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MS)
1. 제원
2. 소개
기동전사 Z건담부터 등장하는 에우고의 양산형 모빌슈트.
연방에는 주력제식기인 짐 II가 존재했으며 당연히 연방의 군벌인 에우고도 짐 II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짐 II는 짐에서 큰 설계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근대화 개수에도 불구하고 성능적으로는 주목할 만한 점이 없었다. 이에 따라서 에우고의 요구대로 에너하임이 설계하고 개발한 모빌슈트이다.
제작에는 건담 Mk2에서 얻은 무버블 프레임과 크와트로 대위가 가져온 건다리움 감마가 사용되었으나, 애너하임 측에서 돈이 들어가는 신규설계를 기피했기 때문에 짐 계열[1] 의 설계를 발전시켰다. 즉, 짐 계통 기체 중에서는 최초의 제2세대형 모빌슈트인 셈.
원래는 같이 개발된 마라사이와 함께 에우고로 넘겨질 예정이었으나, 애너하임 쪽이 에우고와의 커넥션을 의심한 티탄즈의 눈을 속이기 위해 티탄즈에게 마라사이를 넘겨주는 바람에 네모만이 에우고에서 운용된다. 물론 '악역'스러운 마라사이는 '''악당'''인 티탄즈 쪽에 넣고 '''선역'''인 에우고에는 짐 계열인 네모를 넣었다는 게 현실의 사정이라고...
이렇기에 다루기도 쉽고 성능도 나쁘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는 '''건다리움 입힌 짐'''이나 다름없는 네모는 형제기이자 적수인 마라사이보다 한 단계 아래로 인식된다. 그 이름 그대로 '아무 것도 아닌' 셈. 짐 II에 비해 큰 성능향상이 없었고, 화력 부족도 한몫했을 것이다.[2][3] 생산성도 썩 좋은 편이 아니라서 킬리만자로 공략전까지 짐II와 함께 운용되었다. 하지만 네모는 그 복잡한 개발환경 덕분에 당시 사용되던 MS용 무기는 거의 쓸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별다른 조정없이 지구상의 어떤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가동되는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에우고가 티탄즈한테 세력적으로 열세에 있기도 해서 생산량이 적었지만 그리프스 전역 이 진행되면서 자브로 강습 이후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에우고 이외의 부대(주로 중립 콜로니 경비부대 등)에 다수 배치되었고 이후 잔존 기체들은 그대로 정규군 지상부대에서 운용된다.
특이사항으로 레코아 론도가 쥬피트리스에 잠입하기 위해 만든 위장용 레플리카 모빌슈트가 있는데[4] 잔해로 발견된 겔구그의 외장을 네모의 프레임에 씌운 것이다.[5] 비전투용이긴 하나 백식의 메가바주카 런처의 에너지 공급용 등으로 실전에 사용하기도 했다.[6] 그리고 네모와 짐 III]]의 데이터를 가지고 만들어진 양산기가 바로 제간이다. 따라서 이후 연방 양산기 계보에 큰 영향을 끼친 기종으로 평가된다.
2.1. 무장
- 60mm 발칸포
RX시리즈 이래 연방제 모빌 슈트의 표준 무기 쯤으로 정착된 무기. 센서, 비행선 등의 물체에게는 엄청난 타격을 입힐 수 있으나 모빌 슈트에게는 큰 타격을 입힐 수가 없기 때문에 견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빔 사벨
- 170mm 캐논
[image]
U.C. 0096년 5월 1일, 지온 잔당군이 트링턴 기지를 습격할 때 배치된 네모가 이 무장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실루엣은 육전형 건담이 사용하던 180mm 캐논과 비슷하다. 상부에 캐링 핸들이 붙어 있는 것도 역시 비슷하다.
