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 스쿨 플릿

 

'''하이후리'''
はいふり

작품 정보 ▼
'''장르'''
해양 일상 학원물
'''원작'''
AIS
'''원안'''
스즈키 타카아키(鈴木貴昭)[35]
'''캐릭터 원안'''
앗토
시노즈카 아츠토(しのづかあつと)
노가미 타케시
'''감독'''
노부타 유우(信田ユウ)
'''감독보좌'''
하시모토 노리코(橋本能理子) (2화부터)
코바야시 코지(小林公二) (4화부터)
'''시리즈 구성'''
요시다 레이코
'''캐릭터 디자인'''
나카무라 나오토(中村直人)
'''세계관 디자인'''
이시즈 야스시(石津泰志)
'''프롭 디자인'''
미야모토 타카시(宮本 崇)
'''미술 감독'''
사토 마사히로(佐藤正浩) (1~11화)
와타나베 케이토(わたなべけいと) (4, 6화)
마츠모토 카츠키(松本克樹) (4, 8, 10~12화, OVA)
'''미술 설정'''
사토 마사히로
후지세 토모야스(藤瀬智康) (4화부터)
'''색채 설계'''
이케다 히토미(池田ひとみ)
'''촬영 감독'''
하야시 코지로(林コージロー)
'''3D CG 디렉터'''
미야카제 신이치(宮風慎一)
'''편집'''
요시타케 마사토(吉武将人)
'''음향 감독'''
모리시타 히로토(森下広人)
'''음악'''
코모리 시게오(小森茂生)
'''음악 제작'''
애니플렉스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덕션 아임즈
'''제작'''
해상안전정비국(海上安全整備局)
'''방영 기간'''
2016. 04. 10. ~ 06. 26.
'''방송국'''
[image] 도쿄 MX, BS11 外 / (일) 00:00
[image] 애니맥스 코리아 / (월) 23:0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전12화 + OVA 2화
'''국내 심의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36]
'''관련 사이트'''
,
}}}
1. 개요
2. 내용
3. 주제가
6. 설정
6.1. 블루 머메이드
6.1.1. 블루 머메이드의 일곱가지 선서[1]
8. 회차 목록
9. 미디어 믹스
10. 고증 및 기타 오류
11. 평가
12. 기타

[clearfix]

1. 개요


[image]

'''바다에 살고, 바다를 지키고, 바다로 향하는'''

'''그것이 블루 머메이드!'''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 판의 어긋남에 의해 많은 국토수몰로 잃은 일본. 국토보전을 위해서 차례차례로 건설된 수상도시는 어느새인가 해상도시가 되어서 그것들을 잇는 항로의 증대에 따라서 바다를 지키는 많은 인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직업의 해상진출도 진행되어 바다를 지키는 직업 블루 머메이드가 여학생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 시대, 소꿉친구인 미사키 아케노와 치나 모에카는 '''블루 머메이드가 된다'''는 같은 목표를 가진 친구들과 함께, 요코스카의 해양고등학교에 입학한다.
그녀들의 명랑하고 즐거운? 해상학교생활을 그리는 TV 애니메이션이다.


2. 내용



[image]
'''하이 스쿨 플릿'''
ハイスクール・フリート
'''장르'''
해양 '''밀리터리''' 학원물
[image]
[image]
방송 전 광고판
방송 후 광고판[2]
여학생들이 해안경비대원의 꿈을 품고 군함을 타고 나갔다가 바다에서 우여곡절을 겪는 밀리터리물이 진짜 테마이다.
사실 '하이후리'는 공식 약칭이다. '''하이 스쿨 플릿'''[3]의 일본어 발음 '하이스쿠-루 후리-토'에서 앞 두 글자씩 따온 것이다.
이 작품은 방영 전까지만 해도, 사실 1화 방영 중까지도 '하이후리'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었다. 방영 전까지는 홈페이지, 공식 트위터, PV, CM 기타 등등 모든 미디어에서 '하이후리'라는 제목으로 홍보를 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1화 내에서도 아이캐치에 타이틀이 '하이후리'라고 나온다. 1화의 방영이 끝나면서 처음으로 하이 스쿨 플릿이라는 진짜 제목이 나타났고, 그와 함께 공식 홈페이지나 트위터 등의 제목도 하이 스쿨 플릿으로 바뀌었다. [4]
대한민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가 수입하여 방영했으나 저조한 인기때문에 '''2년만에 판권을 포기'''하였다. 때문에 2019년부터는 대한민국에 하이 스쿨 플릿 판권을 가진 회사가 없다. 인기가 저조하다보니 하이 스쿨 플릿 만화, 로렐라이의 소녀들 만화, 극장판 하이 스쿨 플릿 등이 다 수입이 안 된다.

3. 주제가


  • 오프닝
'''하이 스쿨 플릿 오프닝 테마 -High Free Spirits-'''
노래
TrySail[5]
작사
유마사키 케이스케, 타나카 하나노
작곡
유마사키 케이스케, 노무라 유스케
편곡
미즈구치 마사히로, 노무라 유스케
발매일
2016.05.11
발매사
애니플렉스
[image]
[image]
[image]
통상판
초회한정판
기간생산한정판
SVWC-70155
SVWC-70151~2
SVWC-70153~4
'''트랙'''
'''곡명'''
'''비고'''
01
High Free Spirits

02
僕らのシンフォニー

03
High Free Spirits [Instrumental]
기간생산 에서는 TV Size 버젼
04
僕らのシンフォニー [Instrumental]
기간생산 에서는 3번트랙 수록
05
僕らのシンフォニー [Instrumental]
통상판,초회판 에서는 없음


Full Version
오프닝이 공개되고 나서, 어느 군함 관련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영상에 이 오프닝곡을 덧입힌 영상이 나왔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TJ미디어에 27923번, 금영노래방에 44049번으로 수록되어 있다.
  • 엔딩
'''하이 스쿨 플릿 엔딩 테마 -Ripple Effect-'''
노래
하루나 루나
작사
ZAQ, 오츠카 리에, 하루나 루나
작곡
ZAQ, 후지나가 류타로, 야마구치 히로오
편곡
ZAQ, 마츠다 아키토, Saku
발매일
2016.05.25
발매사
SME
[image]
[image]
[image]
통상판
초회한정판
기간생산한정판
SECL-1907
SECL-1905~6
SECL-1908~9
'''트랙'''
'''곡명'''
'''비고'''
01
Ripple Effect

