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참모부
1. 개요
국가의 군령권을 담당하는 참모본부로 주로 공산국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2. 북한의 총참모부
총참모부는 인민무력부 산하로 총참모장 휘하에서 군사작전을 지휘하는 군령권을 행사한다. 한국군의 합동참모본부에 해당하는 조직이지만, 바로 대입시키기는 힘들다. 육군은 총사령부가 없기 때문에 군 내 최고 편제인 군단들을 각 군단장들이 직접 지휘하고, 해군과 공군은 각기 독자적인 사령부가 휘하 부대들을 지휘한다. 따라서 총참모부는 육군의 군단장들+해군과 공군의 사령관들을 동시에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군령권을 가지고 군사 작전을 전부 담당하기 때문에 평시에 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는 기구이고 전시에는 군사 작전에 관한 실질적인 총사령부인 조직이다.
덕분에 상위 기관이면서 군정권만 가진 인민무력부보다 더 실세로 볼 수 있다. 특히 김정일 시대에 국방위원회의 최고 군사 기구화와 선군정치를 거치면서 성장하면서 인민무력부보다 더한 위세를 가진 기구로 여긴다. 상술했듯이 인민무력부장이 공석인 상황에서 총참모부가 국방위원회에 직접 보고를 할 정도. 이렇게 국방위원회가 직접 군대를 통제하기 위해 군정기구인 인민무력부를 약화시키고 총참모부가 대신 국방위원회의 직접적인 명령을 받게 되어 군령권을 넘어서서 선군정치의 핵심이자 선두가 되었다. 실질적인 '''북한군의 대표기구.'''
다만 김정은이 집권한 이후로 인민무력부는 물론이고 총참모부의 권한도 점차 약해지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김정일 집권 후반기부터 계속 총참모장을 역임했던 리영호가 숙청 혹은 실각당한 뒤 뒤이어 부임한 현영철이 임기 중 차수에서 대장으로 강등당했는데, 이후 부임한 김격식과 리영길도 대장 계급인 채로 총참모장을 맡고 있다. 반면 후술할 총정치국장의 경우 차수 계급을 달고 부임한 최룡해가 잠시 대장으로 강등당하기는 했지만 얼마 뒤 다시 차수로 재진급했고, 최룡해가 해임된 2014년 5월에도 후임 황병서가 대장에서 차수로 고속 승진하여 총정치국장을 맡았기 때문에, 총정치국장의 계급과 위상이 인민무력부장과 총참모장을 능가하는 수준을 유지했다.
2016년 들어 대외 과시용 군사훈련이 잦아지면서 다시 군부의 위상이 높아지는 모습이 관측되었고, 김일성의 104회 생일 직전인 2016년 4월 14일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중앙군사위원회, 북한 국방위원회 공동 명의로 총참모장 리명수의 계급을 대장에서 차수로 진급시킨다는 공식 발표가 나오면서 총참모장과 총정치국장이 동일한 차수 계급을 보유하게 되었다.
- 역대 총참모장 (재임 기간 옆의 계급은 재임 당시의 것임)
2.1. 조직
2.1.1. 지휘부
2.1.2. 작전총국
- 기능 : 정찰총국과 함께 총참모부의 이원체제를 구축하며, 군사훈련과 대남작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 제1처 : 행정에 관한 업무 담당
- 제2처 : 최고사령부의 명령을 직접 수행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 제3처 : 전방 군단급 부대 담당 (1, 2, 4, 5군단)
- 제4처 : 후방 군단급 부대 담당 (후방 8개 군단)
- 제5처 : 경보병여단, 저격여단, 정찰여단 등 특수 부대 담당
- 제6처 : 항공 및 반항공군 담당
- 제7처 : 해군부대, 동해사령부, 서해사령부 담당
- 제8처 : 총참모부 직속 각 국 담당
- 제9처 : 사단급 부대 이상 군사 훈련 담당
- 보도처 : 판문점대표부 담당
2.1.3. 정찰총국
- 기능 : 작전총국과 함께 총참모부의 이원체제를 구축한다.