다만 육전형 건담의 180mm 캐논이 대전차 소총의 확대판에 가까운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일반적인 보병용 화기의 그것과 유사한 형상의 피스톨 그립을 갖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이쪽의 경우에는 피스톨 그립이 마치 톤파의 손잡이처럼 되어 있어서 사람이 톤파를 손에 들 때처럼 쥐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180mm 캐논과는 달리 사이드 그립 형태의 보조 그립이 없고, 그 대신 상부의 캐링 핸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도록 되어 있다. 탄창 삽입구의 위치도 180mm 캐논과는 달리 상부가 아닌 하부에 있다.
U.C. 0096년 5월 1일, 지온 잔당군이 트링턴 기지를 습격할 때 배치된 네모가 이 무장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실루엣은 육전형 건담이 사용하던 180mm 캐논과 비슷하다. 상부에 캐링 핸들이 붙어 있는 것도 역시 비슷하다.
다만 육전형 건담의 180mm 캐논이 대전차 소총의 확대판에 가까운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일반적인 보병용 화기의 그것과 유사한 형상의 피스톨 그립을 갖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이쪽의 경우에는 피스톨 그립이 마치 톤파의 손잡이처럼 되어 있어서 사람이 톤파를 손에 들 때처럼 쥐도록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180mm 캐논과는 달리 사이드 그립 형태의 보조 그립이 없고, 그 대신 상부의 캐링 핸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도록 되어 있다. 탄창 삽입구의 위치도 180mm 캐논과는 달리 상부가 아닌 하부에 있다.
- 빔 라이플
많은 연방제 모빌 슈트가 사용하는 표준형 무기. 입자 빔을 모아 발사하는 형식인데, 이는 모빌슈트에게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UC 0087년경의 네모는 짐II의 BOWA·BR-S-85-C2 빔 라이플의 에너지 공급 효율을 높인 개량형을 사용했었다. UC 0096년도에 사용한 빔 라이플이 0087년에 사용한 것과 동급으로 개량된 것인지는 불명.
- 짐 라이플
90mm 실체탄을 발사하는 연방제 MS의 범용 실탄 무기. 짐 커스텀 등의 기체가 사용했던 그 무기다. 네모 측의 에너지 서플라이 드라이버 등이 개량되어 있어, 더욱 높은 효율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식이지만 신뢰성이 높아서 U.C 0096에서도 계속 사용됐다.
- 90mm 불펍 머신건
역시 1년전쟁 중반부터 연방제 MS에서 사용된 무기다.
- 실드
[image]
많은 연방제 모빌슈트가 사용하는 표준형 방어 장비로 장갑이 매우 두꺼워서 효율이 높다. 안티 빔 코팅이 되어있는 것도 특징. 네모의 실드는 방어 면적은 적지만 슬라이드 구조로, 접을 수 있어 휴대성이 좋고, 상부 선단의 날카로운 부분은 긴급시 타격용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연방제 모빌슈트가 사용하는 표준형 방어 장비로 장갑이 매우 두꺼워서 효율이 높다. 안티 빔 코팅이 되어있는 것도 특징. 네모의 실드는 방어 면적은 적지만 슬라이드 구조로, 접을 수 있어 휴대성이 좋고, 상부 선단의 날카로운 부분은 긴급시 타격용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3. 작중 활약
3.1. 그리프스 전역
에우고의 신형 양산기로 배치되어 주력으로 활약했다. 물론 작중에서 그려지는 모습은 야라레메카 신세이긴 하지만(...) 그래도 소소한 활약장면은 꽤 있는 편이다. 극장판 기준으론, 스도리 탈취시에 티탄즈 쪽으로 몇기 나포되어 그대로 사용된 듯.
3.2. 제 1차 네오지온 항쟁
운용 주체인 에우고가 아가마 팀을 제외하면 무력/무능하기 짝이 없는 집단으로 나오는지라 대우가 영 좋지 않다. 활약이 큰 쪽인 카라바는 주력기로 더 값싸고 성능도 대동소이한 짐 III를 채택해버려서 묻혀버린 느낌이다.
