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2312

 


대원여객 소속 차량.
북부운수 소속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증차 관련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3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1]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종점[2]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종점행
첫차
04:30
기점행
첫차
04:30
막차
23:50[A]
막차
23:50[A]
평일배차
10~18분 (2312A) / 9~16분 (2312B)
주말배차
10~21분 (2312A) / 10~18분 (2312B)
운수사명
대원여객 (강동영업소), 북부운수 (신내동영업소)
인가대수
21대(예비 2대)[3][4][5]
노선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7·9·10·11단지 - 고덕리엔파크2·3단지 - 고덕주공3·6단지 - 고덕사회체육센터·상일동주민센터 - 상일동빌라단지 - 중앙보훈병원역 - 보훈병원 - 길동역 - 굽은다리역 - 명일역 - 서울시동부기술교육원 - 구리암사대교 - 용마터널 - 사가정역 - 홈플러스면목점 - 면목5동주민센터 - 면목2동주민센터 - 상봉역·중랑우체국 - 망우역·상봉터미널 - 중랑구청사거리 - 신내10단지 - 신내8·9단지·서울의료원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2. 개요


중랑공영차고지에서 용마터널구리암사대교를 경유하여 강동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한다.
대원여객, 북부운수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4년 12월 23일에 신설되었다. 최초 계획으로는 2310번으로 신설할 예정이었지만, 이후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7년 8월 18일에 메트로버스 차량 4대가 전부 2227번 증차를 위해 넘어가면서 공동 배차에서 철수했다. 대신 북부운수 차량이 4대 증차되었다.
  • 2018년 6월 25일에 2312B(강동공영차고지 기점)에서 서울승합이 공동배차에서 철수하고[6], 대원여객이 4대를 더 투입하여 운행 하고 있다. 당초 6월 11일에 변경 될 예정이었으나 준비문제로 연기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18년 8월 16일에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편되면서 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 기준 8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강동구 주민들의 9호선 접근성 개선을 목적으로, 2019년 7월 22일에 강동자이아파트/둔촌2동주민센터 대신 중앙보훈병원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다만, 노선 길이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운행 소요시간이 170분에서 185분으로 늘어나는 반면 운행 댓수는 그대로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6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에도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 2019년 8월 중 일자미상으로 TOPIS 데이터 상의 기종점이 정반대로 바뀌었다.(중랑 기점, 강동 종점 → 강동 기점, 중랑 종점) 다만, 업체별로 기점이 다른 것은 여전히 유효하므로, 실 운행 상의 변동사항은 없다.
  • 2019년 10월 7일을 기해 노선변경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배차간격 불편 민원의 해소를 목적으로, 2312B번에 108번 출신 단축운행차량 2대가 증차되었고,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6회 증회되면서 2312B번에 한해 본래 11~15분이던 평일 배차간격이 10~20분으로 조정되었다. 또한 2312B번에 한해 본래 04:30/22:50이던 강동공영차고지 첫막차시각도 04:20/22:40으로 10분씩 앞당겨졌다.(단, 2312A번의 운행계통은 현행 유지될 예정) 관련 공문
  • 2019년 10월 23일을 기해 2312B번의 강동공영차고지 첫막차시각이 04:30/22:50으로 환원되었고,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2회 감회되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2312A번의 평일 배차간격도 2312B번과 동일한 10~20분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0년 2월 1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고, 그와 동시에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회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회 증회되었다.[7]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배차간격도 2312B번에 한해 평일 10~18분 간격, 토요일/공휴일 15~21분 간격으로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 2020년 5월 1일을 기해 B노선에 예비차 1대가 증차[8]되었다. 다만 비투입 예비차 증차이므로, 운행횟수에는 변동이 없다. 관련 공문
  • 2020년 6월 30일을 기해 강동첨단업무단지 경유에서 상일근린공원 경유로 변경되었고, A/B노선의 각 기점 막차시각이 22:4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그리고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85분에서 180분으로 줄어들고, B노선에 2대가 증차되어[9]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2대씩 증편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10회씩 증회되었다. 또한 B노선의 경우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 배차간격은 10~18분에서 8~15분으로,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은 10~21분에서 10~18분으로 줄어들었다. 관련 공문, 관련 게시물
  • 2020년 7월 21일을 기해 A/B노선의 각 기점 막차시각이 22:20으로 앞당겨졌다. 그리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5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8~15분이던 B노선의 평일 배차간격이 9~16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3.1. 증차 관련 역사


