(수택동) - 구리여중고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7호선 개통에 맞춰 신설된 노선으로, 구리시와 상봉역 간을 운행하였다. 1997년 폐지되었으며 남은 잉여분을 좌석버스 755번에 증차하였다.

19. 56 (신흥기업)


[image]
[image]
운행구간 : 오금동 - 방이동 - 성내역 - 구의사거리 - 건대입구역 - 송정동 - 군자교 - 답십리 - 전농동 - 신답역 - 왕십리 - 신당동 - 퇴계로 - 서울역 (→ 숙대입구역 → 남영역→/← 청파로 ←) 남영역 - 용산구청 - 효창운동장
개편 후 정작 본 노선은 청량리까지 단축된 서울 버스 3216으로 변경되어 완전 별개의 노선이 되어버렸고(강남구간만 3216번이 답습.), 대체 노선으로 371번이 신설되어 이 노선을 어느정도 답습하였으나 반년도 못채우고 상습정체 등으로 남대문시장으로 단축, 304번으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220 참조.
참고로 서울시내버스에서 마지막으로 AC520SL을 운행한 노선이기도 하다.

20. 56 (좌석) (옥성운수 → 범일운수)


운행구간 (1기) : 시흥동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 독산동 정훈단지 - 코카콜라 - 구로공단역 - 보라매공원 - 병무청 - 대방동 - 여의도 - 마포대교 - 아현동 - 서소문 → 시청앞 → 서울역 → 염천교 입구 → 경찰청 → 서소문
운행구간 (2기) : 시흥동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 독산동 정훈단지 - 구로전화국 - 난곡입구 - 신림역 - 봉천역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역 - 예술의전당 - 서초동 - 고속터미널 → 성모병원 → 서초동
[image]

1979년 10월 1일에 좌석버스가 등장하면서 신설되었다.
1983년 9월, 여의도 경유 도심 회차에서 남부순환로 경유 고속터미널 회차로 대폭 변경되었다.
2001년 7월에 도시형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56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500번대 문서의 560번 항목을 참조.

21. 56-1 (신흥교통) (★)


운행구간 : 오금동 - 올림픽공원 - 잠실역 - 삼성역 - 선릉역 - 강남역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구/신반포 - 동작역,국립현충원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동
1990년대 초반에 폐선.

22. 56-2 (신흥기업)


[image]
2000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지금은 두 번 대차되어 2222번 화이버드 2020년식로 운행중이다.출처
1984년 우신운수 남현동-잠실 구간을 운행하던 7번이 신흥교통에 노선을 넘기며 오금동-대방동 구간으로 노선을 변경하며 노선번호를 56-2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했다.
운행구간 : 오금동 - 올림픽공원 - 잠실역 - 삼성역 - 봉은사 - 강남구청 - 학동역 - 논현역 - 고속터미널
90년대 초반까진 국립묘지, 흑석동, 노량진을 거쳐 대방동까지 운행하였다. 이후 개편 때 서울 버스 3414로 번호만 바뀌어 현재까지 운행 중에 있다.

23. 57 (신흥기업)


[image]
[image]

[image]
출처[8]
운행구간 : 자양동 - 군자동 - 답십리 - 신설동 - 청계천로 - 서울역 - 효창공원 - 동부/서부이촌동
58과 형제노선이었으나 58이 이촌동 구간이 짤리고, 결국 자신도 개편 때에 증발함으로써 형제의 뒤를 따르고야 말았다. 다만 구의사거리 ~ 청량리 구간은 지선버스 3216번이 답습하고 있다.
적청 분리 운행 시절에는 효창공원삼거리를 기준으로 효창운동장을 시계방향으로 타고 도는 노선(청노선)과 반시계방향으로 타고 지금의 백범기념관 방면을 거쳐 운행하는 노선(적노선)으로 운행되었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당연히 적노선의 소요시간이 약간 더 길었으며, 이에 따라 적노선의 배차간격이 청노선보다 길었다.

24. 57-1 (신흥교통) (★)


운행구간 : 자양동 - 자양아파트 - 한창주택 - 강변역 - 구의역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정문) - 군자교 - 장한평 - 경남호텔 - 촬영소사거리 - 전농사거리 - 서울시립대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청계7가 - 청계천로 - 광교 (← 무교동 ← 시청/→ 미도파 → 염천교 →) 서부역 - 숙명여대 - 효창공원 - 원효로 - 서부이촌동 - 동부이촌동 - 이촌동(신동아A)(회차)
신설 1개월 만에 폐선된 노선. 지역구의원의 입김으로 만들어진 노선이라는 설이 있었다. 자양아파트 ~ 강변역 구간은 현재 한빛운수 광진 05(舊 468번)가 답습하고 있으며 어린이대공원~청량리구간은 지선버스 3220번이 일부구간 답습하고 있다.

25. 58 (신흥기업)


운행구간 : 자양동 - 아차산역 - 군자동 - 답십리 - 제기동 - 신설동
[image]
[image]
본래 57번과 함께 이촌동까지 운영했으나,[9] 도중에 칼질당해버렸다. 그 대신 대개편 때 유일하게 살아남아 서울 버스 2221이 되었다.

26. 58-1 (신흥교통) (★)


운행구간 : 자양동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 방지거병원 (現 SK뷰) - 구의동 - 광장동 - 워커힐호텔
1992년 8월 20일에 폐선. 자양동 ~ 동서울터미널구간은 한빛운수 광진05(舊 2223)번, 동서울터미널-워커힐아파트 구간은 광진01번이 답습하고 있다.

27. 59 (원효여객 → 한성교통 → 우신교통 → SM버스)


[image]
[image]

출처
운행구간 : 새절역 - 북가좌동 - 명지대 → 연희동(자양동행 한정) → 서대문구청 - 홍은동 - 자하문 - 경복궁역 - 종로 - 신설동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동 - 건대입구역 - 자양동
개편 당시 새절역 - 경복궁 구간만 남아 서부운수로 넘어가서 서울 버스 7018이 되었다. 이후 서울 버스 721이 종로 - 자양동 구간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 다행.
한 때 버스 동호인들의 주목을 받기도 했는데, 바로 서울시 시내버스 중 최초로 저상버스(서울 70사 7041)가 투입되었기 때문이다.[10] 2003년 9월 3일, 바로 위 사진에 있는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 차량(국내 1호)을 투입해 3개월간 1일 4~5회씩 시범운행하였다. 시범운행이 끝난 후에는 현대자동차에서 회수해 폐차했고 대체분으로 부산 모터쇼 출신 차량이 들어갔는데 (당시 면허는 시범운행당시 면허 그대로 사용했음.) 이 차량이 개편과 함께 한국BRT(701번)으로 넘어갔는데 이과정에서 면허가 변경되었다.(서울 71사 1903.) 2013년에 일반버스로 대차.
노선이 좀 특이한데 상하행이 창의문길/터널 or 터널/창의문길로 왕복이 달랐다. 그러나 저상차는 터널/터널이었다. 매우 특이한 분리노선.

28. 59 (좌석) (원효여객 → 서울승합)


1998년 심야좌석으로 형간전환하면서 959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900번대 문서의 959번 항목을 참조.

29. 59-1 (원효여객) (★)


1991년 5월 1일 폐선. 이후 59번이 적/청 분리운행을 시작하였다.

30. 60 (원효여객 → 한성교통) (★)


운행구간 : 평창동 - 세검정 - 효자동 - 경복궁역 - 조계사 - 종로 - 동대문운동장 - 신당동 - 왕십리 - 답십리 - 군자교 - 중곡동
1991년 5월 1일에 폐선.

31. 60 (좌석) (상신교통) (★)


[image]
운행구간 : 철산동 - 개봉동 - 영등포역 - 여의도 - 마포 → 서대문 - 광화문 → 서울역 → 만리동고개 → 마포(이하 역순)
30-1번과는 반대방향으로의 30번의 단축 노선으로 1997년에 폐선되었다. 이후, 차량은 30번에 전부 투입되었다. 운행 종료 후 월계동이 아닌 철산동차고지 및 그 주변 주차장에 주박을 했었다.

32. 61 (삼흥운수 → 태진운수) (★)


[image]
출처 : SEOUL '88(1988 서울 올림픽 공식 화보집)
운행구간 : 성수동 - 뚝섬 - 왕십리 - 신당동 - 동대문 - 종로5가
본래는 62와 형제 노선으로 같이 성수동 - 대림동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11], 결국 반토막나서 성수동 - 광화문은 61이, 광화문 - 대림동은 61-1이 맡도록 분화. 그러나 61은 이후에도 종로5가, 왕십리 등 단축에 단축을 거듭하다가 결국 폐선되었다.

33. 61 (좌석) (영인운수)


[image]
운행구간 : 강서면허시험장 - 화곡동 - 등촌동 - 당산동 - 여의도 - 마포 - 충정로 - 광화문/서울시청
1996년 5호선 개통 영향으로 한강이북 구간 단축 후 같은해 8월 도시형 122-1로 전환.
현재는 서울 버스 6628로 운행 중이다.

34. 61-1 (태진운수) (★)


운행구간 : 대림동 - 신길동 - 대방동 - 노량진 - 서울역 - 광화문
위의 61번 항목 참조. 결국 62번에 통합되었다.

35. 61-1 (좌석) (영인운수) (★)


운행구간 : 외발산동 - 강서면허시험장 - 화곡동 - 까치산역 - 목동아파트 - 양화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신촌 - 광화문 - 시청
외발산동 - 화곡동까지의 승객 수요는 122번이 전담하던 지라, 거의 없었고, 까치산역부터 본격적으로 미어터졌던 노선.
좌석 노선이다 보니, 주 차종은 RB520하이파워, 에어로시티 520, 에어로시티 540을 운행했던 버스. (에어로시티 540의 경우는 도산된 삼원여객 좌석 797번에서 사용하던 1995년 7월식 상부냉방 차량을 중고로 도입하였다.) 중문도 없이, 오로지 앞문만 있었다. 이 노선의 하이파워는 화곡교통 55번처럼 스틸바디 차량이었다.
화곡교통 55번처럼 1996년수도권 전철 5호선이 완전 개통한 후부터 제대로 타격을 입은 노선이다.
허나 이 업체 역시 2001년경 옆동네 김포교통 좌석 130번에 자극을 받았는지 에어로 스페이스 LS등 고급좌석형 차종으로 교체하려고 했으나 결국 수요 부족으로 2001년 후반에 폐선되었다.

36. 62 (태진운수)


[image]
3단 박스형 에어컨 개조 에어로시티 차량.[12]출처
운행구간 : 성수동 - 뚝섬 - 왕십리 - 신당동 - 동대문운동장 - 을지로 - 남대문시장 - 서울역
과거엔 서울역을 지나 용산역, 노량진역, 대방역, 우신초교를 지나 현 태양의집 정류소 인근에 있었던 신길동 종점까지 갔다.
이후 종점이 연장되면서 현 대림우성아파트, 대림3동주민센터, 대림신동아아파트 구간을 거쳐서 구로5동 차고지까지 갔다. 다만 대림역은 지나지 않았다. 관련 게시물
61번이 폐선되면서, 기존 성덕정길(뚝섬구길, 국민은행성수동지점) 경유 대신 뚝섬로(뚝섬신길, 이마트성수점) 경유 노선이 신설되었는데, 성덕정길 경유로 통합되었다.
2004년 개편 때 동대문운동장 - 서울역 구간마저 단축되어 지금에 이른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2014 문서를 참조.


37. 62 (좌석) (남부운수, 신길운수 → 신길운수)


[image]
해당 면허는 현재 673번에서 운행중이다.
[image]
출처
운행구간 : 부천(상동) - 송내역 - 부천시청 - 신흥동 - 오정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동 - 마포구청 - 연대앞 → 사직공원 → 광화문 → 서울시청 → 충정로 → 이대후문(신촌기차역) → 연대앞
원래 신월동~시청 구간을 운행하던 좌석버스였으나, 1990년대 중반 수도권 전철 5호선이 개통되어 수요가 감소하자 마침 동시기에 개발되었던 중동신도시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노선이 부천으로 연장되었다. 개편 당시 광역버스 9600번으로 변경되었다. 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73 참고.
여담으로 백열등 채용 원형 BLU를 마지막까지 달고 다니던 노선이었다.