02
Dynamic Dreamers

03
サイレントカラーズ

04
Ripple Effect (Instrumental)
기간생산 에서는 TV Size 버젼
▲ 풀 버전

4. 등장인물


등장인물에 관한 부분은 하이 스쿨 플릿/등장인물 문서 참고

5. 등장함선


학교 및 등장함선에 관한 부분은 하이 스쿨 플릿/등장함선 문서 참고

6. 설정


자세한 것은 하이 스쿨 플릿/세계관 참고.
  • 작품 세계관 상의 일본
지반침하로 인해 일본 열도의 일부는 평야지역을 중심으로 침수되어 도시 기능을 정지한 상태다. 때문에 해상 도시들을 만들어 선단을 조직하는 것이 중요한 일본 국가 생존의 목표가 된다. 1화 마지막 장면을 보았을 때 관동 지역은 거의 완전히 수몰된 상태로 나온다. 원인은 러일전쟁이 끝난 후 본격화된 광물 메탄 하이드레이트 채굴로서, 채굴과 함께 지반침하가 발생, 도쿄타워가 있는 것으로 보아 1958년 후 부터 연안의 많은 도시들이 수몰되었다고 하며, 이 때문에 일본은 그 자리를 수상 플로트로 메꿔 새로 도시를 만드는 등 해양개발에 필사적으로 매달려 이후 해양대국으로 거듭났다고 한다.
6화의 린의 발언을 보아 러일전쟁 이후 일본 주변에서 큰 전쟁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1차대전 승전국 및 2차대전 패전국의 역사 또한 사라진 상태로 보인다.
이것과 블루 머메이드 설정을 고려하여 작중 연대를 추정해 보자면, 20세기 초반 각국이 바다를 둘러싸고 갈등을 높이고 있던 때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 평화 유지 수단으로 만들어진게 초대 블루 머메이드이며 이 사람이 곧 마시로의 증조모. 즉 마시로의 증조모는 당시 (블루 머메이드가 대개 젊은 여성인 것으로 보아) 20~30세 정도의 여성이었을 것이며, 이때부터 차례로 계산하면 작중 시점은 현실의 2016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작중 세계정세
일본의 침강현상이 판의 충돌 등 지각변동에 의한 현상이 아니라서 인접한 한반도는 가라앉지 않고 멀쩡하게 묘사된다. 11화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한반도는 분단도 없이 그냥 한국이다.
현실의 역사에서 러일전쟁 이후 5년만에 대한제국이 병합된것과 다르게, 작중 세계관에서는 일본육군의 패배로 대륙의 교두보를 상실하고 영미 양국에 이권을 양도하면서 한반도 식민지화는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한국 관련 미묘한 설정은 배제하려는듯 하지만, 하레카제의 해도에서 울릉도는 멀쩡히 표기해놓고 독도는 영문으로 리앙쿠르 암초로, 일어로는 다케시마로 표기된 것을 미루어보아, 저 세계에서도 독도 등의 수역 분쟁은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냥 협찬받은 해상자위대의 지도를 고대로 갖다 써서 그런 듯.
20세기 초 유럽에서 발발한 대규모 전쟁은 유럽에 국한된 것이라 세계대전까지는 아니고 유럽 동란이라 일컫는다.
작중 추크 섬을 식민지 시대의 명칭인 트럭 섬으로 부른다거나 애드미럴티 섬 제아들러 항구가 독일령으로 남아있는 등, 세계지도속 독일 세력권이 현실세계의 1차 세계대전 이전과는 별로 바뀌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 혁명으로 공산주의가 대두하자 독일을 소련 견제용 장벽으로 이용하려는 연합국진영의 의도에 따라 독일에 관대한 조건으로 휴전, 강화조약이 체결됨으로써 해외 식민지도 상실하지 않고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현실이라면 베르사유 조약으로 죄다 말아먹음). 또한, 독일인 캐릭터 빌헬미나는 평민으로, 테아가 귀족출신이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근대 신분제가 존속하는 독일 사회상을 엿볼수 있다. 더우기 2차대전도 발발하지 않은 세계관이라, 이로 말미암아 작중 독일은 바이마르 공화국도, 나치 독일도, 독일연방공화국독일민주공화국도 존재하지 않고, 21세기까지 독일 제국이 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빌헬미나가 사용하는 화폐가 마르크가 아닌 유로이기 때문에 유럽연합도 똑같이 존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주력군함과 현대 군함이 병존하고, 블루 머메이드가 활동하기 이전 자국의 경계수역에 기뢰를 까는 등의 행위가 이뤄지는 것과 RATt의 보고서 설명 일부가 영어로 되어있는 것, 빌헬미나가 대잠전에 대해 언급할때 미군 장비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보자면, 전쟁 없이 군비확장이 마구잡이로 이뤄지다가, 어느 시점에서 대규모 해군 군축조약이 이뤄지고 미국은 국제적으로 현실에 가까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것으로 추측된다. 하이후리 극장판에서 미국의 퇴역 해상요새가 테러단체에게 점거당해 적으로 등장했는데, 거대한 위용을 자랑하는데다 야마토급 전함 네척이 집중난타를 해도 끄떡도 없는 똥맷집을 자랑하고 수많은 무인기동 요새포와 구축함이 드나들 수 있는 내부 수로에 왠만한 저속전함 수준의 항속이 나오는 기동성까지 갖추고 있는 등, 거함거포주의 세계관에서 나올만한 오버테크놀로지가 죄다 등장한다.
  • 항공기
비행선은 있으나 비행기는 없는 걸로 보아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 개발이 실패한 세계관인듯 하다.
이는 노사 코코가 "새처럼 수소나 헬륨을 쓰지 않고 날수 있는 배는 없을까.."라고 하자 무네타니 마시로가 "그런건 공상의 산물이야"라고 하는 것과 이후 비행선은 자주 등장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비행기의 급격한 발달이 없었던 탓에 상대적으로 비행선의 전술전략적 메리트가 유지되어 도태되지 않고 21세기까지 존속하는듯.[6] 통신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시간동안 망망대해에서 배를 찾지 못한다는 상황 전개는 이를 바탕으로 한다. 비행기가 있으면 반란을 일으킨 배가 돌아다니는 것을 빨리 찾지 못할 이유가 없으므로.
팬들 사이에서는 이 설정이 항공병기체계를 (댓글)세계관에서 배제하기 위한 수단이라 짐작 중. 현실역사에서 설계초안이 본래 전함이었다가 항모로 개조/재설계된 아카기, 카가, 시나노 등은 작중에서 전함으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행선이 헬기 대용으로 사용되면서 헬기 데크에는 헬기 대신 비행선을 운용 중이다.
러일전쟁 이후 태평양에서 전쟁이 없었다는 설정에 기반해보면 항모기동부대 = 항공모함과 항공기의 시대가 오지 않았고 그로 인해 전함이 메리트를 상실할 일도 없이 거함거포주의가 유지된 채 현대 해전의 주력이 전함에서 바로 미사일 구축함으로 옮겨가는 과도기가 찾아온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완벽하게 공중 전력이 없는 세계관이 아니고 전술적으로 비행선이 쓰이기에 대공 전력 또한 그대로 살아있다. 다만 비행선의 대형동체와 느린 속력 탓에 현실세계에 등장한 신속한 대공사격 관제기능은 발달하지 못했을수도 있다.
  • 스킵퍼(スキッパー)
작중의 세계에서만 사용하는 고속단정의 일종. 현실에는 없는 종류이며, RHIB와 같은 용도이나 모터보트와 제트스키의 절충형으로 추측된다. 소형과 중형이 있으며, 출력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소형은 조종의 간편함과 낮은 가격 덕분에 통근이나 통학부터 우편 배달 등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이용된다. 코믹스에서도 아케노가 타고 다니는 민간용 오토바이와 같은 느낌으로 타고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중형의 경우에는 소형 면허를 1년 이상 보유한 이후에, 교통 법규를 위반하지 않은 채로 기능 시험에 합격해야만 면허가 교부된다고 한다.
참고로 하레카제에서 스킵퍼 면허를 가진 것은 아케노, 리츠코, 사토코, 히메 네 명 뿐이다. 하레카제에 두 기가 실려 있는 스킵퍼는 중형의 MYS-C180XR 모델로, 블루 머메이드에게도 정식으로 지급되는 고성능의 모델이다. 리미터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최고 속도가 시속 120km에 달한다고. 때문에 일반 함선으로 얻기 어려운 기동력을 이용해 승무원을 수송하거나 구조작업을 진행하는 데 투입되기도 하고, 비상시에는 소해구의 대용으로 투입하기도 한다. 작중 뭔가 꼬이면 죄다 스킵퍼로 해결하는 통에 치트키 취급받고 있다. 애니메이션 완결 이후를 다루는 하이 스쿨 플릿 만화에서 무네타니 마시로도 스킵퍼 면허를 취득하여 스킵퍼를 타고 다닌다.
  • 민간선
위의 해상 플로트 설정과 맞물려 이 곳의 민간선은 현실의 마을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보인다. 7화의 '신바시 상점가선(「しんばし」商店街船)'의 경우 상점가와 거주구가 제대로 마련되어 단함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곳에서 구할 수 없는 물건은 4화에 나온 '오션몰 시코쿠연안점(オーションモール四国沖店)' 해상 플로트의 상업지구에 들러 물품을 구비하는 식으로 살아가는 듯하다.
  • 해양안전정비국(海上安全整備局)
3화에 등장. 해상 선박, 혹은 직교함들을 대상으로 치안 활동 및 관리를 하는 단체로 보인다. 요코스카 여자 해양학교와는 비슷하거나 살짝 위의 단체. 요코스카 학교의 경우 해상 함선들에 대한 지휘권은 없으나, 자교 함선에 한해선 지시 우선권을 지니는 듯하다. 현재 전 해역에서 일어나는 직교함들의 연락 두절 상태에 대해 반란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다만 내부적으로 의견이 통일되지 않아, 4화에서 정비국 산하 안전감독실이 독단적으로 급양함 마미야와 공작함 아카시를 통해 하레카제를 보급해주며 도와주었다. 안전감독실의 경우 마시로의 언니 마시모가 실장으로 앉아있는 듯하여 가능한 듯하다.
  • RATt
RATt 증후군에 대한 부분은 하이 스쿨 플릿/RATt 참고.
  • 고양이
이소로쿠가 배에 거둬들여진 것은 하레카제만의 설정인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4화에서 등장한 아카시와 마미야에서도 보급품의 손상을 막기 위해 1마리씩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애초에 현실에서도 함내에 딸려들어온 쥐들이 보급품을 갉아먹는 문제로 많은 함선들이 고양이를 같이 승선시키기도 했다. 8화에서는 RATt와 접촉한 고양이는 바이러스를 전파시키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파시어스 작전(페르세우스 작전)
10화에서 최초로 언급. 현재 RATt에 감염되었다고 추정되는 스즈카제, 아마츠카제, 이소카제, 토키츠카제, 무사시를 탈환하는 작전. 블루 머메이드의 주도로 작전이 실행되나, 요코스카 학원 측 또한 협력한다. 이에 하레카제는 수리가 끝나는 대로 후방 제2진에서 파시어스 작전을 지원하라는 교장의 지시를 받는다.
작중 11화에서 작전의 핵심인 무사시의 저지와 탈환을 위해, 블루 머메이드 주력 함대가 무사시가 목격 되었던 필리핀 근방에 있었으나 이게 최악의 한수가 되었다. 무사시는 항로를 틀어 이즈 반도를 거쳐 도쿄만으로 향하는 중이었던 것. 이에 그나마 가까이 있던 후쿠우치의 함대만으로 무사시와 결전을 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이 때 하레카제는 지각을 피하기 위해 약간 빨리 출발 했으나, 오히려 무사시와 가장 가까운 함선이 되었다. 12화에서는 하라카제의 활약으로 작전은 성공으로 종료 되었다.

