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인운수

 



1. 개요
2. 운행 노선
2.1. 간선버스
2.2. 지선버스
3. 폐선된 노선
3.1. 2004년 개편 이전
3.2. 2004년 개편 이후
4. 사건사고
5. 면허 체계
6. 보유차량


1. 개요


1970년 11월 1일에 영등포합승(이후 영일교통, 현 보성운수)에서 양남동 영업소가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서울특별시 강서구 발산1동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여러 업체 중 하나다. 과거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개편 때 메트로버스에 출자한 경력이 있으며 이후 2010년에 컨소시엄을 구성한 업체 중 송파상운과 더불어 탈퇴했다. 참고로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영인면과는 무관하다.
현대버스와 대우버스를 고루 뽑던 회사였는데 2008년 이후로는 현대버스로만 뽑고 있다. 2012년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일부 2002~2006년식과 자체 출고분인 2007년식 대우차도 들여왔지만, 지금은 모두 대차했다. 외발산동 방화사건 이후로 소실된 버스 모두를 현대차로 뽑으면서 현대차의 비중이 늘어났다.[1][2]
차고지내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어 개화동의 강서공영차고지로 원정을 가고, 운휴차량들도 강서공영차고지에 주박하기도 한다. 외발산동 방화사건 때도 임시차고지와 정비소도 강서공영차고지를 이용했다.
1990년대에 한창 자동변속기 버스 출고가 유행일 때, 한국에선 상당히 보기 드문 호이트(Voith)제 자동변속기를 달았다. (61-1번, 122-1번)
2010년 이전에는 세 노선(650번, 6628번, 6630번)을 보유했고 모두 목동사거리-김안과병원까지 동일했다.

2. 운행 노선



2.1. 간선버스


  • 서울 버스 653: 외발산동 - (→ 대한항공.메이필드호텔 → 강서면허시험장.메이필드호텔 →/← 강서면허시험장.메이필드호텔 ←)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화곡역 - 까치산역 - 서서울호수공원 - 서부트럭터미널.신정동동일하이빌아파트 - 개봉역 - 구일우성아파트 → 디지털3단지운동장 → 디지털3단지.(주)로옴코리아 →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일우성아파트 (신길운수와 공동배차) (신설노선)

2.2. 지선버스



3. 폐선된 노선



3.1. 2004년 개편 이전


  • 61(좌석): 외발산동-신월동-목동-영등포시장-마포-충정로-광화문-시청앞을 운행하던 노선. 5호선 개통 후 122-1번으로 형간전환 및 영등포역 경유 여의도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단축 및 변경.
  • 61-1(좌석): 외발산동-신월동-목동3,4단지-성산대교-연세대-충정로-광화문-시청앞을 운행하던 노선. 5호선 개통 후 수요 감소로 2000년대 초 폐선. 추후 화곡교통(현. 양천운수) 328-1번 버스가 목동3,4단지 구간 운행. 2004년 개편 이후 328-1번도 폐선. 674번 신설로 곰달래길-목동3,4단지 노선버스로 이동 가능.
  • 105: 공항버스가 운행했던 105번 아님. 상마운수가 부도로 노선매각시 102번을 인수하여 105번으로 운행. 추후 6630번과 5612번으로 개편.
  • 122: 외발산동-신월동-목동-영등포시장-동작구청-숭실대입구-서울대입구-낙성대 구간 운행. 추후 650번 간선으로 개편되며 화곡역, 강서구청, 대일고 경유로 노선 변경.
  • 122-1: 61번(좌석)의 형간전환 노선. 적/청 구분하여 적색은 강서농수산물시장을 경유하였고 청색은 철탑로(신월사거리~신원중학교) 경유. 추후 6628번으로 개편.

3.2. 2004년 개편 이후



4. 사건사고


  • 2013년 1월 15일 새벽 3시경에 이 회사의 발산1동 차고지에서 화재가 발생해 버스 38대가 전소되었다. 화재의 원인은 방화였으며 범인은 이 회사의 전직 버스 기사였다고 한다. 상세한 내용은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에서 확인할 것.
  • 2017년 12월 28일 오전 9시 40분경 등촌동의 공사현장에 넘어진 크레인이 650번 6378호 2013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차량을 덮치면서 버스 승객 2명과 행인 2명이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버스승객 1명은 병원으로 옮겼으나 끝내 숨졌다. 상세한 내용은 강서구청 사거리 크레인 전복 사고에서 확인할 것.

5. 면허 체계


  • 서울 706378
  • 서울 708153호 ~ 8155
  • 서울 711828호, 1832
  • 서울 712201호 ~ 2206
  • 서울 712219호 ~ 2238
  • 서울 743025
  • 서울 744931, 4971
  • 서울 746848호 ~ 6850
  • 서울 746852
  • 서울 746857호 ~ 6858
  • 서울 746861
  • 서울 746866
  • 서울 746868호 ~ 6869
  • 서울 746876호 ~ 6882
  • 서울 746888호 ~ 6889
  • 서울 746891호 ~ 6893
  • 서울 746895호 ~ 6897
  • 서울 746899호 ~ 6926
  • 서울 746930호 ~ 6936
  • 서울 749311, 9325, 9338, 9348, 9385
  • 서울 749685, 9686, 9688, 9699
  • 서울 749716, 9722, 9726, 9735, 9760, 9762, 9779
  • 서울 752616호 ~ 2619
  • 서울 752940, 2941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6.2. 과거 보유차량



6.2.1. 현대자동차



6.2.2. 자일상용차



6.2.3. 기아



[1] 사실 대우버스는 주문제작이라 주문이 들어오지 않으면 제작을 안 하는데 반해 현대자동차는 미리 생산하고 주문이 들어오면 전착도장 형식으로 바로 들어오기 때문에 급하게 가져와야 할 경우 현대자동차가 유리하다.[2] 그 중 71사 2227, 2233호 2대는 서울시내버스 최초로 현대 플라스틱 시트로 적용된 일반차량을 출고했다. 다만 후술할 화재 사건으로 취소분을 들여온 차량으로 자체 출고로는 동아운수가 최초다. 현재 6628번에 2233호, 6630번에 2227호(예비) 운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