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동조대
Sprachbund (슈프라흐분트, 독일어)
言語同調帶 (한자)
원래 같은 계열이 아니면서도 서로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언어들을 이르는 말. 언어계의 수렴 진화라고 볼 수 있다. 러시아인 언어학자인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Николай Сергеевич Трубецкой, 1890년 4월 16일 ~ 1938년 6월 25일)가 고안한 '언어연합(языковой союз)'이라는 표현을 독일어 'Sprachbund'로 번역차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대표적인 예로 한자문화권, 즉 중국어와 한국어, 베트남어, 일본어를 들 수 있다. 이 언어들은 어휘의 60%이상을 공유하고 있으며[1] 베트남어에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성조가 존재하고 한국어도 중세에는 성조가 존재했었다.[2] 일본어에도 억양 개념이 존재한다. 하지만 문법적인 면[3] 을 포함해 기본적인 어휘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어족으로는 분류하지 않으면서도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공통점을 갖게 된 것.
중국의 경우는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태국보다 남쪽은 제외)의 언어들 중 중국 남부의 소수민족 언어들, 베트남어, 라오어, 태국어, 버마어 등과 함께 묶여 언어동조대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언어들 모두 단음절 고립어로 문법이 비슷하고 성조가 존재하며 티베트버마어파 쪽 언어들(주어-목적어-서술어) 빼고는 기본 어순도 주어-서술어-목적어로 비슷하다. 라싸에서 사용되는 표준 티베트어에도 성조가 존재한다.
이런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칸 반도 지역의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 루마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는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면서도 다른 어파에 속하지만 문법적인 특징을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다.
또한 헝가리어나 핀란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지만 주변의 인도유럽어(스웨덴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등)의 영향을 받아 어순이나 문법이 주변국의 언어와 비슷해진 경우에 해당한다.[4]
서유럽에서는 영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영어의 경우 독일어나 네덜란드어가 속해 있는 게르만어군에 속해 있어 기초 어휘나 문법에 있어서는 이들과의 유사성을 가지지만, 11세기 이후 프랑스어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게 되면서 어휘에 있어서는 라틴어+프랑스어 계열의 단어가 게르만어 계열 단어를 2배 이상 압도할 정도다. 반대로 프랑스어 역시 타 로망스어와 다르게 프랑크 왕국의 영향으로 게르만계 어휘가 전체의 20% 가량을 차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어는 '''가장 로망스화된 게르만어''', 프랑스어는 '''가장 게르만화된 로망스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이외에 인도의 인도-유럽계 언어들이 드라비다어족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유럽의 인도-유럽계 언어들과 다른 형태를 갖추게 된 경우나, 페르시아어가 아랍, 이슬람의 영향으로 아랍어의 요소들이 침투해 들어온 경우, 티베트어가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으로 같은 계통인 중국어와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등이 있다.[5]
터키어의 경우는 어휘를 넘어서 문법까지 인도유럽어족에 동화되었다. 원래 터키어에는 명사변화 요소가 없었지만 페르시아어와 접촉하면서 페르시아어식의 명사 소유격어미가 붙게 된 것.
알타이 제어의 경우에도 모음 조화와 같은 문법적 특징들이 같은 어족이 아니라 단지 언어동조대에 속할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言語同調帶 (한자)
1. 개요
원래 같은 계열이 아니면서도 서로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언어들을 이르는 말. 언어계의 수렴 진화라고 볼 수 있다. 러시아인 언어학자인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Николай Сергеевич Трубецкой, 1890년 4월 16일 ~ 1938년 6월 25일)가 고안한 '언어연합(языковой союз)'이라는 표현을 독일어 'Sprachbund'로 번역차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2. 사례
대표적인 예로 한자문화권, 즉 중국어와 한국어, 베트남어, 일본어를 들 수 있다. 이 언어들은 어휘의 60%이상을 공유하고 있으며[1] 베트남어에는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성조가 존재하고 한국어도 중세에는 성조가 존재했었다.[2] 일본어에도 억양 개념이 존재한다. 하지만 문법적인 면[3] 을 포함해 기본적인 어휘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어족으로는 분류하지 않으면서도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공통점을 갖게 된 것.
