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복실산

 



1. 개요
2.1. 포화 지방산
2.2. 불포화 지방산
4. 히드록시산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


Carboxylic acid. 일반식 RCOOH.[1]
유기화합물의 종류로 액성은 대부분 산성이다. 이쪽 계열의 화합물은 죄다 '-산(酸)'이라는 접미사가 붙는다. 실제 액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들도 있긴 하지만.[2]
다른 탄화수소와는 달리 큰 규모의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의미가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아미노산''', '''지방산'''.
주로 알코올의 산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며, '''생명 활동의 핵'''이기도 하다.
미생물의 경우 알코올과 카복실산을 같이 생산하는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pH가 높으면 산발효(酸醱酵; Acidogenesis)를 통해 주로 카복실산을, pH가 낮아지면 용매발효(溶媒醱酵;Solventogenesis)를 통해 알코올과 아세톤등을 주로 생산한다. biorefinery로 주목받는 부티르산을 생산하는 주요 미생물들은 대부분 Clostridium에 속하며 카복실산만 생산하는 미생물로는 C. tyrobutyricum이 대표적이며 알코올 및 아세톤등의 용매를 같이 생산하는 미생물로는 C. acetobutylicum이나 C. beijerinckii 등이 있다.

2. 지방산



2.1. 포화 지방산


이중결합이 없는 사슬 형태의 지방산. 알코올에서 알코올기(-OH)를 카복실기(-C(=O)OH)로 치환한 꼴.
보통은 펜탄산(C5) 이하는 short-chain fatty acid로 분류하는데, 헥산산(C6)부터 글리세롤과 지방 결합을 하기 때문. 또한 short-chain fatty acid은 증발될 수가 있어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2.2. 불포화 지방산


오메가 명명법(Omega Nomenclature)에 의해 카복실기의 반대쪽 끝에서 세어 몇 번째에 이중결합이 있는지에 따라 오메가-3, 오메가-6, 오메가-7, 오메가-9, 그 외로 나눌 수 있다.

3. 아미노산


카복시기(-COOH)와 아미노기(-NH2)가 붙어있는 꼴.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카복시기와 아미노기가 만나서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며 이것이 바로 단백질이다.

4. 히드록시산


카복실기하고는 상관없이 수산화기가 또 따로 붙어있는 산. 카복실기를 이루는 탄소와 수산화기가 붙어있는 탄소와의 거리에 따라, 알파 히드록시산, 베타 히드록시산 등으로 나뉜다. 화장품 성분표에서 흔히 보이는 AHA, BHA 등이 이것. 히드록시기가 붙어있지 않은 산과 비교해 산성이 더 크다고 하며, AHA로 갈수록 산성이 더 세진다 한다. 그래봐야 약산이지만.

5. 기타


카복실산에는 지방산, 아미노산, 히드록시산 외에 카복실기하고는 상관없이 케톤기가 또 따로 붙어있는 케톤산 등의 하위 분류가 있다.

6. 관련 문서



[1] 수소 이온이 해리되면 접미사 -ic acid 대신 -ate가 붙는다.[2] 대표적으로 아르지닌, 라이신 등은 카복실산에 속하지만 액성이 '''염기성'''이다.[3] 지방산과 수산화나트륨의 화합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