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201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변경 이후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구리수택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5
막차
'''00:00'''
막차
'''01:20~25'''
평일배차
12~16분
주말배차
토요일 13~18분 / 공휴일 15~25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구리영업소)
인가대수
20대(예비 1대)[1]
노선
구리수택차고지 - (← 환경관리사업소 ←) - 수택고교·SK신일·우남아파트 - 구리여중고교 - 벌말삼거리·상록아파트 - 장자호수공원 - 하나아파트 - 수택3동행정복지센터·새마을금고 - 밀알교회·구리사회복지관 - 구리여중고교 - 수택1동주민센터 - 구리시장입구 - 한양대구리병원 - 동부제일병원·망우리공원 - 망우역·상봉터미널 - 상봉역·중랑우체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경희대입구 - 한국과학기술원·홍릉초등학교 - 세종대왕기념관 - 동대문경찰서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신설동역 - 흥인지문 - 종로2~6가 - 을지로입구역·광교 - 롯데백화점본점 - 북창동·남대문시장 - (← 숭례문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2. 개요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1.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55-3번 도시형버스(구리영업소 - 종로5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면목동(동원사거리, 면목역)미경유로 바뀌었고, 201번으로 변경되었다.
  • 민원에 의해 2004년 9월 11일에 '종로5가 - 서울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덕분에 수요가 늘어나서 200번(망우리 - 서울역)이 폐선되었다.
  • 동대문구청의 요구로 인하여 2011년 8월 25일에 떡전교사거리 경유에서 경희대입구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에 따라 거꾸로 돌아서 홍릉을 찍은 후, 청량리역 인근의 현대코아로 내려온다.
  • 2018년 10월 1일부터 평일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되어 평일 배차간격이 1분가량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0년 9월 21일 체육관로 구간이 8호선 별내선 구간 공사로 인해 장자대로37번길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0년 12월 1일 별내선 구간 공사 싱크홀 복구 작업이 어느 정도 완료되어 원래 노선인 체육관로 경유(하나아파트 앞)로 환원되었다.

4. 특징


  • 일반버스 6대, 저상버스 14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대원여객 노선 중 370번 다음으로 저상버스가 많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유이하게 구리시를 경유한다.[2] 또한 구리, 남양주권에서 둘뿐인 서울 도심행 노선이기도 하다. 다른 하나는 별내동 지역(별내신도시)에서 운행하는 202번.
  • 러시아워에는 전철 이용시 회기역에서 환승해야 하는 데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배차간격이 15분으로 짧은 편이 아니라는 이유로 종로까지 편하게 가려는 구리 시민들이 제법 있지만, 망우로왕산로가 미칠 듯 연속되는 신호대기+추월차로 부족이라는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보니 전철이 모두 끊긴 심야를 제외하면 경의중앙선에 맥을 못 추는 편. 경희대입구 경유 이후로 이런 현상이 더욱 고착화되었다.
  • 서울 시내에서는 종각에서 종로, 동대문, 청량리를 잇는 왕도를 걷다가도 구리시 돌다리를 넘어가면 마을버스 수준으로 수택동을 한 바퀴 도는데, 장자대로 구간을 빼면 전반적으로 도로 폭이 좁고 불법주차 차량이 많아 항상 정체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그렇게 빠르지 않다. 구리 아파트단지(수택3동) 일대에서 서울 도심을 갈 땐 51번을 타고 청량리역에서 갈아타는 게 상대적으로 빠르며, 수택1, 2동(구리/남양시장) 일대에서는 마을버스를 타고 구리역으로 가서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또한 종점인 구리영업소 근처나 순환 구간 초입에 있는 토평지구 일대에서는 오히려 91번이나 1650번 등을 타고 광나루역이나 강변역 등에서 지하철로 갈아타는 것이 201번보다 빠르다.