6.1. 블루 머메이드


블루 머메이드에 관한 부분은 하이 스쿨 플릿/블루 머메이드 문서 참고.

6.1.1. 블루 머메이드의 일곱가지 선서[7]


블루 머메이드 후보생이 된 자는 일곱가지 선서[8] 를 한다.
하나. 바다는 꿈. 이룰수 있는 길은 셀 수 없다.(一.海は夢―かなえる道は 百千万)
하나. 바다는 사랑. 마음으로 느끼고 살아간다.(一.海は愛―こころで感じ 生きていく)
하나. 바다는 인연. 드넓은 세상과 깊게 맺어간다.(一.海は絆―ひろい世界と 深めゆく)
하나. 바다는 별. 배움을 쌓자, 끝없이.(一.海は星―学びを積もう 果てしなく)
하나. 바다는 빛. 풍요로운 은혜에 감사한다.(一.海は光―ゆたかな恵みに 感謝する)
하나. 바다는 벗. 서로의 손을 잡고 서로를 돕는다.(一.海は友―互に手を取り 助け合う)
하나. 바다는 보물. 함께 소중히 지켜간다.(一.海は宝―皆でだいじに 守り継ぐ)

7. 줄거리


예고편 당시 성우들이 소개하는 제목이 따로 있는데, 여기에는 반드시 (가짜)를 붙여서 이것이 진짜 제목이 아님을 미리 알려준다. 일상물같은 제목으로 사기치는 건 여전하다. 참고로 예고편은 목요일 밤쯤에 업로드된다.
10화를 제외하고 모든 에피소드의 제목에는 "~로 핀치!(でピンチ!)"가 붙는다. 12화는 최종화라 예고편의 배경음도 다르고, 가짜 제목도 없다.
각 에피소드별 줄거리는 하이 스쿨 플릿/줄거리 항목 참고.

8. 회차 목록


'''회차'''
'''제목'''[9]
'''시나리오'''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TVA'''
#1
初航海でピンチ!
첫 항해에서 맞은 위기!

요시다 레이코
노부타 유우
(信田ユウ)

야마카와 코지
(山川宏治
타키가와 카즈오
(滝川和男)
카키노우치 나루미
나가노 타카아키
(永野孝明)
하기오 케이타
(萩尾圭太)
츠치야 히로아키
(土屋浩章)
후지타 마사유키
(藤田正幸)

나카무라 나오토
(中村直人)
오쿠다 요스케
(奥田陽介)

日: 2016.04.10.
韓: 2016.04.11.

#2
追撃されてピンチ!
추격으로 위기!

노부타 유우
사사지마 케이이치
(笹嶋啓一)

하시모토 요리코
(橋本能理子)

사토 미치오
(サトウミチオ)
오자와 마도카
(小澤 円)
모리마에 카즈야
(森前和也)
코바야시 신페이
(小林真平)
柏敦志
나가노 타카아키
쿠와하라 료스케
(桑原良介)

야마다 유케이
(山田有慶)

日: 2016.04.17.
韓: 2016.04.18.

#3
パジャマでピンチ!
파자마 상태로 위기!

스즈키 타카아키
(鈴木貴昭)

스미요시 아라시
(住吉 嵐)

히가 료
(芳賀 亮)
야마네 마사히로
柏淳志
오노 타카아키
(小野孝明)
츠치야 히로아키
쿠리하라 마나부
(栗原 学)
고토 요리코
(後藤依子)
코다 마사유키
(甲田正行)
이마이 마사미
(今井雅美)
和合薫

나카무라 나오토
코바야시 신페이
야마다 유케이

日: 2016.04.24.
韓: 2016.04.25.

#4
乙女のピンチ!
소녀들의 위기!

요시다 레이코
후지모리 카즈마
(藤森カズマ)

아베 타츠야
(阿部達也)

김재현 외
(キム ゼヒョンほか)

나카무라 나오토
오쿠다 요스케
사토 미치오

日: 2016.05.01.
韓: 2016.05.02.

#5
武蔵でピンチ!
무사시 때문에 위기!

오카다 쿠니히코
(岡田邦彦)

사사지마 케이이치
코시다 토모아키
(越田知明)

미시마 치에
(三島千枝)
모리시타 유키
(森下勇輝)
히토츠바시 유이치
(一橋優一)
이와타 코다이
(岩田幸大)
사이토 이쿠미
(斉藤育実)
사카모토 마이
(阪本麻衣)
모리타 카즈야
(森田和也)
오우 코쿠넨
(王 國年)

나카무라 나오토
야마다 유케이
코바야시 신페이

日: 2016.05.08.
韓: 2016.05.09.

#6
機雷でピンチ!
기뢰 때문에 위기!

스즈키 타카아키
사토 키요미츠
(佐藤清光)
후지모리 카즈마

사토 키요미츠
나가노 타카아키
쿠와하라 료스케
후지타 마사유키
쿠리하라 마나부
츠치야 히로아키
모리마에 카즈야
히가 료
히노 타카후미
(ひのたかふみ)

나카무라 나오토
오쿠다 요스케

日: 2016.05.15.
韓: 2016.05.16.

#7
嵐でピンチ!
폭풍우로 위기!

요시다 레이코
사사지마 케이이치
이이다 시게히사
(飯田薫久)

이이다 키요타카
(飯田清貴)
오자와 마도카
오우 코쿠넨
아이자와 슈스케
(相澤秀亮)

나카무라 나오토
야마다 유케이
코바야시 신페이

日: 2016.05.22.
韓: 2016.05.23.

#8
比叡でピンチ!
히에이 때문에 위기!

오카다 쿠니히코
니시지마 카츠히코
무라타 히카루
(村田 光)
고토 노리마사
(後藤礼雅)

사쿠라이 마사아키
(桜井正明)
미츠이 아사미
(三井麻未)
사토 코노미
(佐藤このみ)
우스다 요시오
(臼田義夫)
우라 류타
(宇良隆太)
야마다 마사시
(山田将司)
이마다 아카네
(今田 茜)
아이자와 슈스케

나카무라 나오토
오쿠다 요스케

日: 2016.05.29.
韓: 2016.05.30.

#9
ミーナでピンチ!
미나 때문에 위기!

스즈키 타카아키
이와이 코지
(祝 浩司)

안도 타카시
(安藤貴史)
아베 마사시
(阿部雅司)

타니자와 카오리
(棚澤香織)
니시다 미야코
(西田美弥子)
히가 료
쿠리하라 마나부
츠치야 히로아키
고토 요리코

나카무라 나오토
코바야시 신페이

日: 2016.06.05.
韓: 2016.06.06.

#10
赤道祭でハッピー !
적도제로 행복해!
[10]
요시다 레이코
후지모리 카즈마
타카타 마사히로
(たかたまさひろ)

후루야 코지
(古矢好二)
마루오카 코지
(丸岡功治)
우에타케 야스히코
(植竹康彦)
오오니시 히데아키
(大西秀明)
에마 카즈타카
(江間一隆)
후쿠치 카즈히로
(福地和浩)
나리마츠 요시토
(成松義人)
아이자와 슈스케
오우 코쿠넨

나카무라 나오토
오쿠다 요스케
야마다 유케이

日: 2016.06.12.
韓: 2016.06.13.

