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시덴탈리즘

 


1. 개요
2. 유형
3. 관련 항목


1. 개요


Occidentalism: The West in the Eyes of its Enemies
아비샤이 마갈릿(Avishai Margalit)과 이안 브루마(Ian Buruma)가 공저한 저서. 이 책에서 작가는 '''여러 (아시아를 비롯한) 비서방권 국가가 "적" 서양에 대한 적의적인 이미지, 지양해야 할 사회 전형으로 바라보는 다양한 (그리고 상호 모순되는) 관점'''을 옥시덴탈리즘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서양 사회의 인간을 영혼이 없고 기계적이며 변질된 가치관에 종속된 존재로, 또 자국의 문화를 그것을 초극할 대안으로 규정한다.

2. 유형


일본 제국이 아시아주의, 대동아공영권 등의 아시아적 가치를 강조한 것이나, 동유럽유대인들이 서유럽의 "기계적인" 독일인들과 자신의 고유한 문화를 대비시킨 것 등이 포함된다.
재미있는 건 처음부터 동양 국가에서 주장된 건 아니고 오히려 같은 서양 국가이면서도 프랑스, 영국 등의 문화나 민주주의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던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등에서 옥시덴탈리즘의 기원이 나왔다는 것.
"옥시덴탈리즘"이란 용어는 2001년, 천샤오메이(Xiaomei Chen)의 <옥시덴탈리즘-마오쩌둥 이후 중국의 대항담론>에도 등장하여,[1] 해당 저술은 옥시덴탈리즘 (Occidentalism) 개념을 기초로 마오쩌둥 이후 중국의 문화, 정치 담론을 분석하며 타자로서의 서구가 지배담론과 대항담론 속에서 각기 어떻게 등장하고 다뤄지는지를 고찰했다.
이를 통해, 천샤오메이는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개념이 지적하는, 세계적 범위에서의 서구적인 것과 비서구적인 것 사이의 지배-종속관계와는 반대로, 비서구 사회 자체 내부에서는, 종종 토착지배세력이 "뒤집어진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정치적 억압이나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반대로 "서구적인 것"이 그러한 민주주의나 사회적 평등을 주창하는 대항담론의 자원이 되는 역설을 지적,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개념이 세계적 차원에서의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관계만을 일면적으로 강조함으로서, 자칫 비서구 사회 자체 내에서 진행되는 실제적인 사회적 과정을 왜곡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옥시덴탈리즘은 비서구 국가의 지배세력이 자국 내의 민주화 요구 등을 제압할 때 자주 보이는 현상이기도 하다. 가령 2015년 기준으로도 아직 전제군주제 체제를 고수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왕실의 경우, 근대 헌법을 제정하라는 비판에 대응할 때마다 펴던 논리가 "헌법은 서구의 산물이며 따라서 서구에만 알맞는 것이다"는 논리였다. 형식적으로 서구식 민주주의를 받아들인 것처럼 보이는 싱가포르 역시 리콴유의 주장에서 전형적인 옥시덴탈리즘적 사고관을 읽을 수 있다. 수없이 많은 규제들과 언론 통제, 감시 등을 '아시아적 특수성'이란 이름으로 정당화했다. 이 때문에 민주주의의 보편성을 설파한 김대중과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10월 유신을 정당화하던 '''한국적 민주주의론''' 등도 이에 포함된다. IMF 외환위기 이전만 해도 개인주의를 서구의 퇴폐적 풍습으로 취급했던 사회적 분위기나, 근대 이전까지 동아시아가 서구에 비해 압도적 우위에 있었다는 세간의 잘못된 인식 또한 일종의 옥시덴탈리즘이라 할 수 있다. 심지어 근대 이전까지는 문명의 흐름이 동아시아에서 서구로 흘러 들어갔다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펼치는 사람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그리스-로마, 토하라인 등을 보면 이게 개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좌파적 가치를 서구적이라고 간주하는 것도 일종의 옥시덴탈리즘이다. 비서구 국가들의 우파단체들은 성소수자인권, 성적 자유주의, 페미니즘, 사회주의, 다문화주의를 서구적이라고 하면서 배척하면서 민족주의, 국가주의, 자본주의는 전통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를 알면 민족주의, 자본주의도 서구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한국사에서는 일제강점기 초기의 독립운동가들 중 몇몇이 태평양 전쟁 직후 일본에 협력한 원인 중 하나로 옥시덴탈리즘이 지목되기도 한다. 1930년대까지는 한국이 일본과 다시 분리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이 연합국에 패전할 경우 '''한국의 지배권이 서양 국가에게 넘어간다고''' 생각하여 일본에 협력한 것이다. 이승만 같이 미국에 살고 있던 독립운동가들이나 여운형처럼 국제정세를 제대로 보고 있던 독립운동가들은 미국 등 서구가 일본을 몰아내고 한국을 독립시켜 준다고 확신하여 미국에 협조하였고, 결과적으로 그들의 판단이 맞았다.

3. 관련 항목


[1] Occidentalism: A Theory of Counter-discourse in Post-Mao China, 국내 출간명 <옥시덴탈리즘>[2] 다만 자본주의는 몰라도 민족주의, 국가주의와 비슷한 관념은 동북아 삼국, 특히 중앙집권의 역사가 긴 한국과 중국서는 꽤 오래 전부터 존재해오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