  • 하지만 첫차가 새벽 4시고, 막차도 기점 기준 자정으로 매우 늦어서 심야 및 새벽 시간대에 상당한 인기를 자랑한다. 특히 경의중앙선의 이른 막차 시간과 영 좋지 못한 배차간격 때문에 경의중앙선이 운행 종료될 경우 구리시 주민들이 절대적으로 애용하는 노선이 된다. 비록 남양주시는 커버가 안 되지만, 돌다리 정류장에서의 환승 수요까지 감안한다면 남양주시를 간접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3] 과거에 9205번이 경춘로 일대(도농 ~ 마석)를 직접 커버해 주기는 했지만. 아무튼 집에 들어가는 시간은 조금 늦어질지라도 구리시, 남양주시 시민들의 택시비 절감을 유도해 주는 빛과 소금같은 존재다.[4]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부터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구간은 261번, 262번과 비슷하다. 261번은 을지로 경유이며 262번은 똑같이 숭례문, 종로 경유이다(종로 구간까지 중앙차로 운행). 도로상황이 원활하며 서울역에 세 노선이 동시에 도착할 때에는 사람이 없는 노선을 타면 된다. 약 5분 가량의 오차는 생기지만 세 노선이 다시 만나는 흥인지문사거리까지는 거의 비슷하게 도착하는 편이다. 구리시 방향 운행시 남대문로에서 우회전으로 종로 진입이라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이후 103번, 262번과 함께 ‘종로2가(ID:01013)’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았다가 2018년 6월 18일부터 모두 정차하게 되었다.
  • 경희대에서 청량리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지만, 2020년 이후 3216번이 경희대로 연장하면서 경희대에서 청량리로 가는 노선은 2개가 되었다. 대신 역은 3216번만 경유.
  • 여담으로, 대원여객 차량 중, 사명폰트가 유일하게 HY헤드라인M체다. 중랑권인 대원교통의 영향을 받아 동일하게 적용된 것이라 예상된다. 이외의 대원여객 노선은 모두 HY울릉도B체. [5]

4.1. 노선 변경 이후


2011년 8월 25일 3분기 노선 개편 때 시조사삼거리 - 청량리역 직통 구간을 거꾸로 경희대학교 쪽으로 돌려 '''경희대입구, 홍릉 경유'''로 변경되어 청량리역에서 좌회전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덕분에 노선에 굴곡이 제대로 생겨서 구리시에서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가중시키게 되었다.[6]
다만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노선이 새로 생겨서 좋아하는 듯 하다. 정문으로 들어가지 않아도 동대문/종로와 경희대를 바로 이어 주는 중심축 노선이기 때문. 경희대학교 일대는 273번도 있지만, 이거는 청량리역으로 안 가고 홍릉에서 고려대학교로 빠진다. 게다가 273번은 종로까지 가는데 201번보다 좀 더 오래 걸린다. 거기에 경희대~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던 1215번이 2012년 3월 이후 폐선되어 대체 노선으로서의 역할도 커지게 되었다.
구리시, 망우로변에서 청량리, 종로, 서울역으로 갈 때나 그 반대로 갈 때 물어보고 타고 가려고 하면 홍릉, 경희대학교입구 경유로 돌아가므로 '''기사들이 먼저 말리기'''도 하니, '''되도록''' 이 버스를 타고 한번에 간다면 사전에 노선을 알고 물어보지 말고 바로 타고 가는 걸 권장한다. 롯데백화점 본점에서 9701번, 북창동에서 하차한 후 한국은행본부 앞에서 502번, 숭례문에서 700번, 707번, 9709번, 9714번 등의 막차와도 연계 가능하며 심야에 서울역이나 남대문시장, 명동 등지에서 미아로 쪽으로 갈 사람은 일단 이 노선을 타고 종로6가에 내려 효제초교 앞까지 450m가량 걸어가면 108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7] 동대문역 정류소에서는 9403번의 막차로도 환승 가능하다. 또한, 서울역부터 동묘앞역까지의 구간은 9301번과도 같이 움직이므로, 9301번 막차도 탈 수 있다.[8]
개편 전에는 '''55번(서울역행), 55-3번(동대문행)이 통합 3분 간격으로 경춘로 - 망우로를 휩쓸었다.'''[9]
이후 개편을 거치고, 서울승합 차량 양도와 노선 단축으로 55번은 청량리로 반토막나면서 2226번이 되고, 55-3번은 존치되었으나 상봉터미널-동원시장-겸재로 미경유로 변경되고 단계적으로 감차되었다.