특이하게 업체에 따라 기종점이 서로 다르다.[10] 또한 종점이라 하더라도 바로 회차하지 않고, 차고지 안에서 몇 분 대기한 후 다시 나오므로 주의. KD차의 경우에는 중랑차고지에서 강동차고지로 가기 전 수 분간 대기하지만, 주박은 아예 하지 않으며 단지 회차 겸 배차 조절 용도이다. 북부운수 차량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강동차고지는 회차용도로만 사용할 뿐이다.
그래도 상기한 대로 승객이 늘어나고 의외의 수요가 생기면서 2015년 4월 6일부로 107번에서 1대, 272번에서 1대씩 감차하여 이 노선에 증차하였다. 한때는 전 차량이 고상차량이었으나, 현재는 저상버스도 3대 운행 중이다.(대원여객 2대, 북부운수 1대)
2015년 11월 7일부터 2대가 추가로 증차되었다(2014년 개통 당시에는 메트로버스와 서울승합도 참여했었고, 이로 인해 한때는 다중 공동배차 노선이었다). 273번(저상버스)과 3411번에서 각각 1대씩 감차했는데, 특히 강동권에서는 유서 깊은 노선인 3411번에서 감차를 했다는 것만 봐도 2312번이 확실하게 자리를 잡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원여객 소속 8331번이 폐선되면서 이 노선에 1대가 증차되었다.
이렇게 증차한 대수 포함 총 17대가 운행 중으로, 개통 1년 반만에 운행 차량 수가 두 배로 늘어났다.
2017년 8월 18일 부로 신내3지구 노선조정 영향으로 메트로버스가 공동배차에서 철수하여 북부운수 운행분이 8대이고, 2018년 6월 25일 부로 서울승합이 공동배차 3년 6개월 만에 철수하여 대원여객 운행분이 9대로 늘어났다.
2019년 10월 7일부로 108번에서 2대가 감차된 대신에 이 노선에 2대가 증차돼서 인가 댓수가 19대로 늘어났다.
2020년 6월 30일부로 노선이 변경되면서 또 108번에서 2대가 감차된 대신에 이 노선에 2대가 증차돼서 인가 댓수가 21대로 늘어났다.

4. 특징


  • 일반버스 18대, 저상버스 3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541번, 9401번과 더불어 운행 도중 통행료를 내는 단 셋뿐인 노선이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이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다음으로 전 차량 하이패스 OBU가 장착되어 있으며, 용마터널 통행료로 중형차량 요금인 2,600원이 자동 지불된다. 개통 초기엔 일부 차량에 아직 단말기가 설치되지 않았는지 요금소에서 에러 메시지가 뜨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당연히 해결된 상태이다.[11]
  • 북부운수 한정으로, 초이동 정류장 덕분에 유일하게 경기도를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단, 2020년 6월 30일 이후론 초이동을 경유하지 않는다.
  • 심야버스를 제외하면 기점 첫/막차와 종점 첫/막차가 동일한 몇 안되는 노선이다. 다른 사례는 774번, 1213번, 4318번이 있다.
  • 배차간격의 편차가 꽤 큰 편이다. 보통 1~2분 정도 차이나는게 정상이지만 2312번은 4~5분씩 늦는다. 그 이유는 무정차 구간(용마터널, 구리암사대교)에서 발생하는 교통 변수이다. 중앙보훈병원역 추가 경유 이후로는 시간대에 따라 2311번, 201번 못지 않게 체감 배차가 길어질 때가 있다.
  • 약수터 → 예닮요양병원 구간에서는 길동사거리로 이어지는 인가된 경로를 벗어나 양병원과 달려라병원 사이에 있는 왕복 2차선 사잇길 쪽으로 직진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12] 길동사거리의 정체가 극심할 경우에만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예외적으로 이 길로 간다.
  • 2311번이 중랑구와 송파구를 잇는 노선이면, 2312번은 중랑구와 강동구를 잇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 중랑구청사거리 - 사가정역 이동 시에는 2015번, 2230번을 타는 것이 좀 더 빠르다. 특히 2230번은 어느 방향에서 타든 사가정역까지는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홈플러스면목점 - 엔터식스 구간은 2015번과 소요시간이 비슷하나, 운행방향이 서로 다르다.
  • 중앙보훈병원역 경유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송파구를 지나지 않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312번
<color=#ffffff> 연도
<color=#ffffff> 일평균 승차량
<color=#ffffff>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979명
-
2015년
5,202명
△ 3,223
2016년
7,368명
△ 2,166
2017년
8,292명
△ 924
2018년
8,366명
△ 74
2019년
8,560명
△ 194
2020년
7,276명
▽ 1,284
2021년
-
-
※ 하차 인원 미포함
  • 신설 당시 우려와 달리 현재는 자리가 잡혀 승객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1] 대원여객(2312B) 출발점[2] 북부운수(2312A) 출발점[A] A B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늦어질 수 있음[3] 북부운수 8대 / 대원여객 13대(예비 2대)[4] 대원여객 예비차 중 1대는 본 노선과 01번 A/B 두 노선 공동 사용, 북부운수는 본 노선 소속 예비차 인가 없이 2311번 예비차 공동 사용[5] 토요일 / 공휴일 14대 (대원여객 6대, 북부운수 8대) 운행[6] 공동배차 철수 후 투입 노선은 3318번에 1대, 3321번에 2대, 3411번에 1대.[7] 본래 1월 17일을 기해 운행횟수 증회만 실행될 예정이었으나, 시행 일자가 재조정되고 예비차 감차가 추가되었다.[8] 증차분은 5624번 예비차 감차분이다.[9] 증차분은 모두 108번 감차분이다.[10] 북부운수는 신내동, 대원여객은 강일동. 비슷한 사례는 4318번심야버스들(N30번 제외)이 해당된다.[11]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중 하이패스 OBU를 장착한 노선은 9401번이다. 간선버스는 541번.[12] 예닮요양병원 정류장으로 가는 건 똑같다.[13] 고덕천.상일동역교차로 정류장[14] 평일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