38. 62-1 (태진운수)


[image]
위 차량은 2005년에 대차되어 6511번으로 넘어간 다음 2010년 말에 다시 대차[13]출처
운행구간 : 거리공원/신도림역 - 구로구청 - 남구로역 - 대림역 - 신풍역 - 신길동 - 대방역 - 노량진 - 흑석동 - 구/신반포 - 고속터미널 - 논현동 - 선정릉 - 도곡역 - 개포동
1983년 9월 17일 62번에서 15대를 분리하여 신길동 - 노량진 - 고속터미널 - 영동시장 - 경복아파트 - 봉은사 - 종합전시장 - 휘문고교 노선으로 신설.
이후 삼성동에서 개포동으로 변경.
개편 이후 서울 버스 6411로 번호만 바뀌어 잘 다니고 있다.

39. 62-1 (좌석) (신길운수)


[image]
[image]
운행구간 : 부천(상동) - 중동역 - 부천역 - 원미구청 - 도당동 - 원종동 - 고강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동 - 마포구청 - 연대앞 → 사직공원 → 광화문 → 서울시청 → 충정로 → 이대후문(신촌기차역) → 연대앞
1990년 부천~서울을 잇는 좌석버스로 개통되었다. 개편 당시 광역버스 9601번으로 변경되었으며, 2004년 말 성산대교~연대앞 구간을 여의도~마포대교~마포로 경유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노선 변경이 결정적인 수요 감소를 초래하여, 2005년 여의도~마포~시청 구간이 단축되어 간선버스 서울 버스 661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40. 63 (한서교통 → 태진운수 → 승원여객 → 서울버스)


[image]
위 차량은 2004년 대개편 때 한국brt로 차출되었고, 2006년 말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가 2017년에 다시 신형 저상버스로 대차 후 140번에 있다.
운행구간 : 장지동 - 가락시장 - 배명중고교 - 삼전동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청담동 - 영동대교북단
본래는 왕십리까지 운행하다가 영동대교 북단으로 단축되었으며 승원여객의 폐업 후 서울버스로 넘어갔다. 개편 당시 번호만 3219번으로 변경되었다.
개편전에는 환승할인도 없었고 3호선도 수서에서 끊겼기 때문에 송파구에서 강남구 소재 고등학교[14] 학생들의 스쿨버스 역할을 맡았으며, 등하교시간 미칠듯한 가축수송[15] 포스를 뽐냈었다. 개편후에는 여러모로 개편전 스쿨버스의 위엄이 많이 약해졌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개편과 함께 송파구 남부~강남구 간 버스가 여럿 생김(401, 461 등)
  • 환승할인 적용으로 가락시장까지 다른 버스 노선을 타고 가서 집 근처로 가는 버스로 환승이 가능해짐
  • 3호선 수서~오금 연장 개통
특히 3호선 연장 개통으로 통학수요가 급감해버리는 바람에 2010년 노선조정으로 오금동 구간에서는 완전히 철수하고 만다.
그러다 2015년 2월 27일부로는 영동대교 위쪽 구간마저 단축되고 청담역 회차로 변경되었으며, 동시에 가락동, 문정동까지 철수해버리고 세곡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이후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26 참조.

41. 63 (좌석) (공항버스) (★)


[image]
해당 면허는 63번 좌석 노선이 폐지되면서 면허가 말소되었다.
운행구간 : 방화동 - 김포공항 - 발산동 - 등촌동 - 염창동 - 강변북로 경유 - 마포역 - 서대문 - 광화문 - 서울시청
수도권 전철 5호선의 개통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저기서 말하는 '''해태앞'''은 양평한신아파트 정류소를 말하며, 해당 아파트 자리에 해태제과 공장이 있었다.

42. 63-1 (승원여객 → 서울버스)


[image]
[image]
두 차량 모두 두 번 대차되었고, 윗 차량은 3011번 중저상버스로, 아래 차량은 현재 NEW BS106으로 그대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장지동 - 가락시장 - 석촌동 - 잠실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압구정 - 금호동 - 약수역 - 동대문운동장 - 혜화동
과거 승원여객 시절에는 효제동 차고지를 출발하여 장지동에서 회차했으나, 나중에 차고지를 장지동으로 이전하면서 기점과 회차지가 서로 바뀌었다. 승원여객의 폐업 후 서울버스로 운행 업체가 바뀌었으며 개편 당시 301번으로 바뀌고 노선 일부도 변경. 참고로 서울버스에서 인수한 직후인 2000년 여름까지만 해도 효제동에 사무소가 있어서 휴식이 가능했지만 결국 단순 회차지로 바뀌었다.

43. 63-1 (좌석) (승원여객) (★)


[image]
(출처 : 서울시)
도시형 63-1번과 동일하게 운행하였다. 자세히 보면 앞서 설명한대로 혜화동 기점에 장지동 회차로 적혀있다.

44. 63-1(좌석) (공항버스) (★)


운행구간 : 인천(계산동) - 대장동 - 상야동 - 하야동 - 김포공항 - 공항전화국 - 발산동 - 등촌동 - 염창동 - 노들길 - 여의도 - 마포 - 충정로 → 광화문 → 서울시청 → 이하 역순
'''인천광역시 계양구'''까지 들어갔던 노선으로, 700번을 폐선시킨 다음 신설한 노선이었다. 당시 서울시내버스들 중 유일하게 인천지하철 1호선과 연계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2002년 7월 6일에 경기도 업체인 성민버스에 매각 후 김포운수로 양도돼서 폐선되었고, 2002년 12월 1일 좌석버스 66번과 통합되었다. 영등포로 변경하여 다녔으나.. 도시형 전환과 막장운행으로 인한 노선단축으로 66번의 현 지금도 인천 버스 66으로 다니긴 하는데, 송정역 이후 구간이 다 잘렸다.

45. 63-2 (승원여객) (★)


운행구간 : 운행구간 : 장지동 - 문정동(가락/현대A) - 경찰병원 - 가락시장 - 송파 - 석촌호수 - 잠실역 - 잠실3단지 - 종합운동장 - 삼성역 - 경기고 - 강남구청사거리 - 갤러리아 - 압구정역(회차)
1990년대 후반에 폐선되었다.

46. 64 (한서교통) (★)


운행구간 : 성수동 - 한양대 - 왕십리 - 동대문운동장 - 을지로 - 미도파 - 신세계 - 남대문시장 → 염천교 입구 → 서울역 → 남대문시장
1982년 4월 17일 폐지, 이후 68번에 10대, 69번에 11대 증차하였다.

47. 64 (좌석) (중부운수) (★)


운행구간 : 신월7동 - 신정역 - 오목교 - 문래동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노량진 - 흑석동 - 구/신반포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나산백화점 - 차관아파트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 - 성내역(현 잠실나루역) - 몽촌토성 - 천호역 - 둔촌동
1979년 11월 24일에 신설되었으며, 당시에도 212번과 비슷한 경로(목동 - 잠실)로 운행하였다. 다만 212번과 달리 코엑스를 경유하였으며, '강동구청역 - 천호역 - 강동역 - 둔촌동역 - 둔촌2단지' 구간으로 운행하였다.
2002년 6월 16일에 64-1번으로 흡수되었다.
이후에 한 번 더 신설되었는데, 이 때는 신정동 푸른마을과 신트리아파트, 신정ㆍ목동역 경유를 제외하고 64-1번과 동일하였다. 학생 수요를 잡기 위해 초등학생과 청소년에게 한해 도시형 운임을 적용했던 것이 특징.
2002년 5월 31일에 64-1번으로 흡수될 예정이었으나, 지방선거를 의식해 약간 늦춰진 2002년 6월 16일에 흡수되었다. 이 때 64번에 있던 버스 12대는 64-1(2대), 212(6대, 이 때 CNG차량으로 대차되었다.), 212-1번(4대)으로 이동하였다.출처

48. 64-1 (중부운수)


[image]
[image]
좌석버스로 운행하던 시절의 모습.출처[16]
형간전환 직후의 모습.[17]출처
운행구간 : 신월7동 - 목동8~14단지 - 오목교 - 문래동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노량진 - 흑석동 - 구/신반포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나산백화점 - 차관아파트 - 삼성역 - 종합운동장 - 잠실 - 성내역(현 잠실나루역) - 몽촌토성 - 천호역 - 강동역 - 둔촌동
'''강서구강동구를 잇는 개편 전 서울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가장 최장거리를 자랑했던 근성 노선[18].''' 11번이 서울시내를 종단했다면 이 노선은 그냥 횡단해버렸다. 게다가 서울시는 당연히 남북간 거리보다 동서간 거리가 훨씬 길다. 관련 게시물
본래 212번의 좌석형 형태의 노선이었지만 2004년 개편 직전인 2월 27일에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2004년 대개편 때 폐선되었지만, 이 노선의 형제노선인 212번이 비슷한 번호인 '''640번'''으로 개편된 것을 보면 어찌보면 이 노선이 계승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49. 64-2 (중부운수) (★)


운행구간 : 신월7동 - 목동8~14단지 - 오목교 - 문래동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노량진 - 흑석동 - 구/신반포 - 고속터미널 - 법조단지 - 교대역
본래 212-1번의 좌석형 형태의 노선으로 개통하였으나 목동중심상가를 경유했던점이 다르다. 이후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50. 65 (한서교통)


1980년의 모습
[image]
출처
운행구간 : 거여동 - 개롱역 - 문정로데오거리 - 가락시장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종합운동장 - 삼성역 - 영동대교 - 건대입구역 - 화양사거리
본래 왕십리를 거쳐 청량리, 경희대 구간 루프 회차를 하였으나 이후 화양사거리로 단축되었고 개편 때 노선 변경 없이 서울 버스 3217이 되었고 강북 구간은 서울 버스 2222가 대체한다.

51. 65 (좌석) (신촌운수) (★)


운행구간 : 서울대 - 신림사거리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역 - 대방지하차도 - 여의도 - 마포 - 아현동 → 남대문 → 서울역 → 아현동 → 이하 역순
1979년 10월 1일 서울시 좌석버스 개설에 의해 신설된 노선, 초창기에는 도시형 92번과 같이 창신동에서 회차하던 노선으로 1980년대 중반에 폐지. 노선 대부분은 1986년에 종로 대신 서울대 방면으로 변경된 72-1번이 대체.

52. 65 (좌석) (태진운수) (★)


1991년 1월 21일 좌석버스 붐에 힘입어 신설된 노선으로, 62-1번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으나 금방 폐지되었다. 이후 폐지된 잉여차량으로 좌석형 862번이 신설되었다.

53. 66 (동서교통 → 대성운수 → 남성교통)


[image]
[image]
[image]
위 차량은 2012년에 대차되었다.출처
1990년 당시 66번(1분 5초부터 참고)[19]
운행구간 : 성남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구 성남시청 - 태평역 - 경원대 - 복정동 - 세곡동 - 헌인릉 - 내곡동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본래 동대문운동장까지 올라가던 노선이었으나 동대문운동장 - 신사역 구간이 단축되어 있던 상태였다. 이대로 개편 당시 4421번으로 번호만 바뀌어 유지되었으나 나중에 36-1번을 계승한 4419번으로 차량이 이동하며 폐선되었다.

54. 66 (좌석) (화곡교통) (★)


운행구간 : 발산동 - 화곡동 - 까치산역 - 목동사거리 - 등촌동 - 염창동 - 성산대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연세대 - 사직동 - 광화문 - 시청 - 서소문 - 신촌
1990년대 후반에 폐선.