- 성격 : 합동참모회의, 전시최고사령부
- 구성 : 14국 48부
- 주둔지
2.1.4. 비축 저장소
2.1.4.1. 제1저장고
2.1.4.2. 제2저장고
2.1.4.3. 제3저장고
2.1.4.4. 제4저장고
- 평양시 청룡산 지하
- 구조
- 5만톤급 연료 5개
- 철제 용기 설치
- 규모
- 기본 폭 9m, 높이 4.5m, 길이 600m
- 지하터널방식
- 입구 기본 2개소 이상
2.1.5. 주요 지휘소
2.1.5.1. 철봉각 지하 지휘소
- 기능 : 최고 사령부 야전 지휘소
- 시설
- 12m 하강, 폭 9m, 높이 4.5m, 길이 600m 궁전시설,
- 아연도장벽면, 방사선차단시설
- 위치
- 구조
- 묘향산 제55호 관저와 지하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 여담
- 주요 지휘관 120명으로 구성된 작전조가 편성되어 있다.
- 1개 연대급 병력이 지휘소 경비를 전담하고 있다.
2.1.5.2. 국방성(북한) 지휘소
2.1.5.3. 군단급 지휘소
- 공군 사령부 : 평양시 중화군 마장산 지하
- 해군 사령부 : 평양시 형제산구역 서포동 봉수산 지하
- 방공 사령부 : 평양시 만경대구역 선내동 선내산
- 제108기계화군단 : 함경남도 영광군
- 제425기계화군단 : 평안북도 정주시
- 제806기계화군단 : 강원도 원산시, 회양군
- 제815기계화군단 : 황해남도 사리원시
- 제620강동포병군단 : 황해북도 신계군
- 제820전차군단 : 황해남도 사리원시
호위사령부 : 평양 모란봉구역 북새동 칠성문동 일명 모래터
수도방어군단 : 평양 삼석구역 사동구역 삼마동 주둔
평양방어사 : 평양 삼석구역 사동구역 삼마동
보위사령부 : 평양 대성구역 미산동 룡북동, 야전 : 백족산지하 → 5Km, 철봉각지휘소연결
국가보위성 : 평양 서성구역 연못동22층건물, 창광산여관안가, 평양 모란봉구역 별도청사
인민보안성 : 평양 서성구역 연못동
전략사령부 : 평남 성천군 백원리, 평양 만경대구역에서 이전
평양방공사령부 : 항공반항공사령부내주둔, 평양만경대선내산지하주둔
핵화학방위국 :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인민무력부청사
특수군지휘소 : 평남 덕천시 군단사령부주둔
육군지휘소
제 1군단 : 강원 회양군 철령(표고 1677m), 예비 : 강원 금강군 지구동령(표고 932m)
제 2군단 : 황북 평산군 멸악산(표고 818m), 예비 : 황북 봉천군 주지봉(표고 813m)
제 3군단 : 남포 용망군 양곡리, 예비 : 황남 은율군 구월산(표고 954m) 지하
제 4군단 : 황남 해주시 수양산(표고 946m), 예비 : 황남 옹진군 국사봉(표고 527m)
제 5군단 : 강원 평강군 이목리(표고 623m), 예비 : 강원 평강군 오성산(표고1050m)
제 7군단 : 함남 함흥시 동여산, 예비 : 함남 함주군 사수산(표고1752m)
제 8군단 : 평남 양덕군 하람산(표고1485m), 예비 : 황북 신평군 석암리살봉(표고1181m)
제 9군단 : 자강 강계시 두흥리(표고1241m), 예비 : 자강 초산군 문덕리 백피봉(표고982m)
제10군단 : 함북 경성군 관모봉(표고2540m), 예비 : 함북 어랑군 백사봉(표고1478m)
제11군단 : 평북 의주군 각구봉(표고 668m), 예비 : 없음
제12군단 : 황북 사리원시 정방산(표고 481m), 예비 : 황북 서흥군 부인당산(표고 659m)
예비지휘소 없음 : 전차군단, 기계화군단, 포병군단
