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

 


1. 개요
2. 1차 지명
3. 2차 지명
3.1. 지명방식
3.2. 지명 결과
4. 드래프트 평가
5. 이모저모


1. 개요


2001년 KBO 신인 드래프트 (공식 명칭: '''2001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는 1차 지명과 2차 지명으로 진행되었다.

2. 1차 지명


2000년 6월 5일까지 각 팀에서 팀별 연고지 내 고교 출신 선수 중 1명을 뽑았다.
'''팀'''
'''1차 지명자'''
'''계약금'''
[image]
황규택 (휘문고, 투수)
-

추신수 (부산고, 투수) [1]

[image]
이정호 (대구상고, 투수)

[image]
'''김태균''' (북일고, 내야수)


정원 (광주일고, 투수)

[image]
'''이동현''' (경기고, 투수)

[image]
'''정상호''' (동산고, 포수)


설의석 (인천고, 투수)


3. 2차 지명


2000년 6월 15일 서울특별시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되었다.
고등학교 및 대학교 졸업 예정자, 상무 소속 선수들 등 총 695명이 신인 드래프트에 참가했다.[2]

3.1. 지명방식


1라운드부터 12라운드까지 진행되며 각 팀은 최대 12명의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단,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신생팀 SK 와이번스가 참여하면서 지명방식은 홀수 라운드에서는 지난 3시즌의 성적 역순대로, 짝수 라운드에서는 지난 3시즌의 성적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3.2. 지명 결과


- ※표시는 지명권 포기나 대학 진학으로 인한 지명권 소멸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 @표시는 고졸로 지명받고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거나 대학 진학 후 중도하차한 선수.
- 볼드표시는 통산 war이 스탯티즈 기준 2 이상 되는 선수한테 부탁드립니다.
라운드
SK
롯데
한화
해태
LG
두산
현대
삼성
1
'''김희걸'''[3]
(포철공고,
투수)
'''이대호'''
(경남고,
투수)
김백만
(부산고,
투수)
김주철
(성남고,
투수)
박용진
(신일고,
투수)
'''김상현'''[4]
(부천고-제주한라대,
투수)
장기영[5]
(경남고,
투수)
김덕윤
(경남상고,
투수)
조형식
(속초상고,
투수)
김동건
(춘천고,
내야수)
2
'''김강민'''
(경북고,
투수)
이승화[6]
(부산상고,
외야수)
유영민
(광주일고,
투수)
'''김경언'''
(경남상고,
외야수)
신경석
(전주고,
투수)
김태구
(마산고,
투수)
여승현
(한서고,
투수)
'''조영훈'''
(속초상고,
투수)
3
박남섭[7]
(광주상고,
내야수)
황명성
(청원정보고,
투수)

서창호
(부산고-고려대,
내야수)
심제훈
(부산고-동아대,
외야수)
최성현
(중앙고,
투수)
김용영
(북일고,
투수)
※@
'''손승락'''
(대구고,
투수)
김명규
(원주고,
내야수)
4
'''채병용'''
(신일고,
투수)
박승종[8]
(포철공고,
내야수)
박정근
(경북고,
투수)

이윤학
(신정고,
투수)
이윤호
(속초상고,
내야수)[9]
이대현
(청원정보고,
포수)
원정빈
(공주고,
외야수)

박성훈
(강릉고,
투수)
5
오승준
(신일고,
투수)
김제빈
(중앙고,
투수)
백승룡
(경남상고,
내야수)
송산
(경남상고,
포수)
김정환
(중앙고,
포수)

배광진
(동산고,
내야수)
※@
이철기
(전주고,
투수)
정한상
(전주고,
외야수)

6
조중근
(동산고,
외야수)
'''최준석'''
(포철공고,
포수)
이화준
(경동고,
외야수)

김요한
(장충고,
투수)
양성모
(마산고-제주한라대,
투수)
임창섭
(배재고,
내야수)

허준
(덕수정보고,
포수)
손승현
(속초상고,
포수)
7
곽국희[10]
(성남고,
투수)
이용승
(대전고,
투수)[11]
최대곤
(전주고,
포수)

김민철
(광주일고,
외야수)
권소용
(휘문고,
내야수)

이범석
(공주고,
투수)
※@
육현수
(성인고,
투수)

고윤성
(경남고,
외야수)

8
김장준
(서울고,
투수)
문왕식
(효천고,
외야수)
한정석
(배명고,
투수)

임성민
(마산상고,
외야수)
김민석
(선린정보고,
외야수)

손제민
(경남상고,
외야수)

한결
(광주상고,
내야수)
※@
박재민
(청주기공,
내야수)
9
'''박재상'''
(서울고,
외야수)
이한성
(마산상고,
투수)
[12]
김현우
(경동고,
외야수)

김경태
(신일고,
외야수)
김수환
(청원정보산업고-경희대,
투수)
최홍진
(신일고,
투수)

박희성
(서울고,
내야수
[13])
이면우
(휘문고,
외야수)