#11
大艦巨砲でピンチ!
대함 거포로 위기!

오카다 쿠니히코
사사지마 케이이치
무라카미 츠토무
(村上 勉)

요시다 코스케
(吉田巧介)
이카이 카즈유키
오오키 히로
(大木比呂)
사이토 아츠코
(齋藤温子)
야마다 에이코
(山田英子)

나카무라 나오토
코바야시 신페이
사토 미치오
쿠리하라 마나부

日: 2016.06.19.
韓: 2016.06.20.

#12
ラストバトルでピンチ!
마지막 교전으로 위기!

요시다 레이코
니시지마 카츠히코
후지모리 카즈마

하시모토 요리코
히가 료
오자와 마도카
사사키 타카히로
(佐々木貴弘)
츠치야 히로아키

나카무라 나오토
야마다 유케이
오쿠다 요스케

日: 2016.06.26.
韓: 2016.06.27.

'''OVA'''
전편
納沙幸子がピンチ!
노사 코코가 위기!

오카다 쿠니히코
후지모리 카즈마
노부타 유우

아베 마사시
이이다 키요타카
타니자와 카오리
야마네 마사히로
누마타 히로시
(沼田 広)
후지타 마사유키
쿠리니시 유스케
(栗西祐輔)
타키가와 카즈오

和合薫
쿠라야 료타
(倉谷亮多)

日: 2017.03.31.
韓: 미정

후편
納沙幸子もピンチ!?
노사 코코도 위기!?

스즈키 타카아키
시마즈 아키토시
(しまづあきとし)
노부타 유우

이시쿠라 레이
(石倉 礼)

히사마츠 사키
(久松沙紀)
타니자와 카오리
후지타 마사유키
이마다 아카네
우라 류타
야마네 마사히로

日: 2017.05.24.
韓: 미방영


9. 미디어 믹스


본래 애니가 방영되기 전, 코믹 얼라이브를 통해 2015년 10월부터 애니 분량의 전일담이 연재되었으며, 2016년 4월 23일에 이를 모은 애니메이션의 프리퀄 코믹스 단행본이 1권이 발매되었다. 학교 수험공부를 하던 시절 각 인물들의 관계와 일상, 서로 어떤 연결점이 있었는지 알 수 있으며, 1화 시점에서 아케노와 모에카가 함께 학급 발표를 보는 장면에서 1권은 끝난다.
또한 2016년 7월호부터 테아와 미나의 이야기를 그린 스핀오프 작품인 '하이 스쿨 플릿 로렐라이의 소녀들'이 연재 중이다. 독일편이라고도 불린다.
WEB라디오 '아케노와 마시로의 하이스쿨 플릿 라디오 하레카제 함내방송'가 방송중이다. 미사키 아케노 역의 나츠카와 시이나와 무네타니 마시로 역의 Lynn이 진행한다. 매주 토요일 23시 30분에 니코나마에서 방송 중. 끝나면 곧장 본편 TVA 방영시간이다. 차후 방송은 여기서 들을 수 있다. 첫 방송인 0화가 TVA 1화보다 일찍 방송되었는데, 이때는 아직 제목이 '하이후리'로 알려졌던 때라서 라디오 제목도 '아케노와 마시로의 하이후리 라디오(仮)'였다.
[image]
하이 스쿨 플릿 요코스카 적도제 2016 이벤트에서 2017년에 OVA 신작 발매가 결정되었다. 발매 일자는 5월 24일로 결정되었으며, 3월 31일 TV를 통해 전편(前編)이 선행 방송될 예정이라고 한다. #
애니메이션의 후일담을 그려낼 것이며, 내용은 일상적인 이야기와 함께 군함 배틀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7년 ova 전편이 방영되었다. 내용은 tva 본편 종료 후, 일상적인 생활을 보내고 있는 하레카제의 승조원들을 다시 모으라는 명령서를 전달하는 코코의 시점에서 진행된다. 승조원들이 모두 뿔뿔히 흩어질지, 아니면 하레카제를 다시 복구시켜 타게될지는 후편이 나와야 알 수 있을듯 하다.
2017년 5월 24일 OVA 후편이 발매되었으며, 후속 시리즈 제작 여부는 미정.
월드 오브 워쉽과의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했다.
1차 이벤트에서는 2017년 04월에 예고하였으며, HSF HarekazeHSF Graf Spee2017년 06월 30일 15:00부터 2017년 08월 04일 15:00까지 판매하였다,
2차 이벤트는 2018년 초에 예정되어있다.
3차 이벤트로 11월 8일부터 11월 29일까지 기존에 판매했던 함장6명과 하레카제,그라프쉬페,무사시영구위장이 프리미업 상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2020년 12월에 공식 스핀오프 소설발매하였다. TV 시리즈와 극장판 사이의 이야기를 다룬 4개의 일상 스토리이다.