수도방어군단 : 평양 삼석구역 사동구역 삼마동 주둔
평양방어사 : 평양 삼석구역 사동구역 삼마동
보위사령부 : 평양 대성구역 미산동 룡북동, 야전 : 백족산지하 → 5Km, 철봉각지휘소연결
국가보위성 : 평양 서성구역 연못동22층건물, 창광산여관안가, 평양 모란봉구역 별도청사
인민보안성 : 평양 서성구역 연못동
전략사령부 : 평남 성천군 백원리, 평양 만경대구역에서 이전
평양방공사령부 : 항공반항공사령부내주둔, 평양만경대선내산지하주둔
핵화학방위국 :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인민무력부청사
특수군지휘소 : 평남 덕천시 군단사령부주둔
육군지휘소
제 1군단 : 강원 회양군 철령(표고 1677m), 예비 : 강원 금강군 지구동령(표고 932m)
제 2군단 : 황북 평산군 멸악산(표고 818m), 예비 : 황북 봉천군 주지봉(표고 813m)
제 3군단 : 남포 용망군 양곡리, 예비 : 황남 은율군 구월산(표고 954m) 지하
제 4군단 : 황남 해주시 수양산(표고 946m), 예비 : 황남 옹진군 국사봉(표고 527m)
제 5군단 : 강원 평강군 이목리(표고 623m), 예비 : 강원 평강군 오성산(표고1050m)
제 7군단 : 함남 함흥시 동여산, 예비 : 함남 함주군 사수산(표고1752m)
제 8군단 : 평남 양덕군 하람산(표고1485m), 예비 : 황북 신평군 석암리살봉(표고1181m)
제 9군단 : 자강 강계시 두흥리(표고1241m), 예비 : 자강 초산군 문덕리 백피봉(표고982m)
제10군단 : 함북 경성군 관모봉(표고2540m), 예비 : 함북 어랑군 백사봉(표고1478m)
제11군단 : 평북 의주군 각구봉(표고 668m), 예비 : 없음
제12군단 : 황북 사리원시 정방산(표고 481m), 예비 : 황북 서흥군 부인당산(표고 659m)
예비지휘소 없음 : 전차군단, 기계화군단, 포병군단
- 지휘소갱도 : 로농적위대 청년근위대 교도대 군사작전지휘통신, 해당당위원회관리
제 1호갱도 : 김일성,김정일동상, 1호물자보관, 해당당위원회민방위부관리
제66호갱도 : 반항공경보시전체주민대피, 시보안서호안과관리
제 2호갱도 : 전시식량보관, 책임비서직속 2호관리소관리 → 전연군단소진
제 4호갱도 : 전시필요건설자재보관, 시도군관리 → 평양 려명거리, 신도시건축소진
연유창갱도 : 전시연료저장, 군부대, 시도군연유공급소, 군수동원총국관리
화약고갱도 : 화약보관, 시도군보안서호안과, 군수동원총국관리
전략예비물 : 전략예비물자보관 군수동원총국관리
제16호갱도 : 전시의약물품보관 군수동원총국관리
공장후보지 : 전시군수물자생산 공장기업소군수품직장관리
전시예비물 : 김일성시기 36개월분 → 김정일시기 6개월분 → 김정은시기 축소운영
제66호갱도 : 반항공경보시전체주민대피, 시보안서호안과관리
제 2호갱도 : 전시식량보관, 책임비서직속 2호관리소관리 → 전연군단소진
제 4호갱도 : 전시필요건설자재보관, 시도군관리 → 평양 려명거리, 신도시건축소진
연유창갱도 : 전시연료저장, 군부대, 시도군연유공급소, 군수동원총국관리
화약고갱도 : 화약보관, 시도군보안서호안과, 군수동원총국관리
전략예비물 : 전략예비물자보관 군수동원총국관리
제16호갱도 : 전시의약물품보관 군수동원총국관리
공장후보지 : 전시군수물자생산 공장기업소군수품직장관리
전시예비물 : 김일성시기 36개월분 → 김정일시기 6개월분 → 김정은시기 축소운영
- 전자정찰전력 :
기구정찰중대 : 총참모부직할