4화[7] 에 아가마의 격납고에서 발 파츠만 수리중인 장면으로 등장. 하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이후 릭 디아스 2기(게다가 이쪽은 멀쩡한 상태였다)와 함께 존재 자체가 사라진다.
12화에서도 해채되어 수리중인 기체가 한번 등장하는 등, 어째 멀쩡한 모습으로는 등장을 하지 않는다.(...)
3.3. 다카르 방위전
다카르 전투에서는 두 대가 등장, 하나는 기세좋게 쥬앗그한테 달려들자마자 카운터로 발렸고 나머지 하나는 카풀은 잡았으나 또 쥬앗그한테 털리는 등, 일타쌍피로 발렸다. 동세대인 카풀은 잡았는데 쥬앗그한테는 발렸다는 게 어째 블랙 코미디.(...)
3.4. 토링턴 기지 전투
[image]
후에 토링턴 기지가 지온 잔당군의 습격을 받을 때도 등장하지만 돔 트로펜, 드왓지, 자쿠II 등한테 털리고 털린다.
[image]
한 기는 170mm 캐논을 장착하고 출격했지만 커크스의 한 방에 그대로 꽝. 심지어 본체가 맞은 것도 아니고 들고있던 캐논이 맞아 그 유폭으로 함께 터졌다.
3.5. 기타
- 만화 기동전사 건담 U.C.0094 어 크로스 더 스카이에서 연방군 마리아나 기지에 속해있던 비밀기지 소속으로, 건담 델타 카이의 호위와 기지 방어를 담당하고 있던 기체들이 최소 1개 소대(4기)분량 이상 등장. 지온 잔당군은 쉽게 처치하나, 배반한 레이븐 대와의 전투에선 방심하다 1기가 격파된다. 그래도 나머지 기체들은 전투 종료시까지 잘 버텨준다.
- Advance of Zeta 티탄즈의 깃발 아래서 에서는 맥심 구너가 탑승하는 전용기가 등장, TTT팀의 기체와 격전을 벌이는 활약을 보여준다.
- Advance of Z 시간에 저항하는 자에선 히로인 다니카 맥가이어가 구출된 후, 네모 디펜서에 탑승한다. 고속이동이 가능한 건담 케스트렐을 쫓아가기 위해 백팩을 건담MK-2의 것으로 바꾸고 G디펜서를 장착한 버젼으로, 그럼에도 단순 속도로만 따지면 케스트렐 쪽이 더 빨랐다고 한다. 그래도 어느정도 케스트렐을 쫓아갈 수 있었던 데다 조기경보 유닛을 이용해 전장관제 및 저격을 담당했기 때문에 상당히 활약한 편.
- 기동전사 건담 MSV-R 죠니 라이덴의 귀환에서는 샤아와의 전투로 다수의 전력을 상실한 FSS-키마이라대 혼성함대에 새로운 스폰서가 된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에서 짐II 대신 쓰라고 건네준 보충전력으로 등장한다. 애너하임에서 비공식 부대인 FSS 혼성함대에 수를 맞춰 넘겨줄 수 있는 기체가 뭐가 있을까 생각해 보니 네모가 적당하다고 생각되어 선택되었다고.
4. 파생형
4.1. 네모 II
[image]
MSA-004네모의 후속 기종. Z-MSV에 네모 III의 설정에 글로만 언급만 되어 있었다. 처음 설정에선 제너레이터를 출력이 높은 것으로 교체한 것일뿐 외관 자체는 네모와 동일하다는 설정이였는데, 시간이 흘러 게임 기렌의 야망 엑시즈의 위협V에서 네모 III에서 캐논을 제거하고 어깨장갑을 대칭으로 만든뒤 초록색으로 도색한 디자인으로 나오게 되었다. 기렌의 야망에서는 기술 레벨이 충족될 시 네모 II에서 바로 제간의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우고 계열의 주력기가 된다.