55. 66-1 (동서교통 → 대성운수 → 남성교통) (★)


[image]
해당 면허는 현재 320번에서 2011년식 저상버스로 운행 중.출처
예전엔 구미동과 양재역을 오가는 노선이었다.
이후 대왕판교로에서 분당내곡 고속화도로 경유 및 용인 신갈 보라리, 서울 논현역으로 연장되었으나 일반 시내버스 차량이 고속화도로를 달리는 게 문제가 되어 2000년 12월 6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으며 번호도 6006번으로 변경되었다. 현 9404번.

56. 67 (한서교통 → 동부운수) (★)


[image]
[image]
[20]
운행구간 : 장지동 - 문정시영아파트 - 오금동 - 방이동 - 올림픽공원 - 둔촌동 - 길동4거리 - 천호동 - 동서울터미널, 강변역 - 구의역 - 건대입구역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상왕십리 - 신당동 - 충무로역 - 명동 - 남대문시장
스카라극장까지 단축된 후 잘 운행하다가 5호선 개통 후 본격적으로 노선이 단축의 길을 걷게 된다. 왕십리, 화양리, 강변역 순. 결국 1997년에 폐선되었다.

57. 67 (좌석) (세풍운수 → 동남교통) (★)


[image]
운행구간 : 온수역 - 오류IC - 금옥여중고 - 목동아파트 - 오목교 - 영등포 - 여의도 - 마포 - 광화문
1979년 10월 1일 서울시 좌석버스 개설에 의해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세풍운수에서 123번의 좌석형 노선으로 만든 노선이었지만, 목동아파트 개발로 목동경유로 노선을 변경하고, 이후 동남교통에 매각. 1995년 수도권 전철 5호선의 개통으로 폐지. 이후 남은 잉여차량을 신성교통 좌석 907번 증차분으로 매각하였다.

58. 68 (한서교통)


[image]

[image]
출처
운행구간 : 거여동 - 문정동 - 가락시장 - 일신여상 - 배명고 - 잠실1~3단지 - 종합운동장 - 휘문고 - 강남세브란스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고속터미널
원래는 노량진, 대방역을 지나 여의도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지만 국립현충원, 고속터미널순으로 단축되어 개편 전까지 운행하다가 공중분해. 다만 문정동에서 강남세브란스까지는 3422번이 이어받아 운행 중이다.
단축된 여의도 구간은 동 회사 좌석 768번이 물려받았으나 이 노선 역시 1996년에 폐선되어 사실상 노량진 ~ 여의도 구간 버스노선이 단절되었다가 2004년 7월 간선 360번이 8년만에 이 노선을 물려받게 되었다.

59. 68 (좌석) (김포교통)


[image]
출처
운행구간 : 방화동 - 김포공항 - 발산동 - 화곡동 - 염창동 - 마포구청 - 연세대 - 이대역 - 아현동 → 시청 → 미도파 → 서울역 → 아현동
1979년 10월 1일 서울시 좌석버스 도입 때 신설되었다.
2000년 10월 16일에 봉원동 유턴 구간이 사라지고 '신촌역입구 - 신촌로터리 - 연대앞'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2001년 9월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는 심야전용버스로 운행했다. 2004년 대개편 때 폐선되었다. 현재는 서울 버스 601이 일부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

60. 69 (한서교통)


[image]
사진 속 차량은 2009년 10월에 현대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거여동 - 개롱역 - 가락시장 - 송파역 - 배명고교 - 삼전동 - 잠실종합운동장 - 삼성역 - 영동대교 - 성동세무서 - 한양대 - 마장동 - 제기동(경동시장)
1970년대 후반에는 잠실 - 삼성역 - 영동대교 - 한양대 - 마장동 - 제기동 - 신설동 - 보문동 - 성북구청 - 한성대입구역 - 혜화동 간을 운행하였다.[21] 1980년대 잠실지역이 개발되면서 종점을 점진적으로 남쪽으로 이동, 송파(당시 표기), 거여동으로 여러 번 이동하였다. 이로 인해 노선길이가 길어져 배차간격이 늘어지자 노선의 도심구간을 단축하여 1990년대 말 제기동으로 단축했고 개편 후 다시 왕십리역으로 단축되어 3218번이 되었으나 그마저 다시 화양동(건국대), 삼성역으로 연이어 단축되어 서울 버스 3418로 이어져오다가, 또다시 종합운동장-삼성역 구간이 단축돠어 서울 버스 3322번이 되었다.[22]

61. 69-1 (한서교통)


운행구간 : 거여동 - 개롱역 - 경찰병원 - 송파역 - 배명고교 - 삼전동 - 종합운동장
대개편 때 69번과 통합되어 3218번이 되었다.
그 후 노선이 종합운동장역까지 단축되어 현재는 서울 버스 3322가 거의 이 버스의 노선을 물려받은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62. 70 (대일교통 → 삼진교통 → 남부운수 → 범일운수)


운행구간 : 소하동 - 기아자동차 - 석수역 - 20m도로 - 구로공단역 - 공군회관 - 63빌딩 - 마포역 - 마포경찰서 - 아현동 - 이대역 → 신촌로터리 → 동교동 → 연세대 → 신촌기차역 → 이대역 → 이후 역순
서울 버스 5627, 서울 버스 7611 참고.
남부운수 출신 노선이었고, 기점은 석수역(현 서울교통네트웍 영업소)였다가 범일운수가 인수 후에 소하동으로 연장된 노선이다. 개편 당시 소하동 - 여의도 구간은 구 124번의 여의도 - 남대문시장 구간과 합쳐져 서울 버스 505로, 여의도 - 신촌 구간은 서울 버스 7611로 분할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 505번의 소하동 구간이 완전히 갈아 엎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바뀌었고, 그나마도 2017년 4월 1일, 노온사동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에서 505번과 5627번이 노선을 상호 교환하면서 여의도 이남에서는 5627번에서 그나마 옛 70번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63. 70 (동성교통) (★)


[image]
현재 두 번 대차되어 302번에서 운행중.
운행구간 : 성남(상대원) - 남한산성입구 - 단대오거리 - 종합시장 - 경원대역 - 복정역 - 장지역 - 가락시장 - 잠실역 - 천호역(광성교회) - 광나루역 - 대공원후문 - 능동사거리 - 중곡역 - 용마산역 - 면목동 - 상봉터미널
먼 옛날에는 시외버스로 운행했고 이후 경기교통에서 운행하다 2002년 경기교통 부도 후 동성교통에서 잠깐 운행하다 대원고속으로 넘겼고, 이후 성남시 업체인 대원버스 설립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내용은 성남 버스 70 참조.

64. 70 (좌석) (현대교통) (★)


운행구간 : 홍은동 - 명지대 - 남가좌동 - 모래내 - 연세대 - 신촌기차역/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아현동 - 서대문 - 광화문 - 종로 - 동대문 - 청계천 - 황학동 - 상왕십리 - 왕십리 - 한양대 - 화양리 - 어린이대공원 - 구의시장 - 천호동 - 길동4거리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동 - 오금동 - 문정동
1977년 신설, 1997년 5월 1일 폐지. 이후 폐지로 인한 남은 잉여면허 일부를 선진운수와 진화운수에 매각하였다. 또 폐지로 인한 남은 잉여차량을 제일여객에 매각하여 좌석 154번에 투입하였다.

65. 71 (삼선버스 → 대진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정릉 (청수장) - 숭덕초등학교 - 미아리고개 - 돈암 - 삼선교 - 혜화동 - 을지로 - 서소문 - 신촌
이후 710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1981년 7월 대진운수에 매각, 1983년 개포동 주공아파트 조성으로 인한 대중교통 확충 대책에의거 개포동으로 변경, 현재 간선버스 143번으로 운행중.

66. 71 (좌석) (범양여객 → 신장운수) (★)


운행구간 : 수색 ↔ 흥인지문
[image]
사진 속의 차량(서울5사2575)은 신장운수로의 노선 매각 후에도 범양여객에 잔류하였고, 이후 네 번 대차되어 현재 서울 버스 9701에서 운행 중.
1988년 신장운수에 매각 후, 얼마 못 가 폐선됨.

67. 72 (삼성여객) (★)


운행구간 : 서초동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이태원 - 숙대입구역 - 갈월동
서초동에서 출발, 서울역을 거쳐 새문안로를 이용하여 시청방향으로 회차하는 동사의 구 78번[23]을 계승하는 형태의 노선이었다. 정확한 노선개설시기는 확인되지 않으나 1982년 9월 22일자 기사를 통해 '서초동 - 광화문' 간 72번의 존재가 확인된다.[24]
1985년 11월 1일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과의 연계를 위하여 서초동에서 출발하여 독립문과 사직터널을 거쳐 서울역 방향으로 회차하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기도 하지만(관련 기사) 1989년 5월 10일 '서초동 - 갈월동'으로 노선이 단축되었고(관련 기사) 이후 경영난을 이유로 무단으로 운행중단을 하다가 1991년 5월 1일에 공식 폐선되었다. 관련 기사[25]

68. 72 (좌석) (선진운수) (★)


[image]
1980년대 후반 모습[26]
[image]
1990년대 중반 모습[27]
운행구간 : 구산동 - 신사동 - 응암동 - 녹번역 - 홍제역 - 독립문 → 광화문 → 종각 → 미도파 → 서울역 → 경찰청 → 서대문 → 이하 역순
152의 좌석 형태로, 노선은 152번과 완벽하게 동일하였다. 96년까지는 회사에서도 꽤 기대를 가지고 있던 노선인 모양인지 최신식 차량을 투입하는 등 투자를 진행하였으나, 98~99년경부터 해당 차량이 914번 등 일산소속 노선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구형 차량 집중화 및 배차간격의 악화로 하향세를 타기 시작하면서 2001년 3월 8일부로 152번에 흡수통합되었다.

69. 72-1 (선진운수)


[image]
좌석버스 시절의 모습.[28]
[image] ||
도시형 형간전환 후의 운행 모습. 출처
'''現 서울 버스 753'''
운행구간 :
[좌석 시절] 갈현동-연신내-신사동-증산동-모래내-신촌로터리-서강대-'''공덕오거리/마포대교'''-여의도-공군회관-신대방삼거리-신림역-서울대본부
[도시형 전환 및 6호선 개통 후] 갈현동-연신내-신사동-증산동-모래내-신촌로터리-'''광흥창역/서강대교'''-여의도-공군회관-신대방삼거리-신림역-서울대
1983년 9월 17일 수색에서 종로4가 구간을 운행하던 71번 좌석버스에서 분리하여 구산동-예일여고-역촌동-서대문-종로4가 노선으로 운행하다가, 1984년 12월 17일 2호선 개통으로 도심 운행 노선의 변두리 지역 분산 목적으로써 신촌/여의도를 경유하여 서울대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대폭 변경되어 갈현동-서울대 구간을 운행 개시하였다.
좌석버스 운행 시절을 포함하여, 서울 버스 571이 신설되기 전까지 연서로 연신내 이남 구간 및 증산로 일부 구간[29]을 독점으로 운행하였다. 물론 편도를 포함한 일부 구간에 한하여 잠깐 겹치는 노선[30]들이 있었지만, 서울 버스 571과 같이 대다수의 구간이 겹치는 노선은 2004년 버스개편 이전까지 전무하였다. 또한, 96년의 72 및 72-2번 최신형 대우자동차 BS106 하이파워 신차 투입 시에도 이 노선은 전 차량 BS105로 그대로 운행[31]되었고 그나마 중간에 잠시동안 신촌운수 출신 중고 BS106 차량[32]이 운행되었다.
2000년 5월에 도시형으로 형간전환함과 동시에 모든 차량을 최신형 신차 로얄시티로 교체하였고, 2001년 1월 4일에는 6호선 개통에 맞추어 공덕오거리(마포대교) 경유를 광흥창역(서강대교) 경유로 변경[33]하였다. 서울대 안까지 직접 들어가던 몇 안되는 버스 중 하나이기도 하였으나, 서울 버스 753으로 개편된 직후에는 신대방삼거리-서울대 구간이 신대방삼거리-상도동-숭실대-이수역-정금마을로 바뀌었다. 그러나, 배차간격 준수의 어려움 및 사당로 지역 주민의 민원에 의하여 얼마 지나지 않아 숭실대로 단축하였고 결국 개편 전의 72-1과 145를 모두 아우른 형태로 두 노선을 계승하는 형태가 되었다.
특이하게, 7차 교육 과정 시절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34]에서 노선 변경 안내문이 실렸다. 우연히 사진에 찍혔거나 그런 것이 아니라, 안내문 자체가 한 페이지에 고스란히 적혀 있었다. 물론 버스 번호나 사명 등은 복자#s-2로 처리되었다.

