竹
[image]
竹의 필순
[clearfix]
대나무 죽/대 죽
'대나무'라는 뜻이 있는 한자이며, 대죽머리(⺮)의 제부수자이다. 부챗살이라는 부수적인 뜻도 가지고 있다.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7AF9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ㄓㄨ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H)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4급 II, 쓰기 3급 II로 분류되어 있다. 부수 형태로 된 것은 두 개가 있다. 하나는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B 영역의 U+25AD7(𥫗), 또 하나는 한중일 부수 보충 영역의 U+2EAE(⺮)이다.
[image] [image] [image]
竹은 당연히 대나무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상형자의 변화를 예시로 들때 자주 써먹는다.
참고로 가타카나 ケ는 竹이 아닌 介(끼일 개)가 기원이다. 亇 또한 竹과는 관련이 없다. 정확히 竹의 반쪽짜리는 个(낱 개)이며, 현재 중국에서 個/箇의 간체자로 쓴다.
竹은 기초적인 한자이기는 하나 '대나무'라는 의미 외에는 일반적인 사용례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여 그다지 볼일이 많지가 않다. 대신 그것의 부수형태인 ⺮(대죽머리)부는 1,000여개에 이르는 한자들이 부수로 삼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 참고로 대죽머리는 강희자전에서 118번째 부수로 분류되어있다.
竹은 일본인의 성씨에 자주 쓰이는 한자이다.
竹의 필순
[clearfix]
1. 개요
대나무 죽/대 죽
'대나무'라는 뜻이 있는 한자이며, 대죽머리(⺮)의 제부수자이다. 부챗살이라는 부수적인 뜻도 가지고 있다.
2. 세부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7AF9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ㄓㄨ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H)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4급 II, 쓰기 3급 II로 분류되어 있다. 부수 형태로 된 것은 두 개가 있다. 하나는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B 영역의 U+25AD7(𥫗), 또 하나는 한중일 부수 보충 영역의 U+2EAE(⺮)이다.
[image] [image] [image]
竹은 당연히 대나무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상형자의 변화를 예시로 들때 자주 써먹는다.
참고로 가타카나 ケ는 竹이 아닌 介(끼일 개)가 기원이다. 亇 또한 竹과는 관련이 없다. 정확히 竹의 반쪽짜리는 个(낱 개)이며, 현재 중국에서 個/箇의 간체자로 쓴다.
2.1. 부수
竹은 기초적인 한자이기는 하나 '대나무'라는 의미 외에는 일반적인 사용례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여 그다지 볼일이 많지가 않다. 대신 그것의 부수형태인 ⺮(대죽머리)부는 1,000여개에 이르는 한자들이 부수로 삼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 참고로 대죽머리는 강희자전에서 118번째 부수로 분류되어있다.
3. 사용례
- 관음죽 (觀音竹)
- 오죽헌 (烏竹軒) - 율곡 이이의 생가
- 죽간 (竹簡)
- 죽림 (竹林)
- 죽력(竹瀝) - 대나무 수액
- 죽력고(竹瀝膏)
- 죽부인 (竹夫人)
- 죽순 (竹筍)
- 죽여(竹茹) - 대나무의 속껍질
- 죽염(竹鹽)
- 죽창 (竹槍)
- 폭죽 (爆竹)
3.1. 고사성어
3.2. 인명
竹은 일본인의 성씨에 자주 쓰이는 한자이다.
- 사타케(佐竹), 타케다(竹田), 타케시타(竹下), 타케우치(竹内), 타케타츠(竹達) 등의 성씨를 쓰인 일본인 전원.
- 김죽파 (金竹波) - 가야금 연주가
- 리봉죽 (李鳳竹) -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12기 의원.
- 정비석 - 소설가. 본명 정서죽 (鄭瑞竹)
- 죽죽 (竹竹) - 신라의 장군
3.3. 지명
- 송죽동 (松竹洞)
- 신주현 (新竹縣)
- 신주시 (新竹市)
- 오타케시 (大竹市)
- 일죽면 (一竹面)
- 죽교동 (竹橋洞)
- 죽도 (竹島) - 독도의 일본식 표현.
- 죽령 (竹嶺)
- 죽림동 (竹林洞)
- 죽산면 (竹山面)
- 죽왕면 (竹旺面)
- 죽전동 (竹田洞)
- 죽헌동 (竹軒洞)
- 타케하라시 (竹原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