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스 레볼루션
1. 개요
중국의 모바일 게임.
등장인물 이름 중 후배의 이름이 삼국지 인물에서 따온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쪽은 그나마 사후에 워낙 오래 지났다보니 저작권 문제는 없다. 2019년 11월 29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그런데 그 후편(?)이라 할 수 있는 걸스 x 배틀2의 한글서비스를 2020년 7월 8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쪽은 방치형 게임이다. 공식카페
2. 비판
게임성 자체 보다는 주로 Gamedreamer의 막장 운영과 직영 변경후로 나온 광고의 비판이 대부분이다.
2.1. 걸크러쉬 for kakao 당시 Gamedreamer의 막장 운영
광고가 표절과 도용 아니던 것을 제외하면 걸스 레볼루션보다 아무것도 나은 것이 없을 정도인 운영이었다.
퍼블리셔인 Gamedreamer[1] 가 개발사 행세부터 시작해서, 계약 무시는 물론이고 전반적인 운영 전부 직영으로 하게 된 계기라고 전해지는 인도네시아 서버와 태국 서버 만큼 상당히 심각했다. 또한 해외서버를 하는 성과를 언급하면 정지를 먹이기도 했다.
게다가 스토리 번역이 하도 처참해서 공식발매된 게임이 맞는지도 의심스러울 정도로, 주인공의 대사부터 초딩말투라고 불리는 넷슬랭으로 되어있고, 원문이 그런지 번역과정에서 내용이 누락된 것인지 설명이 시원찮아서 후배라는게 진짜 학교 후밴지 후배라는 명칭의 소환수인지도 구분을 못하는 수준에 스토리 진행도중 주인공이 왜 자꾸 싸워대는지에 대해서도 그냥 1차원적으로 부실하기 짝이 없었다.
그나마 VIP9 전용 캐릭터인 SX캐릭터는 그래도 데이터 기준으로 세달 차이 정도까진 따라 잡긴 했지만, 그런 과금요소를 제외한 '''컨텐츠와 벨런스를 포함한 다른 업데이트는 전혀 하지 않아서''' 업데이트가 1년 이상 가량 뒤처지는 등 인도네시아 서버와 태국 서버 만큼 운영이 개판이었다. 그래서 계약 연장 안되고 2017년 7월 말 서비스 종료.
게다가 한썹 섭종 공지도 다른 게임에서 복붙한 흔적이 남아있는데, 처음에는 걸크러쉬가 아니라 데빌맥스 종료로 되어 있었다. 링크
걸크러쉬 종료 후 두세달만에 CBT를 종료하고 10월 중순에 이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퍼블리셔 교체후 다시 수입 된 것을 보면 직영 전환 과정에서 서비스 종료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다른서버로 데이터 인계 조차 없었으며, 또한 나중에 퍼블리셔가 바뀐 걸즈 레볼루션으로도 인계가 전혀 없었다.
다만, 표절 검수는 했었다고 한다. 링크 그래도 이점 만큼은 걸즈 레볼루션보다 '''유일하게 나은 점.''' 하지만 역으로 그걸 제외하면 나은 점이 아무것도 없다.
2.2. 표절 / 도용
광고의 표절과 도용이 많아서 묻히긴 했지만, 인게임도 걸크러쉬 시절부터 논란이 많이되었다.
- 홈페이지에 걸린 그림 중 걸크러쉬 사전 예약 때 문제된 이미지가 그대로 있다.
- 아이콘이 언리쉬드의 화령을 배경만 바꾸어 사용한 적이 있다.
- 조조의 이미지는 황산이 그린 라이트 노벨의 일러스트였다. 이 기사에 나온 그림. 걸크러쉬에서는 교체되었지만 다른 국가 서비스와 걸스 레볼루션에서는 여전히 사용 중
- 유어 다이어리도 일러스트 불법 트레이싱을 당했다. 옷 부분.
- BGM중 로젠메이든 음악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 있다. # 이쪽은 걸크러쉬만 바꿨다.
- 서버명은 저작권 허가여부 확인이 되지 않았지만, 나온 서버명은 다음과 같다.