70. 72-2 (좌석) (선진운수)


[image]
위 차량(서울74사3096)은 2번 대차되어, 현재에도 승계 노선인 서울 버스 9701번에서 그대로 운행 중이다.
'''現 서울 버스 9701'''
운행구간 :
[1기 : ~1995] 갈현동-구산사거리-예일여고-역촌오거리-서부병원-(72번과 동일)
[2기 : 1995년 첫 변경 당시] 일산 대화동-대화ㆍ주엽역-호수공원-강촌마을-백석고교-백석역-고양경찰서-화정역-원당-서오릉-구산동-서대문세무서-녹번동-홍제역-독립문→광화문→종각→미도파→서울역→(역순)
72번 좌석의 갈현동 출발 및 예일여고 경유 버전이었으나, 일산신도시 조성에 따라 1995년에 일산/화정 경유로 노선을 대대적으로 리뉴얼하였다.
2002년 4월 1일에 서울시 심야전용버스 추가정책이 도입되면서 심야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단, 기존 심야좌석버스가 사용하는 900번대의 번호는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형태였다.
2002년 12월 6일에 킨텍스 건설이 시작되면서 일산구 가좌동으로 영업소를 이전하였다.
158-4번[35]보다 약간 더 먼저 신설되어 운행되었고, 두 노선은 경로가 매우 유사하였다. 차이가 있다면 158-4번이 후곡마을, 백마역, 풍동을 경유하였고, 72-2번은 중앙로와 호수공원, 화정을 경유하였다.
일산동구 구간 중 수요가 가장 저조한 구간이었던 일산호수공원(호수로) 구간을 정발산역(중앙로) 구간으로 변경하려고 선진운수에서 계속 노력하였지만, 고양시의 거부로 약 1년 이상의 '''사생결단''' 식 투쟁 끝에 2004년 3월 중순에 호수공원 구간을 중앙로 경유로 변경하여 노선 직선화를 성사시켰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특별한 변경 없이 서울 버스 9701로 그대로 승계되었다.


71. 73 (신진운수 →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image]
[image]
1980년대 초~중반 모습
2002~2003년경 모습①[36]출처
[image]
[image]
2002~2003년경 모습②[37]출처
2002~2003년경 모습③[38]
'''現 서울 버스 7017'''
운행구간 : 수색-은평터널-상신중학교-응암오거리-명지대-서대문구청-연세대-아현역-충정로역-염천교→남대문→서울시청→롯데백화점→(역순)
신진운수에서 운행하던 때에는 옥수동을 기점으로 하여 명지대까지 운행하였으나, 범양여객으로 양도된 후에는 명지대-응암오거리-신사동 구간 연장 및 신사동 숭실고 부근으로 기점이 변경되었다.
1997년 12월까지는 을지로-청구역-금남시장을 거쳐 옥수동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었으나, 롯데백화점까지 단축되었다. 2000년 경에는 은평터널 개통에 따라 수색(은평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천연가스버스 1기 도입노선 중에 하나였으며, 선진운수가 운행했을 당시에는 차량 대수가 적어 수요에 비해 배차간격이 매우 좋지 않은 노선이었다.
동사 146번과 함께, 2000년의 서울시내버스 천연가스버스 도입 1기 노선이기도 하다.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차량이었으며 차량번호는 '서울70사701X' 이었으나, 이후 2002년의 현대자동차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 대량 출고 및 투입[39]에 따라 전량 152번으로 이동하였다.
2004년 대개편 때 운행업체만 SM버스(현. 보광교통)로 변경되어 서울 버스 7017로 그대로 승계되었고, 선진운수 운행 시절에 비해 차량 대수도 월등히 늘어 현재는 매우 준수한 배차간격으로 운행 중이다.

72. 73 (좌석) (신촌교통) (★)


1977년 신설, 이후 773번 좌석버스로 노선 변경

73. 73-1 (신진운수 → 범양여객 → 삼성여객) (★)


[image]
운행노선 : 염곡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 - 보광동 - 한남동 - 옥수동 - 응봉동 - 왕십리 - 한양대 - 성동구청 - 동서울터미널, 강변역
1983년 73번에서 분리 신설. 폐선 전 보광동 - 한남동 - 옥수동 - 응봉동 - 왕십리 - 제기동 - 신설동 노선으로 변경. 1996년 81번과 통합되면서 폐선되었다.

74. 74 (신진운수 → 한성교통 → 우신교통 → SM버스)


[image]
분리 이전 이전 신진운수에서 운행하던 모습.
[image]
우신교통에서 운행하던 모습.
[image]
분리 이후의 모습. 출처(사진 속 차량은 개편과 함께 서울교통네트웍으로 넘어갔고, 면허는 2009년식 저상버스로 다니고 있다.)
운행구간 : 새절역 - 명지전문대 - 명지대 - 홍남교 - 문화체육관(새절역방향)/서대문구청(명동방향) - 홍제역 - 경찰청 - 서울역 - 시청 - 동아일보 - 명동롯데 - 남대문시장(청계천 복원공사 당시 회차구간)
원래는 개포동 - 언주로 - 압구정역 - 약수역 - 을지로를 거쳐 남가좌동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남가좌동 - 롯데백화점 구간이 74번, 개포동 - 압구정역 구간이 74-1번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74-1번은 폐선되었고 74번은 우신교통이 인수하여 개편 직전까지 이어졌다. 개편 후 은평차고지로 연장, 서울 버스 7021이 되었다.

75. 74-1 (신진운수) (★)


운행구간 : 수서동 - 일원동 - 개포주공 3,4,5단지 - 도곡역 - 언주로 - 압구정역 - 동호대교 - 약수역 - 을지로 - 미도파 - 남대문시장 → 염천교 입구 → 서울역 → 남대문시장
장거리노선 조정 대책에 의거 서울역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운행하던 노선으로 압구정동으로 단축운행하다 1997년 12월 폐선

76. 75 (신진운수 → 신성교통) (★)


[image]
[image]
운행구간 : 덕이동 - 일산시장 - 신일중 - 일산정보고 - 발산중 - 호수초교 - 백석고 - 백마역 - 고양시청 - 삼송동 - 동산동 - 구파발 - 불광동 - 독립문 → 광화문 → 종각역 → 종로2가 → 을지로입구역 → 서소문 → 경찰청 → 독립문 → 이하 역순
신진운수 시절에는 구파발 에서 옥수동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신성교통으로 넘어온 후 원당까지 연장되었으며, 이후 종로2가로 단축되었다가 일산신도시까지 연장하면서 좌석으로 전환되었다. 1997년에 폐선.

77. 76 (대일교통 → 삼진교통 → 남부운수 → 범일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시흥동 - 구로공단역 - 병무청 - 대방동/신길동 - 대신시장 - 노량진 - 용산역 - 서울역 - 퇴계로 - 동대문운동장 - 신당동 - 신금호 - 옥수동
남부운수시절 노선 독산동-신길동-노량진-서울역-옥수동
남부운수 시절에는 독산동 차고지(현 서울 버스 금천01의 기점)에서 출발했으나 범일운수로 넘어오면서 2001년 9월 ((107번 노선을 흡수)시흥5동 본사로 연장해서 노선을 분리운행했었다. 개편 이후 대체 노선은 서울 버스 500(적색)이었다. 개편 얼마 후 500번 차량 과다와 독산로/대림동/신길동 민원으로(이 때만 해도 500번이 72대였다.) 서울 버스 507이 분리신설 되었고 이 노선이 청색노선의 단축판이다.
주간선 노선은 기존 운행 노선과 유사하여도 모두 신설노선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500번이 시흥대로-여의대방로 직통에서 남부순환로-장승배기 경유로 변경되고, '''그것도 모자라서 회차지를 동대문에서 을지로입구로 단축되고''' 507번은 신길동만 경유 했는데 대림동까지 경유로 변경되었다.

78. 76 (좌석) (남부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79. 76-1 (남부운수) (★)


운행구간 : 독산동 (← 진도아파트/동우시장 →) 독산사거리 - 독산고개 - 구로공단역 - 대림시장 - 태양의집 - 사러가쇼핑 - 우신초교 - 대방역 - 노량진 - 본동가칠목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남영역 - 서울역 - 퇴계로 → 퇴계로5가 → 청계5가 → 동대문운동장 → 광희동 → 퇴계로5가 → 이하 역순

80. 77 (서울승합 → 성동운수 → 동진상운 → 서울승합 → 대흥교통)


[image]
[image]
사진 속 차량은 2003년식 차량으로, 2009년 12월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1기) : 사근동 - 마장동 - 한양대 - 왕십리역 - 중앙시장 - 퇴계로 - 서부역 - 청파동 - 용산경찰서
운행구간(2기) : 사근동 - 마장동 - 한양대 - 왕십리역 - 중앙시장 - 퇴계로 - 남대문시장 - 충정로역 - 마포로 - 마포대교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증권거래소 → 쌍둥이빌딩 → 마포대교 → 이하 역순
1기 노선의 경우, 서울역으로 단축된 후 1989년에 77-1번(1기)에 흡수된다. 다만, 77-1번이 77번으로 번호가 변경된지라 결과적으로는 2기 노선으로 연장된 셈.
대개편 이후 만리동 경유로 변경해 263번으로 번호만 바뀌어 잘 다니다가, 2014년 3월 차고지 문제로 인해 서울 버스 463으로 변경.

81. 77 (좌석) (대흥교통) (★)


1991년에 77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으로, 77번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1997년에 폐선.

82. 77-1 (대흥교통)


[image]
1기 노선
[image]
2기 노선
운행구간(1기) : 마장동 - 한양대 - 왕십리역 - 중앙시장 - 퇴계로 - 남대문시장 - 충정로역 - 마포로 - 마포대교 - 순복음교회 → 국회 → 증권거래소 → 쌍둥이빌딩 → 마포대교 → 이하 역순
운행구간(2기) : 마장역 - 한대부고 - 한양대 - 왕십리역 - 무학여자고 - 응봉동 - 옥수동 - 동호대교 - 압구정역 - 갤러리아 - 학동사거리
본래 1기 노선대로 운행하였으나, 77번(1기)을 흡수해 77번으로 변경한 후, 한동안 결번이 된다.
2기 노선은 성수대교 재개통으로 응봉동, 옥수동 지역의 압구정동 방면 이동 편의를 위해 1997년 7월에 신설된 노선으로, 개편 초기에는 신사전화국까지 운행하였다. 이후 관세청 경유로 변경된 다음, 476번 폐선대책으로 종점이 사근동으로 바뀌었다가 대개편을 맞아 삼성역까지 연장되면서 2411번이 되었다. 2005년에 다시 학동사거리로 단축되었다가 2014년 3월 차고지 문제로 인해 서울 버스 4211으로 변경되었다. 당시에는 하이파워를 굴릴 정도였으나 2001~2002년에 BM090, 2003년에는 글로벌900 신차가 나오면서 차급이 중형으로 강등되는 사례를 보여줬다. 위 사진 속 차량은 2003년에 글로벌900으로 대차되었다가 CNG의무화 정책에 따라 2010년에 그린시티로 조기대차되었다.
개편 이후에도 계속 중형차량만 굴리다가 2009년에 드디어 대형차량이 한 대 투입됐지만, 이후 2010년에 다시 그린시티를 투입했다....... 2020년 현재 개선형 저상으로 서서히 대차가 진행중이다.