무선통신중대 : 경보병여단
전자전국예하 : 전자전연대 1개
전연군단예하 : 전자전대대 4개
무선통신중대 : 경보병여단
전자전국예하 : 전자전연대 1개
전연군단예하 : 전자전대대 4개
- 지휘자동국 :
제 31호 기술정찰소 : 해킹프로그램개발
제 32호 기술정찰소 : 군관련프로그램개발
제 33호 기술정찰소 : 사회일반심리전
제 56호 기술정찰소 : 지휘통신프로그램개발
제 32호 기술정찰소 : 군관련프로그램개발
제 33호 기술정찰소 : 사회일반심리전
제 56호 기술정찰소 : 지휘통신프로그램개발
- 적공국
제204소 : 남한군, 시민상대 심리전→농협해킹
- GPS 교란전파부대
개성,금강산,해주지역
연안,평강지역
연안,평강지역
- 핵화학방위국 : 제550군부대 총참모부산하
창설일 : 1991년 3월 김정일지시 창설
주임무 : 핵화생방전 업무전담
군단별 : 화학부설치, 반핵반원전분석소, 화학대대설치
해공군 : 반핵반원자분석소, 화학대대설치
연대급 : 화학소대운영
지휘부 :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인민무력부청사
주둔지 : 인민무력부 8호 청사
별칭 : 550군부대
예하부서 : 화생연구소, 화생제공장, 중앙화학공급창
편제 : 화학정찰대, 화염방사기
보유량 : 13개종, 화학무기 5,000톤
주임무 : 핵화생방전 업무전담
군단별 : 화학부설치, 반핵반원전분석소, 화학대대설치
해공군 : 반핵반원자분석소, 화학대대설치
연대급 : 화학소대운영
지휘부 :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인민무력부청사
주둔지 : 인민무력부 8호 청사
별칭 : 550군부대
예하부서 : 화생연구소, 화생제공장, 중앙화학공급창
편제 : 화학정찰대, 화염방사기
보유량 : 13개종, 화학무기 5,000톤
제 1작전부 :
예 하 : 8개 대대(현역 2개 대대, 예비역 6개 대대)
제13핵화학방위대대 : 함흥비날론연합기업소 주둔, 예비역편성
제14핵화학방위대대 : 순천비날론연합기업소 주둔, 예비역편성
제15핵화학방위대대 : 예비역편성
제16핵화학방위대대 : 안주 남흥화학공장 주둔, 예비역편성
제17핵화학방위대대 : 평남 성천군 온정리 예하 5개 중대, 현역편성
제18핵화학방위대대 : 평남 평원군 석암리 예하 6개 중대, 현역편성 석암리교육훈련센터 550군부대
제37핵화학방위대대 : 강원 원산시, 위장명 27대대, 예비역편성
제38핵화학방위대대 : 사리원카리비료공장 주둔, 위장명 28대대, 예비역편성
제13핵화학방위대대 : 함흥비날론연합기업소 주둔, 예비역편성
제14핵화학방위대대 : 순천비날론연합기업소 주둔, 예비역편성
제15핵화학방위대대 : 예비역편성
제16핵화학방위대대 : 안주 남흥화학공장 주둔, 예비역편성
제17핵화학방위대대 : 평남 성천군 온정리 예하 5개 중대, 현역편성
제18핵화학방위대대 : 평남 평원군 석암리 예하 6개 중대, 현역편성 석암리교육훈련센터 550군부대
제37핵화학방위대대 : 강원 원산시, 위장명 27대대, 예비역편성
제38핵화학방위대대 : 사리원카리비료공장 주둔, 위장명 28대대, 예비역편성
제 2훈련부 :
제 3기술부 :
제 4기자재부 : 화염방사기기
정기훈련 : 년 2회실시
훈련장소 : 평안남도 양덕군 고원지대
훈련실시 : 3단계 구분실시, 군단예하 화학대대 참가
훈련장소 : 평안남도 양덕군 고원지대
훈련실시 : 3단계 구분실시, 군단예하 화학대대 참가
제 1단계 : 화학탄발사 화학가스살포