9.1. 극장판: 극장판 하이 스쿨 플릿




10. 고증 및 기타 오류


  • 아무리 구식 전투함이라지만 실탄을 쏠 수 있는 전투함을 별다른 교육도 받지 않은 이제 갓 고등학생들에게 관리 감독도 없이 맡겨 바다로 보낸다. 비록 이 세계관에서는 중학교 때 관련 내용을 배워오고, 그 중학 3년간을 평가하는 첫 실습이 이 항해 실습이라고는 하나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적어도 각 병과별 훈육관 정도는 동승해야 정상이다. 실제로 현실에서 가장 비슷한 해군사관생도들이 4학년때 하는 순항훈련만 봐도 실제 함정 운용은 실무 장병들이 하고 생도들은 옆에서 교육을 받고 실습을 해 보는 형태이다. 거기다가 사관학교에서 따라 온 훈육장교들이 함정 내에서도 생활 통제를 한다. 3년 반 동안 각종 군사교육훈련과 승함실습을 받은 사관생도들도 이정도인데 고등학생들이 아무런 관리 감독 없이 원양 항해를 한다? 말이 안 된다.아무리 생각해도 이제 갓 고등학생이 된 등장인물들이 할 만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훈육관이 동승할 경우 따로 훈육관이 중도 퇴장하는 씬을 만들지 않으면 "미소녀끼리 고민하며 살아남는 스토리"를 그릴 수 없게 된다. 밀리터리 모에물의 장르적 한계라 볼 수 있는 부분.
  • 초반부 반란혐의 때 해양안전정비국의 대응이 너무 성급하고 이상하다. 해양안전정비국은 "현시간부로 하레카제의 입항을 불허. 저항시 격침해도 상관없다"는 지령을 하달한다. 사건을 조사해보거나 하레카제를 나포해 승조원을 심문할 생각은 안하고 정신을 잃어서 제대로 취조도 할 수 없는 교관의 말로 모든 혐의를 확정한 후 구축함 하나에 쫄아서 무작정 저런 명령을 내린거다. 이에 요코스카 학원 측은 크게 반발하며 "학생들을 위험에 빠뜨리게 할 수 없다"는 스탠스를 고수, 안전을 보장할테니 모항으로 돌아오라는 지시를 하달한다. 이는 토우마이 측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라는 걸 무사시에 대한 구조작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정비국 산하의 안전감독실은 대놓고 지령을 무시하고(!) 하레카제와 독자적으로 접촉까지 하는 등, 해양안전정비국이란 기관의 역할과 의의가 상당히 애매하다.
하지만 높으신 분들의 실험 도중 실패로 인한 뒷처리를 하다가 일어난 일이기에 어느정도 이해가 간다.
  • 자동화가 되었다는걸 감안해도 함정 운용 인원이 너무 적다. 한 반의 머릿수가 40명이 채 안되는데, 주인공이 탑승한 카게로급은 원래 필요 승무원이 200명이 넘고, 무사시의 경우는... 특히 24시간 당직이 필요한 조타, 통신, 전탐, 견시는 보직원이 각각 한명이고, 그나마 대리가 있다는 묘사가 나온건 조타밖에 없다. 통신이나 전탐, 견시는 어떻게 자동화로 다 퉁칠 수 있냐는 얘기는... 아래 전탐 파트 참조. 가장 큰 문제는 함내 인원 부족은 곧 유사시 대처능력 부족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작중에서도 몇 번 드러난 문제지만 인원이 부족해 교전 중 피해복구반조차 제대로 구성하지 못한다. 2차 대전기 미 해군은 대부분의 승조원들이 각자 맡은 구역의 피해복구반을 맡도록 편성하고 있었다. 반면 일본군은 따로 소수의 피해복구반을 두었지만 누가 나았는가 하면 머릿수가 월등히 많았던 미군 쪽이다. 미 해군의 피해복구반 편제가 보여준 능력은 경이로운 수준으로 침몰 수준의 피해도 몇 번이나 견뎌냈다. 가장 단적인 예로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 뉴올리언스는 함수가 절단되는 피해에서도 끝끝내 살아남았고[11] 요크타운급 항공모함 요크타운은 대파상태에서 이틀만에 복구된 것도 모자라서 전투 중 중첩된 피해도 복구해내 전황을 뒤집었다. 결국 격침당했지만. 비슷한 느낌으로 작중 부루마 부대 운용함선인 인디팬던츠 급도 자동화 등으로 30여명으로 운용인원을 줄였으나 3교대시 피곤이 누적되어 결국 인원수를 늘려서 운용중이다.
  • 전탐이 구식이다. 하레카제에서 사용하는 전탐은 전파에 반사되는 대상만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그야말로 2차대전 시절의 초기 전탐이다. 다른 걸 다 자동화시켰으면서 왜 항해 안전에 가장 중요한 전탐이 이 모양인지는 알 수 없다. 전탐의 능력도 극히 제한되어있어, 견시원의 발견보다 전탐의 발견이 늦는다. 가장 설득력 있는건 견시원을 띄워주기 위한 연출이기는 한데, 국제 해사법에서 전탐의 성능을 규정하고 있는 이유는 자함의 안전 뿐만 아니라 항해 중인 모든 함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12] [13]
  • 1화에서 하레카제가 사루시마에게 공격받을 때 지근탄으로 인해 하레카제가 크게 기우는데도 아케노와 마시로는 미동도 하지 않고 꼿꼿이 서있다.(...)[14]
  • 5화에서 무사시와 교전 중 마시로의 우현전타 지시 후 무사시의 주포탄이 발사, 하레카제 함수 우측에 피탄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직후 마시로가 바로 바깥쪽으로 피하라고 하면서 재차 우현전타를 지시하는데, 사실 바깥쪽으로 나가려면 좌현전타를 지시해야 한다. 그런데 바로 직후의 하레카제의 진로를 보면 좌현전타를 하고 있다.
  • 7화에서 신바시 상점가선의 조난 인원은 총 552명인데, 하레카제가 1시간 후 도착할 때까지 일체의 구명정이 뜬 묘사가 없다. 심지어 양현을 보면 탑재조차 되어 있지 않고, 이함한 사람들은 기껏해야 빈 상자에 매달려 있는게 고작. 물론 해사법상으로 모든 함선은 최대정원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구명정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그 세월호에서도 구명정은 다 갖추고 있었다. 안 띄우고 그냥 도망갔거나, 띄운 것도 작동이 안되는 것들이었을 뿐.
  • 7화에서 바로 당일까지만 해도 30명이 사용할 정수가 모자라서 식수까지 제한하고 있었는데, 신바시 상점가선을 구출하고 난 이후 조난자들에게 죽과 차를 비롯한 음식물을 제공하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조난자 총원 552명이다. 비상용으로 모아둔 식량이나 초과생산해버린 라무네(..)를 내놓고 해수를 끓여서 담수를 얻기도 했다지만, 그래도 감당이 될 양 같진 않아 보인다.[15]
  • LCS가 어째 일본의 아키즈키급의 무기체계를 쓰고있다. 미국 설계를 블루 머메이드가 자기들 입맛에 맞게 고쳐 쓴다고.
  • 무사시가 주포를 쏘는데 바닷물이 잔잔하다. 아이오와급 전함항목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16인치급 함포만 쏴도 폭압때문에 바닷물이 엄청나게 밀려난다. 이와 같은 문제로, 포성이 상당히 약하다. 비록 합성음이라도 크고 아름다운 46cm의 포성을 기대한 덕후들에게는 상당한 실망을 안기는 부분.
  • 11화 기관실에서 마론이 마시로를 두고 설득할 때 얘기가 함내에 퍼질까봐 전성관을 막는데, 전성관 자체가 그렇게 성능이 좋지는 않아서 관에 대고 직접 말하지 않으면 전달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럴 필요는 없다. 근데 작중 전성관을 보면 대고 말하지 않아도 다 들리고, 심지어 함교에서 싸우고 있는데 그게 전 함선에 생중계되는 등 엄청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현재 해군에서는 전성관을 잘 쓰지 않는다. 그냥 전화하거나 무선통신하는게 더 정확하고 빨리 전달되니까.
  • 교관 후루쇼 카오루가 어떻게 RATt에서 회복되었는지 묘사가 전혀 없다. 후루쇼 카오루가 회복되었을 때는 아직 항체가 발견되기도 전이었고, 가능성이 있다면 사루시마가 침몰하면서 해수를 뒤집어 썼거나 감염원인 햄스터와 격리되면서 자연 치유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일단 작중에서 묘사된 바로는 사루시마가 대파된 이후에도 하레카제의 반란 사실을 상부에 보고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RATt에 감염된 상태였고, 구조와 사루시마의 인양 과정에서 해수를 덮어썼거나 감염원과 격리된 것이라면 정작 사루시마의 감염원은 어떻게 처리했는지가 불명이다.