83. 77-2 (대흥교통)


2003년에 시내버스로 신설되었고, 개편 후 서울 버스 2220이 되었다.
개편 후에는 77-1번 출신 BM090 좌석형을 굴렸다. 이 차들은 2009년에 대차. 그리고 2018년에 대형차량으로 다시 대차되었다. 이후 2014년 3월 차고지 문제로 인해 2411번과 통합하여 서울 버스 4211로 변경 후 염곡동까지 연장.

84. 78 (서울여객 → 삼영교통) (★)


[image]
1기 노선은 아래 78-1번, 78-2번 항목 참조.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 등장하기도 하였다.
2기 노선은 1993년 수서지구가 개발되면서 신설된 노선으로, '수서지구 - 은마아파트 - 휘문고교 - 삼성역' 구간을 운행하였다. 이후 78-1번의 바이패스격 노선으로서 옛골~양재역 구간(동산로~논현로를 경유하지 않는 강남대로 직행)으로 재개통되기도 하는 등 이리저리 노선이 변경되다가 수요가 부족해 소리없이 폐선되었다.

85. 78-1 (서울여객 → 삼영교통 → 도선여객)


[image]
서울여객 시절.
[image]
도선여객 시절.
운행구간 : 옛골 - 신원동 - 원지동(현 청계산입구역) - 코트라 - 언남중학교 - 삼호물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압구정역 - 선정릉 - 도곡동 - 개포동 - 대청동 - 수서역 - 가락시장
최초에는 서울역과 말죽거리를 운행하는 78번이었다. 1973년 3월 20일 서울시에서 동일번호로 복수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분리할 때 약수동 경유 노선을 97번으로 분리하였지만, 이후 말죽거리 대신 서초동으로 운행하는 같은 번호의 노선을 삼성여객이 또 만든다. [40] 결국 서울여객 78번은 78-1번이, 삼성여객 78번은 78-2번이 되고 78번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2004년 개편 당시 4312번이 되면서 기점을 송파공영차고지로 연장해 옛골에서 회차하는 형태로 운행하게 되었고, 중간 경유지도 현 양재시민의숲역 방향으로 직진하도록 변경되면서 언남중학교~양재전화국 사거리 구간이 단축되었다. 이후 옛골에서 양재역 구간을 통째로 단축했다가 나중에는 기점을 개포동, 회차지를 수서역으로 단축하면서 4412번이 되었다.

86. 78-2 (삼성여객) (★)


[image]
78-2로 번호가 변경되기 전의 사진이다. 해당 면허는 421번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17년식으로 운행중.
[image]
변경 이후의 모습.
[image]
2001년 폐선직전 마지막 모습
운행구간 : 양재역 - 강남역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서빙고 - 보광동 - 남산3호터널 - 종로2~4가
1970년대 중후반에 신설된 삼성여객 78번이 그 모태. 서울여객의 78번 노선과 번호도 같고 구간도 유사하였으나 말죽거리(양재동) 대신 서초동으로 운행한 노선이다. 1979년 5월 1일 서울역 - 서대문 - 광화문(현 새문안길) - 시청앞 - 서울역 구간을 추가하여 서초동 - 시청앞으로 운행노선이 늘어나게 되고, 그 후 독립문까지 연장된 형태의 노선인 동사의 72번을 신설하면서 실질적으로 이 노선의 원형을 계승하게 되며, 삼성여객 78번 노선은 개포시영아파트 - 말죽거리 - 제3한강교 - 이태원 - 삼각지 - 서울역 - 퇴계로2가로 운행하게 된다. 훗날 서울여객의 78번은 78-1번으로, 삼성여객의 78번은 78-2번으로 바뀌게 된다.
개포주공3,4단지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이태원 - 전쟁기념관 - 숙대입구역 - 서울역 - 퇴계로 - 신당동 - 약수역 - 한남동 - 보광동 - 고속터미널 - 법조단지 - 강남역 - 양재역 - 개포주공3,4단지 순환노선으로 운행하였으나 1990년대에 개포주공3,4단지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보광동 - 약수역 - 신당동 노선을 78-2번으로, 신사역 - 한남동 - 전쟁기념관 - 숙대입구역 - 남대문시장 노선을 78-3번으로 분리하였다.
이후 강남역 - 약수역 간을 단축하여 운행하다가, 401번과 통합하면서 양재역 - 종로4가로 변경, 이후 양재역-종로2가로 단축된 다음 2001년에 폐선되었다.

87. 78-3 (삼성여객)


[image]
[41]
[image]
출처
운행구간 : 개포주공3,4단지 - 개포도서관 - 개포주공1단지 - 숙명여고 - 매봉역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단국대앞 - 이태원 - 전쟁기념관 - 갈월동 - 서울역 → 신세계 → 회현역 → 서울역 → 이하 역순
염곡동에서 공차회송으로 개포3,4단지까지 와서 운행을 시작하던 노선으로 개포동 - 강남대로 - 이태원 - 신세계 간 구간수요는 나름 있었다고 하지만 도곡역에서 한남동 구간이 83-1과 중복으로 밀리며 폐선을 시도 했으나 무산되어 개편 후 폐선. 양재역에서 이태원역 구간은 현재 400번이 대체 중이다. 78-3 시절과는 달리 이 구간에서 수요가 많아졌다.

88. 79 (남산운수 → 신진운수) (★)


[image]
운행구간 : 대치동 - 도곡동 - 선릉역 - 논현동 - 신사역 - 남산1호터널 - 중앙극장 - 무교동
1980년대까지는 무교동에서 미도파, 서울역, 남산도서관, 한남동, 이태원을 거쳐 보광동까지 운행하였으며, 이 때는 선릉역 경유와 삼성동 경유로 분리 운행하였다. 이후 대치동 - 무교동 구간만 79번이 운행하게 되었으며, 나머지 무교동 - 보광동 구간은 이 때 신설된 79-1번이 담당하게 된다.
남산운수가 폐업하면서 신진운수에 인수되었고, 이후 1992년에 폐선되었다.

89. 79-1 (남산운수 → 삼성여객)


[image]
[42]출처
운행구간 : 보광동 - 정수기능대학 - 한강진역 - 하얏트호텔 - 남산도서관 - 남대문 - 종로1가 - 남대문시장 - 서울역
위에 있는 79번이 무교동으로 단축되면서 생겨난 노선이었으며, 남산운수가 부도하면서 삼성여객이 인수하였다.
대개편 때 001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차고지를 염곡동으로 이전하면서 0015번과 통합했고 400, 405번이 되었다.

90. 80 (삼성여객) (★)


[image]
운행구간 : 서초동 - 고속터미널 - 반포대교 - 보광동 - 약수동 - 스카라 - 을지로
수도권 전철 3호선의 개통 여파로 폐선.

91. 80 (좌석) (유성운수 → 서울승합 → 삼선버스) (★)


[image]
운행구간 : 고덕동 - 배재고교 - 명일동 - 길동 - 천호동 - 어린이대공원후문 - 군자교 - 장한평 - 답십리 - 청계천 - 무교동
수도권 전철 5호선의 개통으로 1996년에 폐선.

92. 81 (삼성여객)


[image]
도색 전의 모습. (2003년) 출처
[image]
개편 직전 지선으로 도색후의 모습. (2004년, 사진중 오른쪽)
3161호는 두 번 대차되어 400번에서 화이버드로 다니고 있다.
운행구간 : 보광동 - 삼각지역 - 퇴계로 - 동대문 - 신설동역 - 마장축산물시장 - 금남시장 - 옥수동 - 서빙고역
1988년 당시 81번(27초~35초)
개편 당시 0013으로 번호만 바뀌었으나 이후 0211과 통합하여 421번이 되었다. 경로는 동대문 미경유로 바뀌었고, 현재는 염곡동으로 연장된 상태. 舊 81기준으로 하면 차고지 구간 연장과 중간 경유지 변경, 그리고 옥수동 이후 구간이 단축된 셈.

93. 81 (좌석) (제일여객) (★)


[image]
출처
운행구간 : 기자촌 - 불광동 - 독립문 - 종로 - 동대문
1986년 8월 폐지. 이후 금성교통 765번 증차분으로 일부 투입.

94. 81-1 (삼성여객)


[image]
현재는 400번에서 화이버드로 운행 중출처
개편 때는 0211번으로 번호만 바뀌었으나, 이후 0013번과 통합 및 노선이 단축되었고, 차고지 문제로 2009년 염곡동 차고지까지 연장되어 서울 버스 421번으로 통합됐다.

95. 82 (중앙교통) (★)


운행구간 : 대치동-영동단지-한남동-남산-청계천-왕십리-금호동
2000년에 아래 항목에있는 83번버스와 통폐합되었다.

96. 83 (남산운수 → 신진운수, 삼성여객 → 진화운수)


[image]
[image]
[image]
[43]
운행구간 : 수서역 - 일원동 - 개포3.4단지 - 대치역 - AID아파트 - 강남구청역 - 학동사거리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소월길 - 시청 - 광화문 - 서울역
개편 이후 신사역 - 광화문 구간이 단축되어 4411번이 되었고 그마저도 폐선의 길을 걸어야만 했다. 동생격인 83-1이 지금까지 살아남아 있는 걸 보면 그냥 안습
차량이 뜸한 새벽시간대에는 강남구청역에서 서울역까지 '''15분'''만에 주파할 정도로 엄청나게 밟아댔던 노선이다. 심지어 이게 개편 직전인 2004년이었으니.....
김득구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 "챔피언"에서 이 버스를 재현한 것이 나오는데, 버스 회사 이름에서 고증 오류가 있었다. 80년대에는 남산운수가 운행하였는데 진화운수로 집어넣은 것. 사실 이정도 오류는 버덕이 아닌 한 찾기가 어렵긴 하다.

97. 83-1 (남산운수 → 신진운수 → 진화운수)


[image]
남산운수 시절. 출처
신진운수 시절.
[image]
진화운수로 이관된 이후. 2000년 10월, 그러니까 신진운수로부터 이 노선을 인수한 이후 사진이다. 사진 속 차량은 신진운수가 부도나고 차량과 면허가 가압류당해 노선만 인수하면서 대량으로 출고한 최후기형 현대 에어로시티 차량으로 2008년 말에 대차되었다. 뒤에 있는 9524호는 2019년에 개선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으로 한번 더 대차되어 지금도 402번에서 운행중이다.
[image]
두 번 대차되어 3417번에서 운행 중.출처
운행구간 : 수서역 - 일원동 - 개포동 - 도곡역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소월길 - 시청 - 광화문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402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장지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402 문서를 참조.

98. 84 (동아운수)


1982년의 모습
[image]
[image]
[image]
[image]
출처
2001년의 모습.[44]
운행구간 : (4.19묘지입구삼거리 -) 화계사 - 미아역 - 삼선교 - 혜화로터리 - 을지로 - 서울역 - 삼각지 - 용산 - 흑석동 - 중앙대
725번과 더불어 개편 전 동아운수를 대표하는 노선이었으며 한때는 84번이 동아운수의 유일한 노선이던 시절도 있었다.
개편 후 서울 버스 151이 되었고, '4.19묘지입구삼거리 - 4.19묘지입구사거리 - 우이공원(도선사입구)'으로 연장되었다.

99. 84 (좌석) (동아운수) (★)


운행구간 : 우이동 - 쌍문동 아파트단지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미아삼거리 - 삼선교 - 혜화로터리 - 을지로 - 서울역 - 용산 - 중앙대
1990년 10월 신설, 2001년 도시형으로 형간전환 후 84-1번으로 변경.

100. 84-1 (동아운수) (★)


운행구간 : 우이동 - 쌍문동 아파트단지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역 -미아삼거리 - 삼선교 - 혜화로터리 - 을지로 - 서울역 - 용산 - 중앙대
원래 84번 좌석노선이었으며, 우이동까지 갔었던 것과 쌍문동아파트단지 경유 외에는 도시형 84번과 동일하였다. 이후 2001년 즈음에 서울역으로 단축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도시형으로 형간전환되면서 번호가 변경되었다.