제 2단계 : 화학정찰차 살포지역식별
제 3단계 : 오염소독차 제독작업실시
제 2단계 : 화학정찰차 살포지역식별
제 3단계 : 오염소독차 제독작업실시
제 3기술부 :
연구인력 교육
화학무기 연구개발
제 2자연과학원 화학연구소
화학무기 연구개발
제 2자연과학원 화학연구소
제 4기자재부 : 화염방사기기
제 5정찰부 : 화학정찰대, 전시 주요기동로 후송로 이동로상 전개활동
제32부 : 극비관리, 핵무기총괄관리
갱도관리부 : 화학무기저장, 화학무기보관
화생방연구소 :
갱도관리부 : 화학무기저장, 화학무기보관
화생방연구소 :
평양 서성구역 장산동 본부
평양 용성구역 마산동
평원 2개 분소
평양 만경대구역 안골 솔봉 : 핵감시초소운영
본부 : 장교 34명, 사병 40명
평양 용성구역 마산동
평원 2개 분소
평양 만경대구역 안골 솔봉 : 핵감시초소운영
본부 : 장교 34명, 사병 40명
생산공장 :
혈액작용제( 4개소) : 아오지, 청진, 만포, 안주화학
최루작용제( 7개소) : 청진, 함흥28비날론, 함흥본궁, 화성, 신의주, 신포, 만포화학
수포작용제( 4개소) : 함흥28비날론, 신의주, 신포, 만포화학
질식작용제( 5개소) : 함흥28비날론, 함흥본궁, 화성, 신의주, 신포화학
신경작용제( 4개소) : 함흥28비날론, 화성, 안주, 신포화학
구토작용제( 2개소) : 아오지, 화성화학
최루작용제( 7개소) : 청진, 함흥28비날론, 함흥본궁, 화성, 신의주, 신포, 만포화학
수포작용제( 4개소) : 함흥28비날론, 신의주, 신포, 만포화학
질식작용제( 5개소) : 함흥28비날론, 함흥본궁, 화성, 신의주, 신포화학
신경작용제( 4개소) : 함흥28비날론, 화성, 안주, 신포화학
구토작용제( 2개소) : 아오지, 화성화학
연구개발 : 생산조직
원산화학무기생산공장
제 398연구소(398공장)
평남 평원군 석암리소재
신경가스생산, 미란발포성가스생산, 수포작용제생산
제 2경제위원회 제 5기계산업총국지휘
신경가스생산, 미란발포성가스생산, 수포작용제생산
제 2경제위원회 제 5기계산업총국지휘
원산화학무기생산공장
제 102연구소(102공장) : 아오지리
함북 은덕군 은덕읍 송학리 송림골소재
7.7연합기업소 은덕군화학공장
7.7연합기업소 은덕군화학공장
제 297연구소(297공장)
평남 평원군 석암리소재
화학해독제, 방독면 방동복제조
화학해독제, 방독면 방동복제조
저장소 : 갱 도 : 700 ~ 1,000m지하
마산동자재상사 : 평양시 서성구역 마산동 산속, 3개 지하갱도 설치
지하리화학상사 : 강원도 판교군 지하리소재, 갱도 700m
산음리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900m
향촌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900m
신안상리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700m
대영리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1000m
사리원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700m
지하리화학상사 : 강원도 판교군 지하리소재, 갱도 700m
산음리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900m
향촌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900m