11. 평가







방영 전까지는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것 외에는 줄거리가 공개되지 않았고, 미소녀 동물원 분위기로 홍보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청 전까지는 '미소녀들이 배타고 다니는 학원일상물인가 보구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이후리'라는 뭔가 몽실몽실하고 큐트한 느낌의 제목, 논논비요리로 유명한 앗토의 캐릭터 원안, 그 논논비요리 TVA의 각본가였던 요시다 레이코, 일상물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차고 넘쳤다. 난민이라는 신조어까지 유행할 정도로 일상물이 유행하던 시기인데다가, 공개된 줄거리가 없다는 점도 일상물에선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일상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정작 방영되자 해상전이 벌어지고, 주인공의 배는 누명을 쓰고 쫒기게 되는 이야기가 전개되며, 일상물으로 예측했던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선사했다. 초기 방영 당시에는 하트풀봇코계열의 작품이 되는 것이 아닌가 의심받았을 정도였다.[16][17] 처음에는 주인공 일행이 반란군으로 쫒기는 내용이 나오며 혼란에 빠지면서도 종잡을 수 없는 작중 전개로 인하여 작품에 기대를 거는 시청자들이 많았다. 하지만 작품이 진행될수록 액션을 동반한 해상 도주극에 미소녀 일상물 뿐만 아니라 중반에 드러난 전염병에 대항하는 미스테리 요소나, 후반에 들어서는 주인공이 함장으로써 갈등하고 성장하는 성장극 요소가 부각되기까지 하면서, 작품 전체의 내용이 1쿨로 전부 다루기에는 너무 많은 주제를 다루게 되었다.
하이후리가 담고 있는 장르적 요소는 <주인공 성장>, <밀리터리>, <서바이벌 생존>, <미소녀 동물원>, <일상물>, <반전 메세지>[18], <미스테리 요소>, <반전요소>[19], <붙잡힌 히로인> 까지 9개. '''그리고 이 모든 게 1쿨.''' 이 중 절반만 골라집어도 애니 한 분기 분량이 나오는 수준이다. 막나가는 전개에 오죽하면 분할 2쿨이라는 추측까지 나왔을 정도.
설정이 어색한 부분이 있는데, 블루 머메이드는 전투함선이 아니라는 상징으로 여성 함장을 태운다지만 무기는 멀쩡히 작동하고 있으며 실탄까지 적재한다. 게다가 작중 일본은 육지가 물에 잠겨 바다 위에 도시를 건설하는 해양국가인데, 동원한 함선이 LCS 몇척과 학원함뿐이었다. 사정이 있어서 동원하지 못한 함선도 있고, 이미 파손된 함선도 있지만 긴급상황에 동원할 방어전력이 저것뿐이란 얘기는 사실상 학원함들을 국가방위에 투입하고 있었다는 것과 다름없다. 첫 항해에서 실탄을 적재하고 있었던 것까지 포함하면 말이 학원함이지 국가방위의 한 축을 어린 소녀들이 맡고있는 상황으로 해석하기에 무리가 없다. 주인공이 싸워야 이야기가 진행되는 밀리터리물의 특성을 고려하면 설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를 감안해도 다소 무리가 있다.
각본에도 문제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정형화(하레카제가 위험→기지를 발휘해 돌파)된 전개가 반복되며, 3화의 브리핑 화면에 실종된 것으로 표시된 함선을 6화에서 다시 보고하자 그때서야 대책을 세우려는 등 각본에 구멍이 존재한다. 또 주인공은 함장이라는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번이나 작전 중 자신의 위치를 무단으로 이탈하고, 그 행동에 대해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옹호하는 스토리가 전개되는데 그 깊이가 얕아 억지 감동처럼 여겨진다. 한편 추격극의 미스테리 요소였던 전염병은 원인이 밝혀지자마자 갈등이 허무할 정도로 간단히 해결되었다. 특히 감염원인 쥐는 정체가 밝혀진 뒤로는 묘사가 줄어들더니 결국 마지막화까지 어떻게 처리했다는 언급도 없이 끝났다. 본 애니에서 가장 잘 만들어진 부분으로 여겨지는 일상 파트의 어필 포인트 중 하나였던 많은 캐릭터도, 주인공이 속한 지휘과를 포함한 일부 캐릭터에 스포트라이트가 편중된 결과, 결국 작품이 끝날 때까지 캐릭터들의 이름을 전부 못 외운 시청자가 많을 정도였다.
연출에 있어서, 최종화에서 하레카제가 무사시에 접현하자 어째서인지 무사시가 그대로 정지하는 등 어색한 연출들이 존재한다. 또한 전투 장면에서 캐릭터들이 해상전의 상식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등 아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등장인물들은 처음으로 배를 운행하는데다가, 두 명을 제외하고는 낙제를 간신히 면한 학생들이라는 설정이기에 납득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다소 아쉬운 부분. 무장이 달린 전 군함을 운용하면서 긴장감이 너무 떨어지지 않느냐는 지적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 오디오 코멘터리에서는 제작진이 "하이후리의 세계관은 100여년간 전쟁이 일어나지 않아 전투나 위기상황에 대한 긴장감이 없다"고 발언했다. 그런데 작중에는 한 척으로 십수 척의 무장선단을 전멸시켰다는 전설적인 지휘관이 등장하니 설득력이 다소 부족하다.
작화는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한다. 카키노우치 나루미, 야마네 마사히로, 아베 노조무 등 베테랑 애니메이터들을 다수 투입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캐릭터들이나 수상전에 대한 묘사는 대체로 호평. 비록 고증 관련된 문제가 있으나, 클래식한 수상전을 묘사한 미소녀 애니메이션은 이거밖에 없다[20]. 게다가 동분기 작품들과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의 작화를 선보여서 영상의 화려함은 평가가 높다. 일본에서는 순위권에 드는 BD 예약률을 보이고 있다. 미소녀와 밀리터리를 함께 좋아하는 덕후들은 그동안 좁았던 시장이 걸판의 폭주를 시작으로 넓어져간다는 의미이기에 지지를 보내는 팬들도 있는 편. 다만 굳이 미소녀 컨텐츠에 한정하지 않을 경우 지팡구처럼 역사와 해상전을 모두 상세히 다루는 경우가 있다.
결국 대부분의 문제는 '2배 정도의 내용을 12화 분량에 우겨넣었다' 라는 결론으로 귀착된다. 시야를 멀리 두고 전반적인 플롯만 보면 매력적이지만, 세세한 부분, 특히 바이러스의 치료과정 등 심도있는 갈등을 걸쳐서 갈 수 있는 내용을 몇몇 개연성을 희생하거나, 본작 최고의 사기 캐릭터인 카부라기 미나미와 같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적인 요소를 통해 급하게 요약해버린 느낌이 강하다. 이러한 장치에 대해 얼마나 관대하느냐가 의견이 갈리는 관건.
밀리터리 모에물인데다가, 병기의 캐릭터화가 아니라 캐릭터들이 병기를 운용한다는 큰 공통점이 있는 걸즈 앤 판처와 주로 비교되었다. 일본 웹사이트에서는 하이후리의 응원 구호도 걸판의 호평에서 따온 '하이후리는 좋아(はいふりはいいぞ。).'를 사용할 정도였다. 하지만 스토리 전개가 왕도적인 스포츠물인 걸즈 앤 판처와는 판이하고, 이에 더해 위에 적은 여러 비판점 때문에 해상전판 걸즈 앤 판처를 기대하고 애니메이션을 감상했던 대다수의 당시 시청자들에게는 실망을 안겨주었다.
사실 걸판에서 고증과 슈퍼바이저를 담당한 스즈키 다카아키와 시리즈 구성에 요시다 레이코가 똑같이 참여했고, 실제로 비슷한 특징이 다수 발견된다. 심하게 파격적인 세계관 설정과 성장 중심 스토리는 두 스탭의 장기다. 물론 걸판은 같은 1쿨 분량이지만 많은 분량을 처내고 '미소녀들이 전차로 화려하게 싸운다'는 볼거리를 확실히 부각시켜 성공한 것이다.[걸판_스포일러]
함대 컬렉션의 애니메이션과도 비교되는 경우가 있는데, 깡애니와 비교하자면 하이후리는 일상물과 진지한 스토리로 양분된 칸코레와 달리 분량 이상으로 스토리를 늘렸다가 전체의 완성도를 말아먹었단 단점이 있지만, 조연들을 희생시키거나 꿈에 나온 신부 드립을 쳐서 일부 열성을 제외한 원작 팬이나 백합계 팬들도 학을 뗀 칸코레의 전철을 밟지 않고, 평균 이상의 완성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밀리터리적 요소로도 수상전의 연출은 칸코레와는 비교하는게 실례인 수준. 이러한 면과 대대적인 홍보로 인해 밀리터리를 내세웠음에도 2016년 2분기의 일상물 난민 대피소의 역할을 한 애니 중 하나이기도 하다.
BD/DVD 초동 판매량이 6천장 후반대로 집계되었다. 어느 정도 작화가 나온 전투장면과 호평을 받은 안정된 작화, 미소녀 동물원과 전투장면의 적절한 조화, 업계의 강력한 홍보 등의 이유로 괜찮은 판매량이 나왔다. 2주차 집계에서 8천장을 넘기며 선전을 이어갔다.