101. 84-2(동아운수)


위의 84-1번이 수유사거리 - 서울역 구간을 단축하고 화계사입구 본사까지 운행하는 것으로 바뀐 노선. [당시] 이후 2002년에 지역순환버스 400번으로 바뀌고 차량도 중형 차량으로 바뀌며, 개편 때까지 이어졌다.

102. 85 (풍양운수)


[image]
한강대교 버스 추락사고 사진이다..
[image]
[image]
출처
개편 이후에도 본 노선의 주력 차량이었으며, 폐선 후 5612번으로 이동했다가 오케이버스로 넘어간후 2010년 11월에 서울특별시 가스차량 의무화 정책에 따라 현대 저상버스로 조기대차 후 6627번으로 이동하여 운행 중.
운행구간 : 봉천5동(성현동) - 당곡4거리 - 동작구청 - 노량진역 - 용산역 - 서울역 - 시청/롯데백화점 - 청계천 - 창경궁 - 혜화동 - 성북동
2004년 6월 때까지 일명 '반사기도색'으로 최후의 무냉방 쇠창틀 하이파워를 운행하기도 하였다. 개편 후 용산역 - 성북동 구간이 단축되어 5011번이 되었다가 폐선.
당시에는 나름 인지도가 있어서 지금도 봉천동에 사는 나이 많으신 분들은 예전 풍양운수 본사 자리에 있는 주차장을 85번 종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03. 85-1 (풍양운수)


[image]
현재 두 번 대차되어 6714번 화이버드로 운행 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신림8동(조원동) - 신대방역 - 당곡4거리 - 은천교 - 봉천5동(성현동) - 봉원중 - 서울대입구역 - 사당역 - 국립묘지 - 중앙대
개편 후 서울 버스 5524가 되었다. 이후 난향동으로 연장. 2010년에 오케이버스에 매각.

104. 85-2 (풍양운수)


운행구간 : 신대방역 - 구로공단역 - 롯데관악점 - 은천교 - 현대시장 - 관악구청 - 서울대학교
85-1번의 보조노선 격으로, 신림8동 - 서울대학교 간을 운행. 개편 때 서울 버스 6511이 되었는데 업체가 태진운수로 배정되면서 구로동 - 서울대로 연장되었다.

105. 85-2 (좌석) (풍양운수) (★)


도시형 85번과 대부분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
다만 당시에는 롯데백화점 본점 건너편 정류장에는 좌석버스만 정차했기 때문에 85번 도시형은 남대문 → 성북동 방향 한정으로 시청을 경유했었지만, 85-2번 좌석은 양방향 모두 남대문 - 을지로입구역 구간을 운행했었다.

106. 85-3 (풍양운수) (★)


1993년 즈음에 신설된 노선으로 본동까지만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당시 85번에서 제일 낡은 차량들만 갖고 왔기 때문에 상태가 말이 아니었다.
결국 소리소문없이 폐선.
상마운수가 파업에 들어가면서 102번이 운행을 중단했을 때는 임시로 봉천5동 - 신대방삼거리 - 서울공업고등학교 - 대방역 - 영등포역(회차)로 연장운행하였다.

107. 86 (대진운수 → 삼원여객 → 우신운수) (★)


운행구간 : 면목동 - 서울우유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장충체육관 - 금호역 - 동호대교 - 압구정역 - 신사동 - 잠원동 - 뉴코아 - 고속터미널 - 반포본동 - 이수교차로 - 이수역 - 사당역 - 남태령 - 과천
1987년 삼원여객에서 우신운수로 넘어갔고 이후 사당동 - 고속터미널로 단축 운행하다가 1991년 5월 1일 폐선되었다.

108. 87 (동아운수 → 서울버스)


운행구간 : 대청역 → 일원동 → 선정릉 → 신논현역 → 고속터미널 → 구/신반포 → 이수역 → 내방역 → 방배역 → 서울교대 → 영동세브란스 → 한티역 → 개포동 → 대청역
강남/서초를 돌던 순환버스. 먼 옛날에는 동아운수에서 1970년대에 84번에서 파생되어 신설된 노선으로 우이동 - 삼성동 노선으로 당시 84번 강북구간은 거의 대부분 일치하고 강남구간은 봉은사로를 완주하는 형태였다. 1982년에 서울버스에 대량의 차량들과 함께 넘어가고 노선도 우이동 - 고속터미널 구간을 단축하고 위의 운행구간으로 변경하였다. 개편 당시에는 3421번으로 바뀌었다가 폐선. 사평로 구간은 현재 서울 버스 3422가 대체하고 있다. 또한 방배 - 내방 - 이수 구간도 대체노선이 없어서 한동안 일대 주민들은 애를 먹었다. 그 구간은 현재 서울 버스 4319가 신설되어 대체.

109. 87 (좌석) (동아운수 → 대진운수) (★)


87번의 좌석형으로 본래 동아운수에서 운행하다가 1982년 11월에 대진운수에 매각. 1983년 16-1로 노선번호 변경

110. 87-1 (서울버스)


[image]
[image]
두 차량 모두 2007년에 조기대차되었으며, 윗 차량은 2007년식 NSAC→2016년식 NEW BS106으로 대차되어 301번에 있으며, 아래 차량은 2004년식 한국brt 중고 SAC→2013년식 NSAC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3426번에 있다.[45]
운행구간 : 대청역 → 개포동 → 한티역 → 영동세브란스 → 서울교대 → 방배역 → 내방역 → 이수역 → 구/신반포 → 고속터미널 → 신논현역 → 선정릉 → 일원동 → 대청역
87번의 반대방향 순환노선으로 개편 당시 3420번으로 바뀌었다가 폐선.

111. 88 (범진여객) (★)


운행구간 : 남성동 - 이수역 - 정금마을 - 팔레스호텔 - 고속터미널 - 동작대교 - 이촌역 - 용산역(남성역 방면) - 숙대입구역 - 서울역 - 만리동고개 - 공덕동 - 서강대학교 - 신촌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망원동 - 망원동 성산시장 (현. 월드컵시장) - 합정역
폐선 직전엔 중림동까지만 운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부 차량이 감차되어 동해운수[46], 보성운수[47], 세풍운수[48]로 넘어갔다. 도시형 89번, 좌석형 89번과는 다르게 총신대 회차구간은 운행하지 않았다. 관련 게시물

112. 88-1 (범진여객) (★)


운행구간 : 남부터미널 → 예술의전당 → 남부터미널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이수교 - 이수역 - 남성동 - 총신대 - 상도동 - 동작구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1998년까지)
남성동 - 총신대 - 숭실대 - 상도역 - 동작구청 - 노량진 - 상도터널 - 숭실대 - 총신대 - 남성역 - 범진여객차고지(통과) - 이수역 - 반포 - 고속터미널 - 서울성모병원 - 범진여객차고지(종점) (1998년 ~ 1999년)
본래 이 버스는 1998년까지는 영등포구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었으나 1998년 신인운수 150-3번(구로단지 ~ 법조단지)이 본동까지 단축하면서 이 버스의 대체목적을 위하여 영등포 구간과 서초구 남부터미널 구간이 단축되고 89-1번과 같은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고속터미널 → 노량진 구간은 중간에 범진여객차고지로 들어가기 때문에 바로 가지는 못해서 89-1번이 이를 보완하여 운행하였다.
범진여객이 폐업할 때 함께 사라지고 말았다.

113. 89 (범진여객) (★)


[image]
1981년의 모습 출처
[image]
운행구간 : 남성역 → 총신대(회차) → 남성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흑석동 - 용산 - 서울역 - 광화문 - 사직터널
원래는 홍제역을 거쳐 문화촌 현대아파트 앞까지 운행하던 노선으로, 1970년 개편 이전의 번호는 81번이었다. 회사 면허가 취소될 즈음 사직터널로 불법 단축하더니, 90년대 후반에 회사와 함께 사라져버렸다. 152-1번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남성역 일대에 유일하게 다니던 시내버스였으며, 이 노선을 대체하기 위해 152-1번이 남성역을 지나 노량진까지 연장되었다.
의외로 인지도는 꽤 높았는지 사당동 구, 범진여객 차고지 자리는 아직도 범진여객 혹은 89번 종점으로 불린다.

114. 89 (좌석) (범진여객) (★)


[image]
출처[49]
운행구간 : 남성역 → 총신대(회차) → 남성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흑석동 - 용산 - 서울역 - 광화문 - 사직터널 - 금화터널 - 이대후문 - 연세대- 마포구청 - 성산대교 - 목동아파트
89번의 좌석형 노선으로, 이 노선은 한강대교를 한 번 건너고 난 후 성산대교를 건너 목동아파트까지 운행하는 한강을 두번 건너는 노선이었다.

115. 89-1 (범진여객) (★)


운행구간 : 남성역 - 이수역 - 서울성모병원 - 고속터미널 - 이수역 - 범진여객차고지(통과) - 총신대 - 숭실대 - 상도역 - 장승배기 - 노량진역 - 노들역 - 상도터널 - 상도역 - 숭실대 - 총신대 - 남성역 - 범진여객차고지(종점, 복귀)
사당동 주민들을 노량진으로 연결해주던 마을버스 성격이 짙던 노선. 노선구간은 짧지만 사당동 학생들의 학원가 이용셔틀 및 노량진을 이어주는 노선으로 꽤 수요가 있었다.
원래는 동작구 지역에서만 운행했었으나 1998년 구로단지 ~ 법조단지까지 다녔던 신인운수의 150-3번 노선이 본동까지 단축되면서 이 버스의 단축구간 대체를 위하여 서울시 인가훈령에 따라 서초구까지 연장되어 총신대입구 - 서울성모병원 - 고속터미널 - 반포까지 연장하였다, 그러나 중간에 노량진 → 고속터미널 구간은 바로가지 못하고 차고지로 빠져나가는 영향 때문에 바로 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대신 동 회사 88-1번 노선을 통해서 단점을 보완시켰다.
152-1번이 범진여객 폐업 대체용으로 노선이 연장될 당시 선진운수 회차지인 숭실대후문이 아닌 노량진까지 내려왔던 이유가 이 노선의 불편해소 때문. 범진여객 폐업과 동시에 폐선.

116. 90 (동원여객 → 과천여객 → 우신버스) (★)


1990년대까지 존재했던 노선으로 군포에서 출발하여 광화문까지 운행하다 이후 총신대입구역으로 단축 후 1995년 폐선되었다. 104-1 인수 전까지 도시형버스 운행노선이 없는 회사가 되었다.

117. 90(좌석) (동원여객 → 과천여객 → 우신버스)


이후 918번으로 변경. 서울 버스 540 참조

118. 90-1 (삼원여객, 과천여객[50]) (★)


의왕 고천에서 인덕원, 과천, 사당동, 흑석동 경유 신세계백화점까지 운행하던 97번 버스가 1986년 노선번호를 90-1로 변경.
1987년 폐선.

119. 90-1 (좌석) (우신버스)


운행구간 : 산본 4단지 - 산본공고 - 엘림복지원 - 주공1단지(현 산본래미안아파트), 산본시장 - 금정역 - 명학역 - 안양우체국 - 비산사거리 - 안양종합운동장 - 관양중 - 인덕원역 - 과천주공2~3단지 - 정부과천청사 - 과천역 - 선바위역 - 사당역 - 정금마을 - 고속터미널 - 뉴코아백화점
1990년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안양 호계동이 기점이었다. 이후 1992년에 산본신도시가 조성되면서 90번과 함께 연장되었다.
심야좌석버스 노선으로 변경되면서 번호가 908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도시형으로 전환되었으며 회차지점이 서울성모병원 변경, 2004년 개편 때 지선 4425번으로 전환했다가 종점을 고속터미널 방면에서 사당역 단축하여 다니다가, 강남역 방면으로 바꾸면서 최종적으로 간선 541번이 되었다.

