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a
Shche ne vmerla Ukrayina'''

[image]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작사가'''
'''Павло Чубинський
파울로 추빈스키'''
'''작곡가'''
'''Михайло Вербицький
미하일로 베르비츠키'''
'''곡이 쓰여진 해'''
'''1862년'''
1. 개요
2. 가사
3. 동영상
4. 기타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국가.
이 곡은 우크라이나의 민속학자인 파울로 추빈스키(Павло Платонович Чубинський, 1839년 1월 27일 ~ 1884년 1월 29일)가 1862년 발표한 시에 음악가 미하일로 베르비츠키(Михайло Михайлович Вербицький, 1815년 3월 4일 ~ 1870년 12월 8일)[1]가 1863년 곡을 붙이면서 탄생되었다. 추빈스키는 당시 불어닥치던 슬라브 민족주의[2]에 영감을 받아 시를 써내려 갔다고 한다.
추빈스키의 시는 쓰자마자 우크라이나인들에게 널리 퍼지게 되었으며 1년 뒤인 1863년 리비우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잡지인 메타(Мета)에 실렸다. 곧바로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이 시는 매우 유행하게 되었다. 이에 시에 신부였던 베르비츠키는 시에 어울리는 곡을 만들기로 결심하였고 1864년 리비우에서의 초연을 시작으로 1865년 추빈스키의 시에 베르비츠키의 곡을 붙인 악보가 발간되면서 우크라이나의 국가가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당연히 당시 우크라이나를 다스리던 러시아 제국높으신 분들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고취시키는 이 노래를 심히 불편해하셨다. 곡을 작사한 추빈시키는 1862년 10월 "농민들에게 부정적 사고를 퍼뜨린다." 라는 이유로 체포되어 아르한겔스크로 추방되어 7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는등 고생을 하다 말년에는 경제적으로도 파산하는 궁핍한 생활을 하다가 1884년 사망하였다. 러시아 당국은 이 노래를 금지곡으로 지정하였고 때문에 이 노래는 우크라이나 본토보다는 오스트리아-헝가리[3]에서 유행하였다.
처음 국가로 제정된 것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1917-1920) 시기였고[4],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외에도 단명한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1918-1919), 1939년 잠시 수립된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공화국[5]이 이 곡을 국가로 사용했었다. 하지만 러시아 내전의 결과 소비에트의 붉은 군대가 우크라이나를 장악하고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립되면서 이 곡은 다시 탄압을 받게 되었다. 소련을 구성하는 공화국은 공화국 만의 국가를 가질 수 있었으나 이 곡은 우크라이나 분리주의를 고취시킨다는 이유로 소련은 이 곡을 금지곡으로 지정했으며 파울로 티치나(Павло Григорович Тичина 1891년 2월 23일 ~ 1967년 9월 16일)가 작사하고 안톤 레베디네치(Антон Дмитрович Лебединець, 1895년 1월 7일 ~ 1979년 3월 17일)가 작곡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ської Радянської Соціалістичної Республіки)가 사용되었다. 본래 쓰이던 국가로 환원된 것은 소련 해체 직전인 1991년 12월 5일의 일이었다.
본래는 3절까지 가창하였으나, 2003년 3월 6일부터 1절만 가창하고 있으며, 가사가 일부 변경되었다.[6] 그러나 어찌된 영문인지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2003년 이전 가사를 훨씬 더 많이 쓰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몇 안되는 단조로 된 국가 중 하나이다. 단조로 된 국가를 쓰는 다른 나라로는 터키,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타지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이스라엘, 카자흐스탄, 몬테네그로 등이 있다. 또한 과거 대한제국의 국가였던 대한제국 애국가도 단조로 되어 있었다.