12. 기타


또 일본의 IT미디어는 레코더가 녹화를 할 때 프로그램 제목으로 예약을 하는데, 이 때문에 '하이후리'로 예약해놓으면 원래 제목인 '하이스쿨 플릿'과 달라 녹화에 실패할 수도 있으니 2화부터는 아예 새로 예약하는 것이 좋겠다는 말을 남겼다.
여담으로 걸즈 & 판처의 전투시 BGM과 매우 흡사한 BGM을 매우 흡사한 상황에 사용한다. 일본에서도 이 반응은 매한가지라, 니코생에서 재방송을 할 때 "구루구루 작전이예요!" 라던지 "'걸판이냐www"'하는 반응이 시도때도없이 올라왔다(...).
더불어 걸판이 오아라이읍을 관광지로 개발시켰던 것을 노리는지 배경이 된 요코스카를 띄워주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주요 성우들의 요코스카 탐방 인증은 물론이고[21] 철도를 타고 스탬프를 모으는 이벤트, 지역 신문에 하이후리를 게재하는 등 상당히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게이머즈가 이 작품을 밀기 시작했다. 아니메이트와 함께 포인트제 특전 이벤트를 시작했고, 아키하바라 본관 엘레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하이후리 사양으로 맞추면서 엘레베이터 쪽에는 기관장 마론의 광고 음성도 추가했다. 설정 항목에 쓰인 일곱가지 선서도 게이머즈 에스컬레이터에 걸려있는 것.
본방 시작 1시간 전에 니코니코 생방송에서 전 주 분량을 방영해 주는데 "일본"의 "군함"을 그리는 작품 특성 상 방송 시작 전 AA욱일기를 그려내는 사람들이 보인다. 라디오 생방 쪽에는 이런 경우는 보이지 않는 듯하나 전 주 애니 재방을 보려는 위키니트들은 이 점을 염두해두는 편이 좋을듯.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하는 character1이란 행사에 참가가 결정되었으며, 9월 24일 요코스카 예술극장에서 이벤트도 결정되었다. 또한 5월 14~15 양일간 요코스카 미카사 공원에서 개최된 <요코스카 카레 페스티벌 2016>에 참가해 굿즈들과 한정 요리를 판매했다. 세가와도 콜라보를 진행해, 세가의 게임 센터에서 6월 한달간 하이후리 특전과 기간한정 크레인 경품을 선보였다.
6월 11일~12일 양일간 <요코스카 YY 탈것 페스타>에 부스로 참가해 굿즈를 판매했다. 다만 일요일의 토크쇼와 맞물려 장소 선정에 상당한 악의가 보였는데, 성인 남성 기준 걸어서 20분 거리를 두고 있는 미카사 공원과 베르니 공원에서 각각 따로 행사를 진행해 '''강제로 덕후들에게 요코스카 관람을 시켰다'''(...). 요코스카에 살지 않는 이상, 흔히 도쿄나 사이타마, 치바에 사는 사람들은 아침 일찍 도쿄 도외지인 요코스카로 가는게 힘들기에 10시~11시 정도에 도착하는게 일반적인데,[22] 이때 도착한 사람들은 미카사 공원에서 토크쇼를 듣고 베르니 공원까지 간 뒤 부스 굿즈를 구매해야 했다. 물론 토요일 반이나 일요일 오전에 온 사람들에 의해 대개 동이 나 있다.[23] [24] 일찍 와도 두 공원을 왔다갔다해야 하는건 피차 일반. 게다가 오후 2시에 또 해자대 총감부에서 성우 토크쇼를 열었기에, 갈 사람들을 빠르게 이동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건, 이 두 공원을 중심으로 한 <탈것 페스타>는 '''아이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한 일반 행사다.''' 즉, 상당한 일반인 인파를 뚫고 다녀야 한다는 것. 심지어 베르니 공원쪽에는 이즈모급 1번함 '''이즈모를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당한 인파가 몰렸다.[25] 또한, 일요일의 경우 전날 방영한 캐릭터 중심의 10화와 맞물려 베르니 공원~미카사 공원~요코스카 중앙역~스와 오오가미샤[26]까지의 성지순례 루트에 있는 모든 해군카레+체리 얹은 치즈케익을 파는 가게를 털기 시작하면서 오후 1시쯤에 대로변의 가게가 하나 둘씩 품절로 문을 닫더니, 오후 4시 쯤에는 해당 루트 안, 요코스카 중앙역을 중심으로 상당한 반경의 해군카레+치즈케익 집이 '''전부 품절'''되는 기현상이 일어났다(...)[27]
해상 자위대의 협조 하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들이 사용하는 용어들도 전부 해상 자위대에서 실제로 쓰이는 용어들이라고 한다.[28] 참고로 함장의 발음도 일반적인 발음과 다른 이유도 전부 해상 자위대측 원 악센트가 모티브라고 한다. 이 작품은 걸판과는 달리 스즈키 타카아키는 군사 내용을 애니메이션에 어떻게 넣을지를 감수한 것이고, 실질적인 군사고증은 코다카(小高) 씨와 '안경 메이드로이드'라는 닉네임을 쓰는 사람이 담당했다고 한다. 성우들에게 위의 발음 교육을 한 것도 이 둘.
미묘하게 보급과 명령체계에 한해선 현실적인 묘사를 보여준다. 다른 부분에선 현실성 따위는 신경쓰지 않는 듯하나, 설정 상 같은 학년의 학급이면서도 상하관계가 나름 잡혀있다던지, 항상 보급문제에 시달리며 정수가 부족해 해수로 목욕 및 세탁 등을 한다던지[29], 절수 중에 비가 오자 다들 신나서 갑판 위에서 목욕을 하고 물을 받는다던지[30] 하는 모습들이 보인다.
주인공 함정으로 카게로급 구축함이 선정된 이유는 "카게로밖에 마땅한 것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함급을 올려버리면 전투를 그리는 것도, 캐릭터를 충실히 그리는것도 불가능해지기에 구축함으로 정했으며, 그 중에서도 그나마 함 내부에 관한 자료가 어느정도 남아있는 것이 카게로급 뿐이었다고. 그 이전의 구축함(대표적으론 유명한 후부키급)은 전쟁 중 전부 소모되었기 때문에 자료가 전무하지만, 카게로급의 경우는 자료가 어느 정도 남아있으며 유키카제의 경우는 비교적 최근까지 존재했었기 때문에 고증하기가 쉬웠다고 한다. 물론 이러고도 부족한 것들이 있기에, 호위함 쿠라마에게서 증기관 터빈의 소음 표본을 채취하거나, 1술과학교 및 2술과학교로 가서 포술과 어뢰 등을 배우고, 이러고도 부족해 대전기 미국 구축함의 어뢰발사관에 대한 자료가 남아있어서 이것을 바탕으로 고증했다고 한다. 작중에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은 함교 내부로, 함교에 있는 자잘한 기계들까지 전부 그려내었기에 나름 자신이 있다고 한다.
여담으로, 스즈키 타카아키는 개인적으로 쿠마급 경순양함 타마와 키소를 한번쯤 그리고 싶었으나, 시나리오 상 낡은 경순양함이 나와서 할게 없기에(...) 출연시키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한다.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국의 bilibili에서 4월 17일부로 본 애니의 방영이 중지 되었다. 이전에 방영된 분량도 전부 사라지고 정규판 방송에서 강판된 상황. 2차대전 일본군의 전함이 소재라는 점이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어 중단한 듯 한데, 한국에서는 방영되지 않은 극우 미디어물게이트 - 자위대. 그의 땅에서, 이처럼 싸우며, 마법과고교의 열등생[31]이라든지, 야스쿠니 신사 드립으로 물의를 빚은 소니애니까지 방영 취소 없이 잘만 방송하던 중국이었기에 한국에서도 멀쩡히 방영되는 이게 왜 방영이 중지됐냐는 반응이 많다.
다만 중국 입장에서 보자면 아무리 아직 이렇다 할 극우적 요소가 없는 작품이라고 한들, 중일전쟁때 적성국이던 나라의 실제 군함은 껄끄러울 수 밖에 없는 듯 하다.[32] 게이트와 마고열이 극우물로 논란은 있으나 두 작품은 가상의 등장인물이 가상의 적들과 싸우는 내용이지만, 본 애니에 등장하는 일본군은 진짜로 중국과 사생결단을 치뤘던 대적들이다 보니 그런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이전에도 함대 컬렉션 역시 한국은 물론 중국에서도 방영이 되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일본 우익사관을 비판하는 애니메이션인 동 분기조커 게임도 한국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방영되지 않았다. 특히나 일본 해상자위대는 센카쿠 열도 등 중국과의 영토분쟁에서 중국 해경, 해군과 직접적으로 충돌 할 수 밖에 없는 사이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혹시 군국주의적 요소가 있는 작품일까봐 걱정하는 팬들 역시도 아직은 적지 않은 편이다.
[image]
11화에서 일본과 한반도의 지도가 나오는데, 약간 흐릿하긴 하지만, 울릉도 옆의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시해 놓은 것이 나온다.''' 지도에서 다른 섬들의 경우 제주도 처럼 큰섬이나, RC가 있는 섬 빼고는 지명 표기를 안해놨다는 점에서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했음'''을 알 수 있다. 어느 영토인지 표기는 안했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다른 애니메이션에서는 독도가 누구땅이라고 생각하든 간에 정치적인 논란을 피하기 위해 독도를 지도 상에서 지운다. 하지만 이름을 넣었다는 것은 일본 영토라고 여기고 그려넣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한반도랑 일본 사이의 해협을 통째로 쓰시마 해협이라고 표기했다. 쓰시마랑 일본 열도 사이의 해협이 쓰시마 해협이고 쓰시마랑 한반도의 해협이 부산해협이고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해협을 통틀어 대한해협이라 칭한다. 쓰시마 해협이라고 칭하려면 쓰시마와 규슈 사이의 해협만을 가리켜야 하는데 그런 거 없이 통째로 쓰시마 해협이라고 표기한 것.[33]
다만 이 경우는 이 애니가 자위대의 협찬을 받았고, 당연히 자위대에서 해상보안청에서 발간한 해도를 쓰지 한국해양개발에서 발간한 해도를 사용하지 않을테니 일어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실제 해상보안청에서 발간한 W1009번 해도 (Nippon and Adjacent Seas)[34]를 참고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해도엔 독도가 표기되어 있고 한반도와 일본사이 해협 전체를 쓰시마 해협이라 표기하고 있다.
독도의 경우는 해상보안청에서 발간한 해도에 다케시마라고 표기되어 있고, 한국해양개발에서 발간한 해도엔 독도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영국 수로국에서 해상보안청의 W해도 시리즈를 재발행 하여 JP해도로 출시 하고 있는데 여기엔 독도가 리앙쿠르 암초 (독도/다케-시마)로 병행 표기되어 있다. 다만 위에 서술했다시피 당연히 해상자위대에서 굳이 영국 수로국 발간해도를 쓸 일은 없고, 위 화면에 나온 W1009번 해도는 영국 수로국에서 JP시리즈로 내놓지 않는 해도이다. 다만 논란을 고려하여 삭제를 하던가, 차라리 병행표기를 했으면 좋았을 아쉬운 부분.
그 외에는 그닥 논란요소라 할 만한게 없는 편. 심지어 다른 작품들에서 이런저런 설정을 끼워 넣어 현실에서는 사라진 '일본군' 을 은근슬쩍 혹은 대놓고 부활시키지만 여기서는 '''오히려 일본 해군이라는 말은 전혀 안나온다.''' 오히려 해상자위대나 해상보안청과 비슷한 역할이다. 무엇보다 작중 요코스카 여자 해양 학원장 무네타니 마유코가 적이라 할 수 있는 RATt를 '''마치 군대 같다고 표현하는것은 명확히 군대를 부정하는 발언이다.'''
다만 일본 내에서는 육해공 자위관 모집 포스터에 해당 작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사람에 따라선 모에팔이로 민감하게 받아들일 여지가 있다.#
월드 오브 워쉽 아시아서버 공지사항에 푸강아 콜라보를 마친 뒤 하이후리와의 콜라보를 예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지도 떴다.링크