120. 90-2 (좌석) (우신버스) (★)


  • 운행구간 : 산본A단지 - 산본리 - 호계동 - 평촌 - 관양동 - 인덕원 - 과천 - 사당역 - 이수역 - 이수교 - 반포동 - 서울고속터미널 - 뉴코아
1995년 초반, 고속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강남역, 양재역 종점으로 변경되었다가 얼마 안가 폐선.

121. 91 (동원여객 → 범진여객) (★)


운행구간 : 사당동 ↔ 성북동(신흥사)
1971년에 신설되어 1974년 3월에 폐선되었다.

122. 92 (신촌운수) (★)


[image]
출처
[image]
운행구간 : 문래동 - 양평동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 - 이대입구 - 굴레방다리, 아현역 - 서대문 - 광화문 - 종로 - 동대문(창신동 방면) - 창신동
원래는 문래동 대신 양평동 - 영등포시장 - 대방역 - 장승배기 - 숭실대입구 - 봉천사거리 - 까치고개입구(봉천11동)까지 운행했었으나 차고지를 문래동으로 변경하면서 문래동-봉천동 구간을 92-2번으로 분리 후 신정동-양재역으로 변경하고 봉천동 차고지는 매각되었다. 이후 92번 답게(?)1992년에 폐선.

123. 92-1 (신촌운수) (★)


운행구간 : 봉천동 - 서울대입구역 - 숭실대 - 상도동 - 동작구청 - 대방역 - 영등포 - 영등포구청 - 당산역 - 해태제과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연세대 - 사직공원 - 광화문
마포구청 - 광화문 구간 단축 후 1985년 폐선. 1988년 창신동 낙산아파트 - 동대문 구간 노선으로 신설 운행 후 1993년 폐선.

124. 92-2 (신촌운수 → 중부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문래동 - 문래역 - 영등포시장 - 노량진 - 상도동 - 서울대입구 - 사당역 - 방배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
1983년 9월 17일에 92번의 '문래동 - 봉천동' 구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이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했다. 당시 노선은 '문래동 - 영등포 - 노량진 - 사당동 - 무지개아파트 - 양재동 - 트럭터미널' 이었다.
1984년경부터 주말과 공휴일에는 서울대공원까지 연장 운행했다. 1989년 5월 10일에 한성운수 110번이 폐선되면서 신정동까지 연장되었다.
1992년 8월 20일에 '신정동 - 문래동', '양재동 - 트럭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다. 이후 1996년 6월 5일에 효령로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는 번호만 641번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41 문서를 참조.

125. 93 (성진상운 → 관악교통) (★)


운행구간 : 서울대학교(정문) ↔ 신촌역입구

126. 94 (성진상운 → 관악교통)


[image]
[image]
두 차량 모두 2006년에 BS106으로 대차되었다가 2017년에 윗 차량은 일반으로, 아래 차량은 저상으로 대차 후 그대로 6515번에서 다니고 있다.출처
운행구간 : 서울대학교(정문) - 신림동고시촌 - 신림역 - 장승배기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고척교 - 고척시장 - 금옥여고
2004년 개편 이후 561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이후 양천공영차고지 완공으로 인해 기점이 양천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또한 서울대 방향으로 운행할 때는 금옥여고와 정랑고개를 경유하였으며, 양천차고지 방향으로 운행할 때는 고척근린공원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고척시장 - 고척교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신길역 - 대방역 - 노량진수산시장 - 장승배기 - 신림역 - 신림동고시촌 - 서울대학교(정문)으로 변경되었다.
5412(289-1)의 구간단축노선인 5520번과 통합하여 서울 버스 6515가 되었다.

127. 94 (좌석) (관악교통) (★)


운행구간 : 서울대학교 - 관악구청 - 서울대입구역 - 신림역 - 장승배기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구로역 - 고척교 - 고척시장 - 금옥여고
94번 도시형버스와 달리 관악구청 경유로 운행하다 1990년 초반에 폐선.

128. 94-1 (관악교통) (★)


운행구간 : 서울대학교 - 신림역 - 장승배기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오금교 - 목동9-14단지 - 금옥여고
1990년대 초반에 구로역사거리에서 목동으로 넘어가는 오금교가 생기면서 신설되었다가 수요부족으로 얼마안있어 폐선. 구로역사거리에서 고척동방향으로 가지 않고 오금교를 건너서 목동 9-14단지를 경유해서 신트리사거리로 나가서 금옥여고로 직행했던 노선이다.

129. 95 (한남운수) (★)


[image]
[image]
[image]
[image]
운행구간 : 서울대 - 신림사거리 - 신대방삼거리 - 장승배기 - 용산 - 서울역 - 퇴계로 - 중구청(스카라극장)
한남운수의 원로격인 노선으로, 처음엔 서울대 - 스카라 - 성대입구 - 종암동 - 청량리 간을 운행하였던 노선. 4호선 개통의 여파로[51] 80년대 중반 청량리 - 삼선교 구간이 단축, 혜화동로터리에서 회차했는데 몇년 뒤 스카라 - 혜화동 구간도 단축운행하였으며, 90년대 후반 좌석노선들의 도시형 전환이 잇달으면서 52번의 도시형전환 및 다수의 중복노선들로 인해, 55-2번과 통합하여, 서울대 - 노량진구간은 52번에, 노량진 - 중구청 구간은 55-2번에 역할을 넘겨주며 2002년도에 쓸쓸히 증발.

130. 95-1 (한남운수 → 한성운수) (★)


운행구간 : 구로공단 - 신림8동 - 신림4동 - 신림역 - 은천교 - 성대시장 - 장승배기 - 노량진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남영동 - 갈월동 - 서울역 → 숭례문 → 신세계 → 퇴계로 → 서울역 → 이하 역순
초기에는 신림4동까지만 운행하였으나, 이후 신림8동과 구로공단 순으로 연장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 26-3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으며, 이후 남부순환로 경유로 광명시까지 연장되며 504번의 모태가 된 26-3번이다.

131. 95-2 (한남운수 → 신촌교통) (★)


1981년 신설되어 운행구간은 서울대학교에서 신세계까지 운행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자세한 노선정보는 불명
1982년 신촌교통이 인수하여 142번이 한강이남구간 적.청노선 순환운행. 신촌교통에 85XX가 존재하는 이유는 95-2번 때문이다.


132. 95-3 (한남운수) (★)


1982년 신설되었고, 운행구간은 서울대-장승배기-한강로-퇴계로-대학로-삼선교-미아리고개-서라벌중고등학교-종암로-청량리 였는데, 승객 수가 적어 1년후인 1983년 폐선.

133. 96 (상마운수 → 한남운수)


[image]
출처 위 차량은 2008년에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어 5712번에서 운행하다 2019년에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5616번으로 이동하였다.
운행구간 : 난곡 → 난우중 → 우림시장 → 남강중.고교 → 농협앞 → 신일교회 → 신림고입구 → 난곡입구 → 남부경찰서 → 대림여중 → 구로전화국 → 구로공단역 → 대림시장 → 대방전화국 → 신길주유소 → 신풍역 → 사러가쇼핑 → 우신초교 → 영등포근린공원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7가 → 동아맨션 → 당산동 → 당산역 → 인공폭포 → 염창동 → 강서보건소 → 등촌동 → 구.국군통합병원 → 등촌2동사무소 → 목동시장 → 용문사입구 → 목동사거리 → 목동오거리 → 목동7단지 → 대학학원 → 오목교 → 관악고 → 영등포기계상가 → 양남로터리 → 문래역 → 건양병원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대윤병원 → 대신시장 → 영등포농협 → 우신초교 → 사러가쇼핑 → 신풍역 → 태양의집 → 대림시장 → 한강웨딩홀 → 구로공단역 → 구로전화국 → 남부경찰서 → 난곡입구 → 난곡중 → 신일교회 → 농협앞 → 남강중.고교 → 우림시장 → 난우중→ 난곡
난곡 - 우신초교 구간은 160번과 동일했지만, 이후 등촌동까지는 160번과 역순으로 운행하였다.

134. 96 (좌석) (상마운수) (★)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다.(신대방역은 미경유)

135. 97 (대화여객 → 삼원여객) (★)


운행구간 : 의왕(고천) - 호계사거리 - 인덕원사거리 - 과천 - 관문동 - 남태령 - 사당역 - 이수역 - 이수교 - 국립묘지 - 흑석동 - 신용산역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 - 신세계
1973년 3월 20일 서울시에서 동일번호로 복수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노선을 분리할 때 서울여객의 기존 78번(말죽거리-용산/약수동-서울역) 노선(48대) 중 용산 경유 노선(말죽거리-용산-서울역)은 그대로 78번으로 유지하고(24대) 약수동 경유(말죽거리-약수동-서울역) 노선을 97번으로 분리한 것(24대)이 그 시초로 1973년 11월 12일 영동지구 13·14단지(현 삼성동·도곡동)으로 연장되기도 하였으나출처, 삼원여객으로 넘어가 군포 - 스카라극장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출처. 이후 운행구간에 일부 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결국 1986년 과천여객과 공배하게 되면서 90-1로 노선번호를 변경.
1989년 10월 고천에서 노량진까지만 운행하는 노선으로 재신설 되었으나 1992년 8월 20일 97-1에 통합되며 폐선.

136. 97-1 (삼원여객) (★)


운행구간 : 의왕(고천) - 신안아파트 - 호계구사거리- 호계신사거리 - 인덕원 - 과천 - 관문동 - 남태령 - 사당역 - 이수역 - 이수교 - 국립묘지 - 흑석동 - 노량진 - 대방역 - 영등포 - 당산역 - 양평동
원래는 목동아파트단지(CBS 앞)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었는데 임의로 영등포시장에서 회차, 운행하였다.
이후 이수역으로 단축, 추가로 사당역까지 단축 운행 후 출퇴근 시간 이후에는 안 보이는 노선으로 전락했다가 1997년 12월에 폐선되었다.

137. 97-2 (삼원여객 → 우신버스)


[image]
출처 위 차량은 2008년에 대차되어 4319번에서 운행하다 2018년 5월에 미개선형 일반 차량으로 대차되었고 541번으로 이동해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의왕(고천) - 호계신사거리 - 인덕원역 - 과천 - 주암동 - 양재역 - 강남역 - 논현역
신사역까지 연장하여 지선버스 4424번으로 다니다가 간선버스 441번으로 형간전환. 서울 버스 441 참조.
삼원여객 시절에는 797번 출신 AC540 좌석개조차가 다녔다. 특히 AC540에 뒷문을 뚫은 특이한 차량이 다녔다.

138. 98 (일광운수 → 태광교통 → 안남운수 → 군포교통)


[image]
[image]
출처 사진의 위에 사진의 차량은 2009년에 BS110CN F/L 거쳐 20년식 에디슨 화이버드EV 로 대차되어 5531번에서 운행중이다. 아래 사진의 BS106은 07년식 106 NGV를 거쳐 18년식 NEW BS106 NGV로 대차되어 5623번에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군포(부곡동) - 군포역 - 금정역 - 안양역 - 석수역 - 시흥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공원 - 공군회관 - 노량진(본동가칠목)
맨 처음에는 동대문구 장안동까지 갔다. 이후 1977년에 '노량진 - 장안동' 구간이 '노량진 - 고속터미널'로 변경되었고, 1980년에 '고속터미널 - 은마아파트' 구간이 연장되었다.
1988년 12월에 '군포 - 서초동 법조단지' 구간은 98번으로, '중앙대 - 은마아파트' 구간은 98-1번으로 분리했고 동시에 98-1번을 신진운수에 매각했다.
1992년 8월 20일에 '노량진(본동가칠목) - 서초동 법조단지' 구간이 단축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5531번으로 바뀌었다.
유사노선으로 동 회사의 798번 좌석버스가 있었으나 1990년대에 폐선되었다.