1서버 마요이가, 2서버 엔드라이드, 3서버 쿠마미코, 4서버 바쿠온
5서버 언해피, 6서버 쿠로무쿠로, 7서버 소년 메이드, 8서버 하이 스쿨 플릿
9서버 플라잉 위치, 10서버 삼자삼엽, 11서버 빅 오더, 12서버 베르세르크
13서버 앙주 비에르주, 14서버 퀄리디아 코드, 15서버 터부 타투, 16서버 91 데이즈
17서버 대회 개막, 18서버 팔콤학원, 19서버 앱솔루트 듀오, 20서버 밀키홈즈
21서버 유리쿠마, 22서버 밀리터리, 23서버 도쿄 구울, 24서버 혈관고 시즌
25서버 창궁의 파프너, 26서버 도그 데이즈, 27서버 듀라라라, 28서버 사사미양
29서버 쿄소기가, 30서버 킬라킬, 31서버 논논비요리, 32서버 칼리칼
33서버 프리큐어, 34서버 아이실드, 35서버 메르헤븐
5서버 언해피, 6서버 쿠로무쿠로, 7서버 소년 메이드, 8서버 하이 스쿨 플릿
9서버 플라잉 위치, 10서버 삼자삼엽, 11서버 빅 오더, 12서버 베르세르크
13서버 앙주 비에르주, 14서버 퀄리디아 코드, 15서버 터부 타투, 16서버 91 데이즈
17서버 대회 개막, 18서버 팔콤학원, 19서버 앱솔루트 듀오, 20서버 밀키홈즈
21서버 유리쿠마, 22서버 밀리터리, 23서버 도쿄 구울, 24서버 혈관고 시즌
25서버 창궁의 파프너, 26서버 도그 데이즈, 27서버 듀라라라, 28서버 사사미양
29서버 쿄소기가, 30서버 킬라킬, 31서버 논논비요리, 32서버 칼리칼
33서버 프리큐어, 34서버 아이실드, 35서버 메르헤븐
2.3. 광고의 무차별적 도용과 높은 수위
걸크러쉬 for kakao가 섭종된 이후 퍼블리셔가 바뀌고 다시 수입되었다. 하지만 광고 수위가 '''교성이나 신음소리가 나오는 등''' 게임과 비교해서 상당히 높기도 하지만, 각종 서브컬쳐 캐릭터를 무차별적으로 도용하고 도용하면서 실제 게임에 없는 요소를 마구 끼워넣은 '''허위 과장 광고'''가 문제되었다.
안 그래도 걸크러쉬로 한국에 정발될 때 당시에도 표절과 도용 문제가 심해서 국내 서비스를 미뤄야 했을 정도였었는데###, 운영까지 노답이라 해외 서버 전부 직영으로 하게 만든[2] 전 퍼블리싱보다 표절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물론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낫다지만 이걸 바꿔 말하면 광고의 도용만으로 상당량의 비판을 받을 정도. 심지어 첫글자만 따서 부르는 경우까지 있을 정도다.
실제로 신음이 나오는 등 수위가 쓸데없이 높아서 페이스북에서는 광고낼 때마다 여성부에 뇌물을 주냐는 리뷰까지 나오며[3] , 구글 플레이 스토어도 페이스북과 마찬가지로 광고를 지적하는 리뷰가 많아서 광고 문제 매크로 답변도 별도로 존재한다. 당연히 트페미들도 광고 수위를 비판할 정도.
당장 광고에서 도용당한 것 목록만 적어도 다음과 같다. 일부는 공식 이미지가 아닌 팬아트 도용인 경우도 포함되어 있고, 몇가지는 수위가 상당히 높은 것도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 유튜브 영상이고 공식 채널도 이 영상을 제외한 모든 영상을 비공개로 하고 비공개 영상으로 광고하는 상태라서[4] 주소를 뽑지 않는한 영상 다운로드가 어려워서 주로 캡쳐로 대체한다.
- 두근두근 문예부 - 유리, 모니카, 나츠키[5]캡쳐. 3월 말에서 4월초에 생겼다. 순서도 링크의 것을 따른다.