10
윤영보
(동산고,
투수)
황준영
(경남고,
내야수)
이규민
(제물포고,
투수)
[14]
차정민
(부산상고,
투수)
구제주
(영흥고,
투수)

'''채태인'''
(부산상고,
투수)

김광우
(경남상고,
내야수)

김동범
(마산상고,
내야수)
※@
11
없음[15]
패스
최준원
(유신고,
투수)
[16]
박정규
(한서고,
투수)
김상래
(청원정보고,
외야수)

이수
(경기고,
외야수)

김동기
(인천고,
외야수)

강유삼
(세광고,
투수)
12
없음
패스
오승택[17]
(공주고,
내야수)
김동혁
(군산상고,
내야수)

안재영
(경동고,
내야수)

패스

(신일고,
외야수)

김선명
(광주상고,
외야수)
※@

4. 드래프트 평가


  • SK 와이번스: 이대호 거르고 김희걸(개명해서 지금은 김건한), 조형식, 김동건. 김희걸은 빠른 속구를 던지는 투수로 평가받았고, 조형식은 속초상고 동기 조영훈과 투타를 이끌어 창단한지 얼마 안 되는 팀의 대통령배 8강 진출과 세계청소년대표팀 우승에 기여했고, 김동건은 공수주 모두 뛰어난 유격수로 평가받았다. 이대호를 놓친 건 아쉽지만, 그래도 1차 지명자 정상호, 나머지 2차 지명에서 김강민, 채병용, 박재상 등 향후 SK 왕조의 주축 멤버가 될 선수들을 많이 뽑았기 때문에 아주 손해는 아니었다. 문제는 이대호를 거르고 뽑은 2차 1순위 지명자들이 제대로 활약해 주지 못했다는 것. 그나마 투수 김희걸을 지명해 2003년~2004년 2년간 전천후 투수로 잘 기용하다가 트레이드 카드로 사용하여 KIA에서 박재홍을 데려온 게 다행이라면 다행일까.
  • 한화 이글스: 1차 지명한 김태균은 KBO 최고의 타자 중 하나가 되었으며, 데뷔 첫 해 3할 3푼대 고타율과 20홈런을 치며 맹활약, 신인왕을 차지했다.[18] 하지만 2라운드에서 뽑은 선수는 프로에서 그다지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가 없었고, 몇몇 이름이 알려진 선수들은 지명을 받고 대학을 졸업한 후 입단했다.
  • 해태 타이거즈: 1군 레귤러가 된 선수가 없다. 김주철, 김민철이 그나마 없는 살림의 해태에서 쓰이긴 했지만 신인 때 이후 묻혀졌고, 그나마 김경언김성한의 신임을 받으면서 1군 출장 횟수가 가장 많았지만 김성한 퇴임 이후 그저그런 타자로 전락해서 2군에 박혀있는 시간이 길었고 어쩔 때 한번 대타로 간간히 쓰이다가 한화로 가서야 터졌다. 1차 지명을 받은 투수 정원은 2006년 딱 한 해 반짝하고 2008년에 임의탈퇴 공시됐다.
  • LG 트윈스: 단 한 선수만 1군에서 살아남았는데, 그 사람이 바로 1차 지명을 받은 이동현. 데뷔 2년차던 2002년 중간계투로 124이닝을 소화하는 등 LG의 주축 투수가 되는 듯 싶었으나 혹사로 인해 팔꿈치 부상이 왔고 금지어의 당겨쓰기 등 관리를 해주지 못한 탓에 두 차례나 더 수술을 받는 등 5년에 걸친 재활 끝에 돌아와 2019년 은퇴할 때까지 LG의 뒷문을 지켜오고 있다. 그 밖에 프로에서 활약한 선수는 없었다. 2차 1픽 투수 박용진은 3년 후 병역비리 사건으로 구속된 후 선수 생명이 끝났다.
  • 두산 베어스: 어째 이쪽도 건진 선수가 별로 없다.(...) 그래도 김상현이 뒤늦게 터져 스윙맨으로 활약해주긴 했다. 채태인은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나중에 삼성으로 갔다. 당시 고교 최대어 중 하나였던 이동현을 LG에 빼앗기고 대신 1차 지명으로 뽑은 휘문고 투수 황규택은 단 한 번도 1군에 오르지 못한 채 결국 은퇴하면서 2000년의 문상호에 이어 2년 연속으로 1차 지명은 망했다.
  • 현대 유니콘스: 두 선수가 터지긴 했는데, 희한하게도 지명 당시 포지션과는 전혀 다른 곳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한 명은 투수로 입단했다가 현역 복무를 마치고 타자로 전향한 후 터졌고, 또 한 명은 고교 졸업 당시 유격수였는데 지명받은 후 입학한 대학교에서 투수로 전향, 경찰청에서 군 복무를 마친 후 선수단이 인계된 넥센 히어로즈에 돌아와 주전 마무리 투수로 자리를 굳혔다. 2013년에는 부처님도 차지하지 못한 골든 글러브도 차지한다. 1차 지명으로 지명한 인천고 설의석은 얼마 안 있어 방출되었고, 2차 12순위로 지명한 어떤 발 빠른 외야수는 현대가 홍익대학교로 보냈다가 약한 타격 때문에 지명권을 포기했다. 졸업 후 두산 베어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했으나 그 이후에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삼성 라이온즈: 역시 흉작.(...) 삼성 구단 역사상 최고액 계약금 5억 3천만 원을 안긴 1차 지명자 이정호는 고교 시절부터 있었던 팔꿈치 부상과 그에 따른 관리 실패로 통산 1승에 그치는 등 1군에서 제대로 뛰지 못하고 2004년 FA 박진만의 보상선수로 현대로 가버렸다.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입단한 1루수 조영훈은 터질 듯 터질 듯 안 터지다가 KIA를 거쳐 전력보강 선수로 이적한 NC에 자리잡았으며,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입단한 박성훈조원수박차 라인을 이루다 결국 장원삼을 상대로 넥센에 트레이드되었다. 그 외에는 김덕윤 정도가 간간이 1군에서 모습을 비쳤지만 김덕윤2006년 두산 베어스에 트레이드됐고 2년 후 두산에서 방출되어 은퇴했다.