신안상리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700m
대영리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1000m
사리원화학탄약저장소 : 갱도 700m
- 제131원자력지도국 → 확대편성 핵원자력공업성 중앙당직속
명칭변경 : 제 2자연과학원 → 국방과학원원장 : 장창하상장
창 설 일 : 1985년
관할부서 : 로동당군사위원회직속부대
주요임무 : 핵시설비밀건설
부서편성 : 하사관이상배치
국 장 : 박인영국장 → 2012.11숙청 풍계리실험장부실관리
핵 무 기 : 500Kg, 재진입수준관건
보 유 량 : 최소 14개 ~ 18개 미상(2020년 60개 추정)
저 장 소 : 92호공장(극비공장)
예하부대 : 여단 8개 → 2개 해체 → 6개 여단 운영
창 설 일 : 1985년
관할부서 : 로동당군사위원회직속부대
주요임무 : 핵시설비밀건설
부서편성 : 하사관이상배치
국 장 : 박인영국장 → 2012.11숙청 풍계리실험장부실관리
핵 무 기 : 500Kg, 재진입수준관건
보 유 량 : 최소 14개 ~ 18개 미상(2020년 60개 추정)
저 장 소 : 92호공장(극비공장)
예하부대 : 여단 8개 → 2개 해체 → 6개 여단 운영
제 41여단 : 설비개발
제 42여단 : 설비개발 → 해체
제 43여단 : 연변핵단지개발(분강지구, 5기계총국)
제 45여단 : 구성시동산리지하핵시설개발
제 47여단 : 평산 핵우랴늄광산개발
제 48여단 : 설비개발 → 해체
제 49여단 : 금창리지하핵시설건설
제620여단 : 42 48여단대체
제 42여단 : 설비개발 → 해체
제 43여단 : 연변핵단지개발(분강지구, 5기계총국)
제 45여단 : 구성시동산리지하핵시설개발
제 47여단 : 평산 핵우랴늄광산개발
제 48여단 : 설비개발 → 해체
제 49여단 : 금창리지하핵시설건설
제620여단 : 42 48여단대체
제216연구소 : 2006년 12월 창설
소 장 : 리홍섭상장
명 칭 : 핵물리연구소
임 무 : 핵개발컨트롤타워
창설일 : 2006.12
구성원 : 30여명 → 석사 박사학위자
소재지 : 평양 중구역 창광동 국방위원회 본부설치
특 혜 : 평양창전거리 신식아파트입주관리, 핵개발관련최고권한보유
소 속 : 국무위원회 정치국
예 하 : 제 131지도국지휘, 별칭 원자력총국, 풍계리핵시설관리운영
관리소조 : 김정은직접관리, 핵관련회의체
정식명칭 : 핵안전관리소조
부흥상사 : 개발필요물자공급
제710호실: 자금전담
명 칭 : 핵물리연구소
임 무 : 핵개발컨트롤타워
창설일 : 2006.12
구성원 : 30여명 → 석사 박사학위자
소재지 : 평양 중구역 창광동 국방위원회 본부설치
특 혜 : 평양창전거리 신식아파트입주관리, 핵개발관련최고권한보유
소 속 : 국무위원회 정치국
예 하 : 제 131지도국지휘, 별칭 원자력총국, 풍계리핵시설관리운영
관리소조 : 김정은직접관리, 핵관련회의체
정식명칭 : 핵안전관리소조
부흥상사 : 개발필요물자공급
제710호실: 자금전담
3. 중국의 총참모부
- 정자체: 總參謀部
- 간자체: 总参谋部
- 영어: People's Liberation Army General Staff Department
3.1. 개요
중국군의 조직과 군사적 리더십을 관리한다. 군령권이나 군정권은 한국군 합참과 비교하면 좀 애매하다. 보급이나 군수 등의 기능이 총후근부나 총장비부에 있기 때문이다. 뭐 한국군도 군정권은 육군본부, 해군본부, 공군본부에 있긴 하지만.
