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 자유국
[clearfix]
1. 개요
현재 콩고민주공화국의 전신이 되는 국가이다.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 개인의 사유지로써 기능하였다. 1908년 벨기에 정부가 직접 통치하는 벨기에령 콩고로 개편되어 사라졌다. 표어는 노동과 진보다.
2. 역사
2.1. 건국 이전
이전부터 콩고 지역에 눈독 들이고 있었던 레오폴드 2세는 콩고 지역에 꾸준히 탐험가를 보내고 있었다. 그는 브뤼셀에서 지리학 학회를 열어 지지자들을 끌어모은 뒤 1876년 국제아프리카협회를 개설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통받는 흑인들에 대한 구원이란 명분을 앞세워 교묘하게 이들을 속여서 국제적인 지지를 한 몫에 끌어들일수 있었다. 이후 여러 국가들을 설득시킨 끝에 1884년 베를린 회담에서 포르투갈을 따돌리고 레오폴드 2세의 지배가 공인된다.
2.2. 건국 이후
콩고 자유국 정부와 레오폴드 2세는 원주민 추장들에게 여러가지 선물을 준 뒤 이들의 인권과 재산권을 빼앗는 조약을 어려운 말로 교묘히 속여서 영토를 늘렸다. 또한 철도와 플랜테이션을 건설해 수탈을 더 용이하게 만들었으며 당시 아프리카에서 마지막 세력을 쥐고 있던 오만을 비롯한 아랍인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국경 북방에 요새를 새우기도 하였다. 이런 돈이 어디서 나왔냐면 우선 벨기에의 정부에서 돈을 빌려주기도 하였고 결정적으로 원주민들을 갈아넣어 고무와 상아를 채집한 돈으로 이런 인프라를 건립했다.
1891년 레오폴드 2세는 법을 제정하고 1892년 상아와 고무 무역을 독점해 버렸다. 곧이어 우방이-우엘레(Ubangi-Uele) 강 근처와 숲속 주변에 살고 있던 콩고인들을 강제로 추방했다.
레오폴드 2세는 당연히도 콩고 원주민의 삶에는 조금도 관심이 없었으며 자기 잇속을 채우기 위해 원주민들에게 가혹한 노역을 부과하였다. 이는 원주민들의 반발과 저항을 불러 일으켰으나 이 때마다 콩고 자유국군과 부역자들의 학살로 진압되었다.
3. 정치
애초에 콩고 자유국은 원주민들에 대한 가혹한 수탈을 위해 세워진 국가이다. 이 과정에선 말을 안 듣는 자들은 콩고 자유국군 군대가 모조리 탄압했다. 그런데 더욱 소름끼치는 사실은, 이런 미친 악귀의 편을 들었던 원주민 부역자도 있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콩고와 같은 넓은 곳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원주민 일부를 포섭을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1]
3.1. 범죄 행위
레오폴드 2세는 여기서 고무 채칩에 열을 내어 원주민들을 혹사시켰다. 고무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로 마을 인근의 넝쿨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모두 동이 나 버렸기 때문에 콩고의 원주민들은 열대우림의 넓은 지역으로 나가거나 나무 위에 올라가 일을 해야만 했다. 그들에게 보호장비는 전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흑인 원주민들이 나무에서 떨어져 등이나 다리, 팔 등이 부러지거나 그대로 죽는 상황이 속출했다. 게다가 연중 열대성 폭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고무나무가 자라는 지역은 습지가 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고무채취는 아무리 힘이 좋은 사람들도 기피하는 고된 작업이었다.It is an extraordinary thing that the conscience of Europe which seventy years ago has put down the slave trade on humanitarian grounds tolerates the Congo State to day. It is as if the moral clock had been put back many hours.
70년 전 인류애적인 동기에서 노예 무역을 폐지한 유럽의 양심이 오늘날 콩고 자유국을 묵인하고 있음은 누가 뭐라 해도 놀라운 일입니다. 도덕의 질서라고 하는 시계추가 몇 시간쯤 늦어진 형국이라고나 할까요.