2. 가사


우크라이나어
해석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 і слава, і воля,
Ще нам, браття молодії, усміхнеться доля.
Згинуть наші воріженьки, як роса на сонці.
Запануєм і ми, браття, у своїй сторонці.
후렴
Душу й тіло ми положим за нашу свободу,
І покажем, що ми, браття, козацького роду
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자유는 사라지지 않으리라.
형제들이여, 운명은 그대들에게 미소짓고 있도다.
우리의 적들은 아침 태양의 이슬처럼 사라지리라,
그리고 우리는 형제의 땅에 자유롭게 살게 되리라.
후렴
우리의 자유를 위하여 우리의 몸과 영혼을 희생하자,
그리고 우리는 코사크족의 피를 이어받은 형제임을 보여주리라.
보다시피 상당히 슬픈 노래다.
다른 언어 버전도 있다![7]

3. 동영상





오케스트라 버젼


13초부터


이 동영상 제목에 의하면 2017년 9월 4일 우크라이나 TV에서 나왔다고 하며, 돈바스 전쟁 때문인지 우크라이나의 현대사를 연도별로 하나 하나 보여주고 있다. 26초부터 나온다.[8]

락 버전

4. 기타


우크라이나 극우가 불타 죽은 러시아인 계열 우크라이나인 옆에서 우크라이나 국가를 부르는 동영상이 퍼져 파문이 일은 적이 있다.
2015년 우크라이나 내전 당시 도네츠크 국제공항 함락 직전 우크라이나 정부군이 마지막으로 노래부르는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군의 마지막 순간(PTSD 주의)[9]

[1] 본래는 동방 가톨릭 교회의 일파인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소속의 신부이다.[2] 세르비아에서 온 자신의 제자들이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곧바로 영감이 떠올랐다고 한다.[3] 갈리치아, 볼히니아 일대에 상당한 수의 우크라이나인이 살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러시아보다 사상의 표현 분야에서 훨씬 자유로웠기 때문이다. 최초로 시가 발표된 곳이자 초연을 벌인 리비우가 바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영토.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그 중에서도 갈리치아, 볼히니아가 속한 시스라이타니아는 다른 국가보다 소수민족의 대우가 나았으며 다양한 사상의 표현에 관대한 곳이었다.[4] 다만 단독 국가는 아니었고 여러 노래들과 같이 공동 국가였다.[5] 본디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의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주로 뮌헨 협정의 결과 자치주가 되었다. 1939년 3월 15일 체코가 나치 독일에게 합병되자 독립을 선언했으나 그날 바로 헝가리군이 침공해서 헝가리의 일부로 합병되었다.[6] 가사 첫 구절인 "우크라이나는 자유도 영광도 사라지지 않으리라(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ні''' слава, '''ні''' воля)"가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라(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 '''і''' слава, '''і''' воля)"로 바뀌었다.[7]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그리스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가가우즈어, 아르메니아어, 크림 타타르어, 로마니어, 조지아어, 아제르바이잔어 [8] 이 동영상에서 나온 특정한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소련 해체 - 1992년 화폐 발행(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1996년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발행 - 2001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우크라이나 방문 - 2004년 우크라이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1번째 우승) - 오렌지 혁명 - 2005년 우크라이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개최 - 2007년 폴란드와 함께 유로 2012 개최 확정 - 2009년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UEFA 유로파 리그(당시 UEFA 컵) 우승 - 2012년 유로 2012 개최 - 2013년~2014년 유로마이단, 돈바스 전쟁 - 2016년 우크라이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2번째 우승) 그 외에는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이 축구 경기하는 장면이나, 체스를 두거나, 비행기나 기차를 자랑하거나, 회의를 하거나, 콘서트가 열리는 등 자국의 자랑거리들을 나오게 한다. 하지만 가장 많이 나오는 것은 역시 우크라이나군 자랑. 사실 다른 나라도 이렇기는 하다.[9] 처절하게 국가를 부르다가, 전선 바깥에서 적군의 포성이 들려 움츠러들자 분대장으로 추정되는 누군가의 제안으로 "'''푸틴 ㅅㅂ!'''"로 바꿔 외쳐대며 끌어올리고, "'''저 좆같은 러시아놈들한테 갈겨!'''"라는 발포 명령에 따라 잔탄을 모조리 소모하면서 영상이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