중국의 경우는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태국보다 남쪽은 제외)의 언어들 중 중국 남부의 소수민족 언어들, 베트남어, 라오어, 태국어, 버마어 등과 함께 묶여 언어동조대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언어들 모두 단음절 고립어로 문법이 비슷하고 성조가 존재하며 티베트버마어파 쪽 언어들(주어-목적어-서술어) 빼고는 기본 어순도 주어-서술어-목적어로 비슷하다. 라싸에서 사용되는 표준 티베트어에도 성조가 존재한다.
이런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발칸 반도 지역의 그리스어와 알바니아어, 루마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는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면서도 다른 어파에 속하지만 문법적인 특징을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다.
또한 헝가리어나 핀란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지만 주변의 인도유럽어(스웨덴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등)의 영향을 받아 어순이나 문법이 주변국의 언어와 비슷해진 경우에 해당한다.[4]
서유럽에서는 영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영어의 경우 독일어나 네덜란드어가 속해 있는 게르만어군에 속해 있어 기초 어휘나 문법에 있어서는 이들과의 유사성을 가지지만, 11세기 이후 프랑스어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게 되면서 어휘에 있어서는 라틴어+프랑스어 계열의 단어가 게르만어 계열 단어를 2배 이상 압도할 정도다. 반대로 프랑스어 역시 타 로망스어와 다르게 프랑크 왕국의 영향으로 게르만계 어휘가 전체의 20% 가량을 차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어는 '''가장 로망스화된 게르만어''', 프랑스어는 '''가장 게르만화된 로망스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
이외에 인도의 인도-유럽계 언어들이 드라비다어족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유럽의 인도-유럽계 언어들과 다른 형태를 갖추게 된 경우나, 페르시아어가 아랍, 이슬람의 영향으로 아랍어의 요소들이 침투해 들어온 경우, 티베트어가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으로 같은 계통인 중국어와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등이 있다.[5]
터키어의 경우는 어휘를 넘어서 문법까지 인도유럽어족에 동화되었다. 원래 터키어에는 명사변화 요소가 없었지만 페르시아어와 접촉하면서 페르시아어식의 명사 소유격어미가 붙게 된 것.
알타이 제어의 경우에도 모음 조화와 같은 문법적 특징들이 같은 어족이 아니라 단지 언어동조대에 속할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3. 관련 문서
[1] 물론 발음은 다 다르지만, 한자 표기가 동일하다는 의미이다.[2] 한국어에도 경상도의 동남 방언과 함경도의 동북 방언에는 지금도 중세 한국어의 흔적인 성조가 남아있다.[3] 예외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법 체계는 굉장히 흡사하다. 그래서 에도시대부터 지금까지 같은 계통의 언어라는 설은 지지하는 사람이 많다. 다만 고유어의 어휘가 큰 차이를 보여서 같은 계통으로 인정받지 못하고있다.[4] 핀란드어의 경우 고정된 어순은 없지만 스웨덴, 독일 등 주변국의 언어와 비슷한 어순, 또는 영어와 비슷한 어순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영어위키백과의 주어-서술어-목적어(SVO) 어순 항목 참조. 헝가리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SOV)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주어-서술어-목적어의 순서를 가진다. 또한 어휘에 있어서도 주변 언어들을 포함,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의 단어도 어느 정도 차용하기도 했다.[5] 하지만 중국어와 차이나는 어순(중국어는 주어-서술어-목적어, 티베트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의 경우 티베트어 뿐만 아니라 티베트-버마어파 대다수에 해당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산스크리트에서 유입된 특성은 아니다. 오히려 원시 중국어가 타이, 몽 등 다른 어족과 언어동조대를 형성하면서 현재의 어순으로 바뀌었으리라 추측하는 연구자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