2016년 1월 군대 개편으로 4대 부서가 15개 기능부서로 개편되면서 해체되었다.
3.2. 역사
1927년에 중국 공산당 내에 설치된 중앙군사부가 그 원형이다. 첫 의장은 저우언라이였다. 문화대혁명 기간에 조직이 반와해되었다가 1976년에 덩샤오핑이 복원하였다.
3.3. 구성
총참모장과 부총참모장 5인, 총장조리(總長助理) 2인으로 구성된다. 총참모장은 한국의 합참의장에 비견되며 부총참모장은 합참차장에 해당한다. 총장조리는 총장을 보좌하는 참모들이다. 부총참모장 5명 중 2명은 총참모장과 같은 상장 계급자가 담당하며 나머지 3명과 총장조리 2명은 중장이 보임된다.
- 총참작전부(总参作战部/1부)
- 총참정보부(总参情报部/2부)
- 총참기술정찰부(总参技术侦察部/3부)
- 총참전자부(总参电子部/4부)
- 총참신식화부(总参信息化部5部)[2]
- 총참군무부(总参军务部)
- 총참군훈부(总参军训部)[3]
- 총참동원부(总参동部)
- 총참관리보장부(总参管理保障部)
- 총참육군항공병부(总参陆军航空兵部)
- 총참인민해방군전략규획부(中国人民解放军战略规划部)
- 중공중앙판공청경위국(中共中央办公厅警卫局/61889부대)[4]
- 총참측회도항국(总参测绘导航局)[5]
- 총참궤요국(总参机要局)[6]
- 총참정치부(总参政治部)
- 총참판공청(总参办公厅)[7]
- 중국인민해방군난징[8] 육군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南京陆军指挥学院)
- 중국인민해방군스좌장[9] 육군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石家庄陆军指挥学院)
- 중국인민해방군포병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炮兵指挥学院)
- 중국인민해방군공정병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工程兵指挥学院)[10]
- 중국인민해방군방화지휘공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防化指挥工程学院)[11]
- 중국인민해방군육군항공병학원(中国人民解放军陆军航空兵学院)[12]
- 중국인민해방군이공대학(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13]
- 중국인민해방군신식공정대학(中国人民解放军信息工程大学)[14]
- 중국인민해방군전자공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电子工程学院)
- 중국인민해방군외국어학원(中国人民解放军外国语学院)
- 중국인민해방군체육학원(中国人民解放军体育学院)
- 중국인민해방군국제관계학원(中国人民解放军国际关系学院)
- 중국인민해방군국방신식학원(中国人民解放军国防信息学院)
[1] 한국으로 치면 국방부와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복군인이 들어가 근무하는 셈이라서.[2] 신식은 중국어로 정보이며 신식화는 정보화를 뜻한다.[3] 군사훈련을 담당하는 부서이다.[4] 과거의 8341부대로 수도인 베이징과 고위층을 보호하는 경비부대이다.[5] 항공유도와 지도 제작 등을 맡은 부서이다.[6] 궤요는 중국어로 기밀을 뜻한다.[7] 판공청은 판공실보다 규모가 큰 행정부서로 총참의 행정처를 뜻한다.[8] 난징은 중국 남부의 도시로 중화민국 시절 수도였다.[9] 중국 허베이 성의 성도(省都)이다.[10] 공병을 교육하는 곳이다.[11] 화생방을 교육하는 곳.[12] 육군 항공대를 교육하는 곳.[13] 인민해방군/사관학교의 하나.[14] 인민해방군/사관학교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