그래도 개편 초에는 배차간격이 10분 이내로 나름 양호한 수준이었지만, 2004년에 종로 경유 서울역행으로 환원, 2005년/2008년 유상감차, 240번, 341번 신설로 인한 감차, 9503번 형간전환(542번), 370번 대원여객 이관, 의정부권 간선 증차 등을 이유로 여러 번의 감차를 거듭해 2014년경 이후로는 보통 15~30분 간격으로 10~15대가 운행한다. 자사 차량을 '''208대'''를 보유 중인데도 542번에 2대, 2312번에 1대, '''서울 버스 8331번으로 예비차 1대가 또 감차'''되는 등의 여파로 공휴일에는 배차간격이 30분 이상까지도 벌어지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환승할인을 못 받게 되는 일도 부지기수.
최근 경희대 구간의 승객 O/D가 안정화되면서 승객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음에도, 답이 없는 배차간격 때문에 승객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저상 의무화가 발령된 2018년 말 전까지는 업체에서 저상을 제외한 모든 버스를 좌석형으로 출고했기에, 입석이 상당한 러시아워때엔 승객들의 불만이 상당하다. 그런데 배차간격은 점점 늘어나고만 있다. 특히 구리, 중랑구~경희대 수요가 대부분이지만, 대부분 그 쪽 불만들이다.
수택차고지에 충전소가 없어서 가스 충전은 수택동에서 7~8km 떨어져 있는 도곡리에 가서 한다. 수택동차고지에서 약 7km정도 떨어져있는 중랑공영차고지의 용량포화로 인해 어쩔수 없이 도곡리로 공차회송을 하여 가스 충전을 하게 된다. 이는 배차간격 증가를 더 부채질하고 있다.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01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1,159명
-
2014년
10,701명
▽ 458
2015년
10,229명
▽ 472
2016년
9,501명
▽ 728
2017년
9,599명
△ 98
2018년
9,673명
△ 74
2019년
10,084명
△ 411
2020년
8,499명
▽ 1,585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A], 청량리역[10],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 서울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을지로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서울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A], 청량리역, 서울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춘선: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A], 청량리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 ITX-청춘[11]),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공항철도 직통열차)
==# 둘러보기 #==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4대 운행[2] 다른 하나는 1156번이지만, 1156번은 갈매지구(담터)를 경유한다. 정확하게는 202번, 1155번도 있지만 살짝 스치는 정도로 지난다. 2312번구리암사대교를 건너면서 살짝 지나긴 하지만 구리시내에 정차하는 정류장은 없다.[3]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주민들의 502번 같은 존재.[4] 이 노선 외 경춘로를 지나는 유사한 심야노선으로 30번, 65번, 166-1번, 1330-4번 등이 있다.[5] 현대자동차 신차에는 울릉도체가 적용되었다.[6] 직통으로 종로로 들어가고 싶다면 망우역부터 시조사삼거리까지의 중앙차로 정류소에서 내려 260번, 270번, 271번 등을 타면 된다. 종로 미경유이지만 경희대학교만 피해 가고 싶다면 서울 202번이나 105번도 상관없다(특히 명동이 목적지라면).[7] 단, 이 노선의 막차는 1:40을 전후하여 종로6가에 도착하는데, 대개 450m를 걸어서 이동할 때는 6~7분가량의 시간이 걸리는 만큼 108번 막차로의 환승이 100% 보장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8] 단, 실질적으로 같이 움직이는 정류장은 동대문까지다. 동묘앞역의 경우는 이 노선이 중앙 정류소에 정차할 때 하남 방면 9301번은 무정차 통과하므로 차이가 있다.[9] 당시 55-3번은 '''35대운행'''. 같은 KD 운송그룹인 5-1, 5-2를 합쳐도 55-3번 댓수에 못 미쳤다.[A] A B C 삼육서울병원 하차.[10] 현대코아 하차[11] 평일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