139. 98-1 (군포교통 → 신진운수) (★)


[image]
위 차량은 대성운수로 면허가 넘어갔고 343번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개포동 - 은마아파트 - 숙명여고 - 양재역 - 영동중학교 - 서초동무지개아파트 -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 중앙대학교
1988년 12월에 당시 군포와 대치동 은마아파트를 오가던 98번이 '군포 - 서초동 법조단지' 구간은 98번으로, '중앙대 - 은마아파트' 구간은 98-1번으로 분리했고, 동시에 98-1번을 신진운수에 매각했다. 1993년 8월 10일에 폐선되었다.

140. 99 (일광운수 → 태광교통 → 안남운수 → 군포교통)


[image]
[52]
[image]
출처
운행구간 : 부곡동 - 군포역 - 금정역 - 안양역 - 안양유원지 - 석수역 - 시흥 - 구로디지털단지역 - 노량진 - 용산 - 서울역 - 광화문
예전에는 대야미동까지 갔었으나, 부곡으로 단축/변경되었다. 이후 대개편 때 서울 버스 5624로 바뀌었고, 회사도 대원여객으로 바뀌었다.

141. 99-1 (군포교통)


운행구간 : 군포복합화물터미널 - 부곡동 - 군포시청 - 산본2동사무소 - 금정역 - 만안구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독산동 - 구로공단역. 5624번과 가장 유사한 노선이다.
이후 순환버스로 변경되면서, 번호가 499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400번대 문서에서 499번 항목을 참조.
'''이전 문서로
(0번대)
'''
'''다음 문서로
(100번대)
'''


[1] 우신버스의 전신[2] 당시에는 폐선하면 무조건 기존 면허를 말소시켰다. 비슷한 시기에 폐선된 753번도 마찬가지.[3] 현재는 세 번 대차되어 506번에서 운행 중이다.[4] 161번의 1.5배였다고 한다 ㅎㄷㄷ[5] 광릉내 - 장현 - 내각리 - 내곡리 - 임송 - 퇴계원 - 사노리 - 안마을 - 동구릉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동부시장 - 위생병원 -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대문 → 청계6가 → 종로6가 → 동대문 → 이하 역순[6] 동시에 토평동 - 구리여고 - 남양시장 - 돌다리 - 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던 대원운수 5번이 55번과의 중복을 이유로 폐선된다. 물론 그 이후에 5번이라는 번호를 달고 구리시를 지나던 노선들은 해당 노선과 관련이 없다.[7] 이 외에도 겸재로 구간은 동원사거리부터 지금의 겸재교 동단까지 독점이었고, 면목2동한신아파트 구간도 마찬가지였다. 2004년 이후론 경성여객이 해당 구간을 대신 담당.[8]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2415번에서 2016년식 뉴 슈퍼 에어로 시티 천연가스버스 차량으로 운행중이다.[9] 자양동 - 자양아파트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후문) - 군자교 - 장한평 - 답십리 - 전농사거리 - 전농시장 - 굴다리 - 제기동 - 용두동 - 신설동 - 청계천로 - 광교 - 미도파 - 서부역 - 청파동 - 숙명여대 - 효창공원 - 용문시장 →원효로 → 서부이촌동 → 용산역 → 용산전자상가 → 용문시장(적색의 경우. 청색은 역순으로 회차) 광교에서 좌회전이 금지된 이후로는 무교동에서 U턴하였다.[10] 우리나라에서 저상버스가 최초로 운행된 날은 2002년 10월 26일로, '제8회 부산 아시아태평양 장애인경기대회(The 8th Busan FESPIC Games)'에 참가하는 선수단을 위하여 선수촌과 경기장, 김해공항 사이를 운행하는 셔틀버스에 BS120CN 5대를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한 증여방식으로 제공하였다. 대회 후에는 서울, 인천, 대구, 부산, 광주 등 5대 지자체에 무상으로 제공됐고 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무료 셔틀버스로 운행되고 있다.[11] 62번과는 달리 신설동로터리 - 동대문 - 종로 - 광화문 - 시청을 경유했다.[12] 대개편 이후에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으나 2010년 1월에 서울특별시 천연가스버스 의무화 정책에 따라 조기대차되고 현재는 362번에서 운행중이다.[13] 디젤 차량이라 서울시 천연가스버스 의무화 정책에 따라 조기대차된 것.[14] 서울세종고등학교, 중동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강남공업고등학교(현 서울로봇고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등등[15] 등교시간에는 오금공원앞이나 가락극동아파트에서 만차가 되기 일쑤였고(오금역~올림픽훼미리타운 라인 학생들이 무정차통과로 차를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하교시간에는 이미 일원동에서 꽉 찬 상태로 와서 수서역에 사람 못태우고 그냥 통과했다(이때문에 수서에 있는 서울세종고등학교 학생들이 무정차 통과 피해를 가장 많이 봤다).[16] 이 차량은 64-1번의 형간전환 때 SAC 천연가스차량으로 대차되었다가 얼마 뒤 개편 때 다모아자동차로 이동해 270번에서 운행했고, 다시 대차된 후에 601번에서 저상 차량으로 운행 중이다.[17] 개편 때 다모아자동차로 차출되어 470번으로 갔고, 2013년에 대차되었다.[18] 물론 907이나 111-1번이 있었지만, 시내만 다니던 노선으로는 212가 원톱이었다.[19] 1990년 당시에는 한남동을 경유하였다.[20] 위 차량은 군포교통으로 면허가 넘어가 5623번에서 운행 중이다.[21] 이 시기 잠실 한서교통 종점 남쪽으로는 크고 아름다운 농촌마을이였다. 개발되면서 종점이 점진적으로 남쪽으로 이전(잠실➡️송파➡️거여동➡️(개편후)송파공영차고지). [22] 보인고교 이후 구간만 놓고 보면 개편전 69-1번과 거의 동일하게 되었다.[23] 서초동 - 광화문(시청)간 78번은 1973년 8월 30일에 서울여객 78번과 97번에서 각 3대가 서초동으로 운행하게 된 것을 그 시초로 한다. 삼성여객이 이들을 인수하여 원래의 말죽거리(양재동)행 노선과 동일한 78번을 달고 운행하였고, 1979년 4월 1일 퇴계로, 약수동을 거치는 노선변경이 이루어지지만 1979년 5월 1일에 다시 퇴계로 및 약수동을 거치지 않고 광화문과 시청앞까지 갔다가 서울역을 거쳐 돌아오는 형태로 노선변경이 된다.[24] 참고로 이 블로그에서는 1983년에 삼성여객이 78번 서초동 방면 노선계통에 참여하고 72번을 새로 만들었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1979년 4월 1일에 서울여객의 78번(42대)과 삼성여객의 78번(9대)이 공존했음을 볼 때 서초동 방면 78번을 삼성여객이 인수한 것은 이미 1979년 이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72번 역시 1982년에 그 존재가 확인된다는 점에서 옳지 않은 기술이다. 또한 그와는 별도로 1983년 서울여객(현 도선여객)이 78번 노선을 삼성여객에 양도한 것으로도 보고 있으나 1979년 5월 1일 시청앞까지 연장된('서초동 - 시청' 구간 운행) 삼성여객 78번의 차량대수가 12대였고(노선 연장에 따라 1달전의 9대에서 증차된 것으로 추정됨), 서초동 대신 개포시영아파트 쪽으로 노선을 바꾼것이 확인되는 1984년에도 삼성여객의 78번이 12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이때까지는 삼성여객이 서울여객의 양재동행 78번을 양수하거나 하지 않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25] 당시 기사를 보면 72번 등의 노선이 경영난 등을 이유로 무단으로 운행을 중단하자 서울시가 대체노선 개설 없이 노선을 폐지한 것을 알 수 있다.[26] 사진 속의 차량(서울6사1246)은 세 번 대차되어, 현재 서울 버스 7212에서 운행 중.[27] 사진 속의 차량(서울74사2574)은 두 번 대차되어, 현재 서울 버스 9701에서 운행 중.[28] 사진 속의 차량(서울74사4596)은 두 번 대차되어 지금은 서울 버스 751에서 운행 중이다. (좌석버스 시절부터 타 노선 이동 없이 승계노선인 서울 버스 753에서 그대로 운행되다가, 2010년대 중반에 751번 저상버스와 트레이드됨)[29] 연신내역 - 예일여고(구산역) - 역촌상가 - 신사오거리(응암역) - 신흥시장 - 숭실고입구(새절역)[30] 145번, 806번, 430번, 431번 및 은평구 마을버스 등[31] 주로 '서울75사26XY' 및 '서울74사458X/459X' 계열들이었고, 도시형 전환 후에도 그 면허 그대로 로얄시티로 대차되어 2010년 중반대까지 승계노선인 서울 버스 753에서 대부분 그대로 운행되다가 753번의 저상버스 전입에 따라 서울 버스 751 등 다른 노선으로 많이 분산되었다.[32] 주로 '서울74사60XY' 계열들이었고, 도시형 형간전환 직후 72번으로 넘어가 운행되다가 말소되었다.[33] 변경 후, 안내방송에서도 승객 혼란 방지를 위하여 신촌현대백화점 정차 안내방송 마지막에 “본 차량은 서강대교를 경유하는 차량입니다” 라는 멘트를 추가하였었다.[34] 7차 교육 과정 시절은 당시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지금처럼 검정 교과서가 아닌 국정 교과서로 발행하였다.[35] 2004년 개편 때 9705번으로 변경. 이후 용산역까지 연장했으나 얼마 가지 않아 폐선.[36] 해당 차량(서울75사1238)은 대차되어 현재 서울 버스 7613에서 운행 중이다.[37] 해당 차량은 개편 때 다모아자동차로 차출 및 양도되었다.[38] 사진 오른쪽 차량이며, 해당 차량도 개편 때 다모아자동차로 차출 및 양도되었다.[39] 일명 '3단박스' 냉방개조차에 대한 대차분이었으며, 현재는 전량 다모아자동차로 차출되었다.[40] 참고로 이 블로그에서는 1983년경 서울여객(현 도선여객)이 78번 노선을 삼성여객에 양도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1979년 4월 1일에 서울여객의 78번(42대)과 삼성여객의 78번(9대)이 공존했음을 알 수 있는데, 1달 뒤 시청앞까지 연장된(서초동 - 시청 구간 운행) 삼성여객 78번의 차량대수가 12대였고(노선 연장에 따른 증차 추정), 서초동 대신 개포시영아파트 쪽으로 노선을 바꾼것이 확인되는 1984년에도 삼성여객의 78번이 12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이때까지는 삼성여객이 서울여객의 78번을 양수하거나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어 78번이라는 같은 번호로 다른 회사의 두 노선이 공존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41] 사진이 흐려서 잘 안보이지만 차량번호가 3126 이다. 현재는 두 번 대차되어 405번에서 운행 중.[42] 해재 두 번 대차되어 421번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2018년식으로 운행중.[43] 마지막 사진의 차량은 현재 402번에서 2018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운행중이다.[44] 한국brt 중고 슈퍼 에어로시티를 거쳐 2013년식 저상버스로 152번에서 운행 중.[당시] 마을버스 요금을 받았다.[45] 사진의 2000년식 초기형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은 2007년을 끝으로 거의 다 대차되었으나, 1대가 301번에서 2009년 겨울까지 예비차로 살아남았다. 이후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401번으로 이동.[46] 서울 74 사 2622, 2644[47] 서울 74 사 2621, 2643, 2655, 2657[48] 서울 74 사 2645[49] 에어로시티 520 차량으로, 기사의 날짜로 보아 당시 신차 시절로 추정된다.[50] 우신버스의 전신[51] 당시 운전기사들의 증언을 들어 보면 4호선 개통보다도 신림동 당시 달동네에 사는 노점상들이 청량리 경동시장에서 야채 등을 구입하기 위해 이 버스를 많이 이용한 것이 노선단축의 이유라고. 종점에서 채소를 한짐 싣고 타서 기점까지 가서야 내리니 소위 물갈이가 안되어서 수입이 적었다고 한다.[52] 사진 차량 8344호는 5623번에서 2015년식 NEW BS110으로 운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