레오폴드 2세는 각 개인들에게 어마어마한 노동 할당량을 부과 한 뒤 이를 채우지 못하면 처음엔 이들의 손을, 두번째는 팔을, 마지막엔 목을 도려냈다. 여기의 관리들은 열심히 일한 증거로 몸뚱이 절단부위가 담긴 소쿠리를 가지고 다니면서 자랑하고는 했다. 이에 대해 반발이 있거나 할당량에 미치지 못하는 데는 군대를 보내 집단적으로 학살하거나 여자들을 인질로 잡고 강간하였으며 죽은 자의 할당량은 그대로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이들에게 이양되었다. 이런 연좌제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원주민 부족들끼리 치고 박고 싸우기도 했다. 그리고 당연히도 이러한 행위들이 알려지는 걸 막기 위해 콩고의 정부와 레오폴드 2세는 여러 공작을 펄쳤다.
4. 소멸
허나 이러한 잔학무도한 정책을 실행시켰음에도 적어도 당분간은 무마를 잘해 외국의 눈을 속일 수가 있었다.
허나 이러는 것도 잠시 레오폴드 2세의 학정이 얼마 안 가 전세계 언론에 낱낱이 까발려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국제사회가 긴가민가했으나 로저 캐즈먼트와 같은 여러 의인들의 고발로 인해 증거가 수집되자 콩고 자유국과 레오폴드 2세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 가해지기 시작했다. 처음엔 레오폴드 2세는 이러한 비판을 잠재우기 위해 원주민 권익 위원회를 설립하는 등 연막작전을 펼치거나 언론을 매수해 여론 돌리기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의 비판 여론을 잠재울수는 없었고 결국 1908년 콩고 자유국 지역을 벨기에 정부에게 위임하는 형식으로 그는 권좌에서 물러나게 된다.
그렇게 콩고 자유국은 폐지되어 직속 식민지 벨기에령 콩고가 되지만 대놓고 손발을 자르는 짓만 안 했을 뿐이지 콩고의 현실은 그닥 달라진 것이 없었다.
콩고는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 제국이 탐내어 중앙아프리카 독일령 콩고로 집어삼키려 했으나 독일의 패배로 벨기에가 르완다, 부룬디까지 차지하였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나 독립하게 된다.
5. 매체에서
폴란드계 영국인 작가인 조지프 콘래드가 무명 벨기에회 소속의 선장으로써 콩고 강을 거슬러 올라갔었던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 선진 문명의 전파란 미명 하에 야만적인 학살과 착취를 해대는 제국주의자들을 비판한 소설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인들에 대한 인종주의적인 차별 의식을 벗지 못한 한계가 있다. 지옥의 묵시록 등 후대의 다양한 작품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문학계의 고전.
데이비드 예이츠 감독의 2016년작 영화.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의 1914년작 소설의 최신 영화판이다.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리메이크하여, 메인 스토리가 타잔이 콩고 자유국에서 벌어지는 벨기에의 침략 행위에 대항하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덕분에 주요 등장인물 중 실존 인물이 둘이나 등장한다. 하나는 타잔의 조력자로 등장하는 조지 윌리엄스(사무엘 잭슨 분)로, 벨기에의 만행을 최초로 고발했던 사람이다. 다른 하나는 메인 악역으로 등장한 레온 롬(크리스토프 발츠 분). 이 사람은 실제로 레오폴드 2세의 명을 받고 콩고 자유국에서의 수탈에 앞장섰던 용병대장이다.
- 땡땡의 모험 - 콩고에 간 땡땡
에르제가 쓴 땡땡의 모험의 두번째 책. 당시에 우익논조의 신문에 연재를 했던지라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백인우월주의, 백인의 의무와 같은 벨기에의 콩고 지배를 정당화하는 내용이 많던지라 워낙 논란도 많았고 본인이 후에 흑역사로 취급하는 작품.
6. 같이 보기
- 식민지
- 레오폴드 2세
- 벨기에 식민제국
- 벨기에 식민지 콩고 - 1879년부터 1960년까지 레오폴드 2세와 벨기에 정부의 콩고 식민지 시기를 총망라한 문서
- 벨기에령 콩고
- 콩고민주공화국
- 어둠의 심연
- 무명 벨기에회
- 조지프 콘래드[2]
- 레온 롬[3]
- 로저 캐즈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