5. 이모저모


  • 2000년 초 창단한 SK 와이번스는 신생구단 전력 평준화 지원 차원에서 이 해와 이듬해인 2002년 신인지명에 한해 1라운드에서 3명을 먼저 지명하는 혜택을 누리게 됐다.
  • 지명된 대졸 이상 선수가 겨우 5명뿐으로, 역대 신인지명 중 고졸선수에 대한 선호가 제일 높았다.
  • 지명한 선수 전원을 입단시킨 SK와 달리 삼성은 1차 지명자 이정호와 2차 1라운드 지명자 김덕윤 둘을 제외하고 모두 대학교에 보냈다.
  • 지명을 받고 대학에 진학한 선수 51명 중 졸업 후 제대로 입단한 선수는 16명에 불과했다. 한화 지명자였던 최준원은 SK에 다시 지명되었으며 등 5명은 신고선수로 겨우 프로에 발을 들였다. 나머지는 대학에서 중도하차했거나 지명권이 풀렸다.
  • 추신수가 미국으로 진출하면서 부산고 동기 정근우가 지명받지 못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사실은 작은 체구때문에 스카우터들이 관심을 잘 주지 않아서다. 한화 2차 1픽 김백만이 부산고 출신인걸 보면... 결국 정근우는 고려대로 진학했고 훗날 SK 와이번스의 지명을 받았다.

  • 이 드래프트의 주 대상이었던 1982년생에 국가대표급으로 성장한 선수가 많았고, 최소 팀 주전~백업급으로도 상당히 많은 선수가 활동했다. 대표적인 선수가 추신수, 김태균, 이대호, 손승락이 있고, 당시에는 미지명자였지만 정근우]도 국가대표급으로 성장했다.
  • 부산-경남팜의 황금기 중 하나다. 82년생 부산-경남팜 출신은 부산고는 추신수,김백만, 정근우[19] 경남고는 이대호, 장기영, 경남상고는 김덕윤, 김경언, 송산, 백승룡 부산상고는 채태인, 이승화, 차정민, 부산공고는 이명우[20], 마산고는 김태구와 신재웅[21]을 배출했다. 이 해 고졸 부산-경남팜은 대졸 포함 19명의 지명자를 배출했다.
[1] 지명 거부 후 시애틀 매리너스와 계약[2] 주의해야 할 것은 고교, 대학 졸업 예정자들은 전원 자동 지명 대상이다.[3] 2014년 시즌 중에 김건한으로 개명.[4] 2013년 김태영으로 개명.[5] 현재는 장민석[6] 현재는 이우민[7] 현재는 박준서[8] 현재는 박종윤[9] 2004년 병역비리 사건 때 불구속 입건된 뒤 지명권이 풀렸다가 공익요원 복무를 마친 후 신고선수로 입단.[10] 방출 이후 기아 타이거즈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가 또 방출. 결국 일본 독립 리그로 건너갔다.[11] 중앙대 진학 후 지명권 포기, 이후 신고선수로 입단[12] 동아대 진학 후 지명권 포기, 이후 신고선수 입단.[13] 대학 진학을 하지 않고 삼성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가 1년 만에 방출.[14] 단국대 2학년을 마치고 중퇴한 뒤 1년 쉬고 송호대에 입학.[15] 각 팀마다 12명을 지명할 수 있기에 SK의 11, 12라운드 지명은 없었다.[16] 동국대 진학 후 지명권 포기, 이후 2005년 신인드래프트 2차 지명에서 SK에 지명.[17] 2010년 공익근무 복무 후 오재필로 개명.[18] 다만 김태균의 성적도 좋았지만 규정 타석을 채우지 못한 게 흠이었고 같은 해에 데뷔해 거의 전경기 출장했던 박한이를 밀어내고 수상한지라 논란이 좀 있었다.[19] 대졸 후 2005년에 지명[20] 유급으로 2002년에 지명[21] 대졸 후 2005년에 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