2018년 4월 7일, 2주년 기념 발표회에서 완전신작 극장판 제작이 결정되었다. 다만 같은 해, 6월에 애니 제작사였던 프로덕션 아임즈가 파산했음이 알려지면서 제작이 백지화되는 건지 다른 회사가 이어받는 건지 미지수가 됐다. 그리고 극장판은 A-1 Pictures가 맡는다.

[1] 애니 방영기간동안 게이머즈 아키하바라 점 에스컬레이터 쪽에 걸려져 있는 문구.[2] 아키하바라 라디오회관 빌딩[3] fleet. 선단, 기단 등을 뜻하나 일반적으로 '''해군 함대'''를 뜻할 때 쓴다. 참고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fleet'는 'ee'가 장음이므로 '''플리트'''라고 쓰는 게 맞다.[4] 반대로 약칭이랑 원래 제목이 바뀐 경우도 있었는데 7개월 전 방영했던 스타뮤도 초기에는 하이스쿨 스타 뮤지컬 이란 타이틀로 공개되었으나 어느 새 스타뮤로 변경되었다. [5] 하이후리의 배역으로 치면 아케노, 미캉, 모에카.[6] 실제로 라이트형제의 발명이후 인류의 항공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한 이유는 전적으로 2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한 항공기의 가치가 크게 인정받았기때문이다. 전쟁이란 특수한 환경에서 항공기의 속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엔진기술이 발전했으며, 그와동시에 항공기의 공기저항을 고려하면서 공기역학등이 발전하는등 전쟁은 항공기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7] 애니 방영기간동안 게이머즈 아키하바라 점 에스컬레이터 쪽에 걸려져 있는 문구.[8] 원문 ブルーマーメイド候補生七つの誓い[9]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0] 하이후리의 제목은 보통 끝에 '~위기!' 가 붙지만 이 회차만 끝에 '행복해!'가 붙는다[11] 똑같이 함수가 절단된 일본 구축함 아마츠카제는 결국 침몰했다.[12] 레이더 기술은 2차대전 시기 대공방어를 위해 급속하게 발전했다. 비행기와 2차대전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서는 레이더 기술과 기기를 발전시킬 필요성이 크게 떨어졌을 것이다. 최초의 레이더 실험은 비행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레이더가 최초로 활약한 전투 역시 대공방어전이었다.[13] 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핑계인게 1화에 보면 현대식 레이더가 멀쩡히 있는데다가 거기에 나중에는 미사일도 나오는데 레이더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다? 그럼 미사일은 뭘로 유도했단 말인가? 그저 고증오류인거 맞다[14] 폭풍우로 인한 황천 항해나 작중에서 이렇게 심한 포격을 당하는 상황이 자주 나오는데, 그에 비해 함교 내부가 좀 많이 심심하게 보여진다. 원래는 중심도 유지하기 힘들어야 하는데 멀쩡히 서있는 경우가 좀 많이 나온다.[15] 억지를 부리자면 폭풍우 치는 속 와중에서도 어찌어찌 빗물을 받아 그것을 정수해서 사용 했다고 우기면 되지만 폭풍우가 치면서 상부갑판의 출입을 통제했고, 모아둔 빗물도 다 날려버려서... [16] 다만 눈치가 빠르거나 선행상영회 정보를 초기부터 접한 사람들 중에는 일상물 치고는 등장인물이 지나치게 많고, 해상자위대 협찬에 홍보행사를 기념함 미카사에서 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일상물이 아니란 예측을 한 사람들도 간혹 있었다.[17] 1화 엔딩 크레딧에 올라온 협조 명단에 보면 일본 해상 자위대 막료감부 총무과 공보실, 해상 자위대 1 술과학교 및 2 술과학교, 호위함 쿠라마(시라네급 헬기구축함 2번함), 자위대 요코스카 지방 협력본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공익재단법인 미카사 보존회의 이름도 협조명단에 올라와 있었다.[18] 군대에 대한 부정적 발언과, '''전체주의를 일본에 퍼뜨리려는 것을 막는 스토리'''[19] 묘한 스토리적 반전에 집중한 결과 일상-밀리터리에서 한 번, 반란-RATt에서 또 한 번 주제 전환이 일어난다.[20] 푸강아의 경우가 있긴 하지만 이쪽은 완전히 판타지의 영역이라 장르가 다르다.[걸판_스포일러] 걸판에서 심적 상처를 가지고 있었던건 주인공 미호 한명이고 이야기가 진행되며 우정을 통해 서서히 극복하는 간단한 전개다. 가정갈등에 대해선 아예 모녀가 안 만나게 만들어 버렸고 나머지 팀원들은 전차도를 하며 알아서 해결책을 찾아 성장한다. 메세지는 특별히 넣지 않았고, 세계관 설명은 최소한으로 하거나 외전·설정집으로 넘겨버려서 '그냥 이 세계에선 그런가 보다'하고 대충 넘어갈 수 있는 오락물로 완성했다.[21] 요코스카 군항에 있는 니미츠급 핵항모 로널드 레이건 호를 찍어 올리는 등(...)[22] 나카노 기준 요코스카까지 약 1시간 반 소요. 무엇보다 이 이벤트는 규모가 작은 이벤트라 코미케나 코믹1같은 거마냥 새벽 일찍 준비할 필요성도 크지 않다.[23] 게다가 미카사 공원에 가서 안내원에게 하이후리 부스 위치를 물으면 일괄적으로 베르니 공원으로 가야 한다고 안내해줬다. 대개의 경우 이벤트와 부스는 같은 곳에서 할 거라는 생각을 쉽게 할 수 있기에, 심지어 베르니 공원이나 미카사 공원이나 같은 행사를 하고 있는, 각기 다른 장소였기에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대강 준비해 간 사람은 부스만 찾고 토크쇼는 못찾는 현상도 생겼다.[24] 물론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은 울분을 삼켜야 했다.[25] 격납고에서 항공기 엘레베이터를 이용, 갑판 위까지 올라가 마음껏 구경할 수 있었다. 주변에 정박중인 아타고급, 공고급, 무라사메급, 소류급은 덤.[26] 2화에 어린 마시로가 방문한 신사[27] 특히 요코스카 시내 해군카레 No.1이라는 플래카드나, 하이후리 포스터를 붙여서 덕후들의 어그로를 끈 가게는 얄짤없이 품절되었다(...)[28] 숫자를 셀 때 마루(0), 히토(1), 후타(2) 등을 사용하는 건 국군이 숫자를 셀 때 하나, 둘, 삼, 넷 등으로 읽는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군대식 읽기법.[29] 국내 격오지 부대들도 다들 급수 사정이 좋지 못하기에 격오지 출신 군필자라면 십분 공감할 내용(...)[30] 더 퍼시픽의 한 씬을 떠올리게 하는 장면이다.[31] 해당 작품은 극우 성향을 넘어서 아예 '''한국 영토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32] 한국이 일제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주로 '식민지 지배', '위안부' 등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중국이 느끼는 감정은 '일본군', '중일전쟁'이라는 조직과 전쟁 자체에 맞추어져 있다.[33] 사실 해상자위대의 해도를 적당히 어레인지해서 독도와 대한해협 문제가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대한해협까지 쓰시마 해협(서쪽)이라고 부르는 경우이 있고, 자위대 측에서는 당연히 독도를 일본의 섬이라고 여기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34] 이 해도는 애니에 나온 해도와 같이 중국 동해안 일부와 한국, 일본 전역 및 필리핀 동부까지 커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