이름 바꾸고 호감도 같아보이지만 인게임에는 없는 UI도 넣은 것만 빼면 배경까지 도용했다. 표절이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계기. 다만 제작자가 이 작품 후속작이 없다고 한 것은 이 문제가 생기기 전이라서 이 도용과 연관 없다. - 소녀전선 - 실제 게임과 달리 게임화면 캡쳐에 후배만 넣어서 광고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링크
- DJMAX 시리즈 - Secret World. 이쪽은 캐릭터 도용이 아닌 음악 도용이며, 그외에도 도용한 몇몇 BGM이 저작권 문제로 음소거 처리되기도 했다고 한다. 링크
- 여신의 키스 - 디맥과 마찬가지로 음악을 도용 당했다.
- 블리치의 주인공쿠로사키 이치고의 호로화 가면도 도용되었다.영상 참조
- 엘소드 - 엘리시스링크[6] , 레나 바니걸 스킬컷인링크
- 클로저스 - 서유리[7]
- Zgirls - 사키 링크
물론, 도용한 Zgirls도 문서에 표절/도용 문단이 따로 있고, 이미테이션 게임 목록에 오를 만큼 심각하긴 하지만, 그래도 이쪽은 Zgirls의 오리지널 캐릭이라서 문제가 있다. - 에로망가 선생 - 이즈미 사기리[8]
- 함대 콜렉션 - 이쪽은 팬아트 도용 , 왼쪽이 센다이고 오른쪽이 프린츠 오이겐인 엉덩이 터치하는 광고도 팬아트 도용이었다.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사기사와 후미카, 호죠 카렌#[9] , 타카가키 카에데 링크, 닛타 미나미#, 후타바 안즈 #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시라세 사쿠야 링크.
- 얀데레 시뮬레이터 - 동영상 광고시 게임 플레이 화면 도용으로 자주 사용했었다. 링크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 링크
- One Room - 6화. 애니메이션에 버튼과 스텟만 넣은 사례.
- 붕괴학원 2 - 키아나 카스라나, 일부 무기들
- 블레이블루 - 노엘 버밀리온
- 동방 프로젝트 - 호라이산 카구야[10]
- 늑대와 향신료 - 오프닝인 여행의 도중(旅の途中)을 BGM으로 사용.근거 자료
- 미육의 향기 - 미사와 카오리[11]
- 우동나라의 황금색 털뭉치 - 오프닝 음악 도입부가 도용되었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렘 목소리를 도용. 목소리와는 아예 다른 자막이 나온다.
- Fate/Grand Order - 마슈, 프랑켄슈타인 [12]
- 도쿄 구울 - 서버 이름이 도쿄 구울이다.(...)
- 하츠네 미쿠 - #[13]
- 그외에도 애니메이션에 버튼이나 스텟 같아보이는 것만 넣거나 마지막에 버튼만 넣은 것도 여러건 있다.예시 1
[1] 대만 업체. 공모전 탈락 의상을 출시하여 저작권 문제로 논란이 된 댄스업도 이 회사다.[2] 이건 인도네시아 서버와 태국 서버의 운영도 한썹만큼 심각하던 문제도 있다.[3] 페이스북 아이디가 없다면 리뷰 페이지(링크 삭제) 참고. 3번째이며, 67개의 리뷰 중 영어로 된 리뷰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리뷰가 광고를 비판하거나, 광고의 도용을 지적하며 1점 준 리뷰이다.[4] 다만 다른 국가서비스도 마찬가지. 해외 서비스 채널에 국내 광고를 올린 경우가 있다.[5] 사요리는 다른 광고에서 당했다. 해외판 광고중에 있었으며, 리액션 비디오도 존재[6] 그랜드체이스와 엘소드 둘 다 나오지만 엘소드 이미지라서 엘소드로 적는다.[7] 특요일러, 사이버네틱 #[8] 페이스북 리뷰에 따르면 2차창작 도용이라고 한다.[9] 링크 기준으로 좌측이 후미카. 우측이 호죠 카렌. 둘 다 팬아트 도용이다. 그리고 하단의 3d게임 파트도 다른광고에 우려 먹었는데, 그마저도 인게임과 전혀 다르고 얀데레 시뮬레이터 도용이다.[10] 팬아트 도용.[11] 게임 플레이 중 미사와 카오리가 자는 모습에 표시기 를 넣어서 광고했다.[12] 팬아트 도용[13] 팬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