4.2. 네모 III
[image]
MSA-004K
기동전사 Z 건담에서 등장하는 MS로 MSV에서 그 모습을 처음 드러냈다. 본래 베이스가 되는 네모에 화력 병기인 빔 캐논을 장비하고, 60mm발칸포, 빔 사벨, 빔 라이플 등 무장 하나 하나가 화력 병기이다. 우완부의 스파이크 실드가 묘하게 자쿠ll의 어깨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image]
기동전사 건담 UC에서도 등장하지만, 따로 등장씬이나 활약도 없이 자쿠I 스나이퍼의 공중 저격에 콕핏을 직격으로 맞고 바로 폭발. 이때 열팽창으로 바이저에 금이 가는게 압권. 전신도 아니고 머리와 상체 일부만 보여줬지만 이걸로 더는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같은 UC 관련인 만화 기동전사 건담 UC 성월의 결편에서는 5화에서 등장, 해당화의 주역인 쥰 비올렛타가 0093년에 지구에서 탑승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같은 만화의 2화의 주역이었던 알바 멜크딜(역시 네모III 탑승)과 함께 갈루스 J와 갈루스 K를 각각 1기씩 격파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4.3. 빔 캐논 장비형
Advance of Zeta에 등장하는 기체로 범용성과 화력 강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기체다. 이 기체에서 운용된 빔 캐논의 데이터는 후에 Z건담의 하이퍼 메가 런처등 에우고가 운용한 장거리 빔병기 개발의 초석이 되었다.
4.4. 네모 캐논
Advance of Zeta에 등장하는 기체로 롱 실드 부스터를 장비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밖에 헤드 유닛이 센서 보호용 페이스 커버가 장착된 듀얼 아이 타입의 신형으로 교체되고 백팩도 롱 실드 부스터를 장비하기 위해 교체되었다. 롱 실드 부스터는 헤이즐이 사용한 실드 부스터를 바탕으로 에우고가 독자 개발한 것으로 단순 추진용 및 제한적인 방어 기능 밖에 없는 실드 부스터와 달리 메가입자포와 제너레이터를 내장하고 있어서 장비하는 모빌슈트의 화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백팩에 2개, 양팔에 한개씩 장비하여 총 4개를 장비할 수 있으며, 4개를 장비할시에는 그리프스 전쟁에서 활약한 양산형 모빌슈트중 최고의 가속력을 갖는다.
4.5. 네모 디펜서
Advance of Zeta 시간에 저항하는 자에 등장하는 기체로, 짐III의 영향을 받아 건담 MK-II의 백팩으로 교환한 후 G디펜서를 접속한 형태.
단, 이쪽은 화력강화용이라기 보단 짐III 대신 연방군 차기 양산기를 노려볼 심산으로 네모를 개수하는 과정에서 나온 기체를 급한데로 양도한 것에 가깝다는 듯 하며, 헤드 유닛이나 콕핏은 조기경보형으로 교체되어 있다.
티탄즈에 포로로 잡혔던 히로인 다니카 맥가이어가 복귀 후 탑승한다.
4.6. 그 외의 바리에이션
- 네모 하이메뉴버
모델 그레픽스 별책인 에 등장하는 기체로, 백식의 백팩을 장비한 고기동형. 일단 실전 테스트까진 거쳤다고 하는데 그 이후의 행방은 불명.
- 네모 STI, 네모 소드改, 네모 소드改프로토3
잡지기획인 에 등장하는 기체들로, 이쪽은 본편과는 연계과 되지 않는 패러렐 월드격의 작품이라 설정자체가 다르다.
- 네모 캐논
위의 네모 캐논과는 다른 물건으로[8] , <기동전사 건담 MS대전집>에 등장한 설정만 있는 기체. 이름 그대로 백팩에 2문의 캐논포를 장비했다.
- 네모 초범아머 장비형
<건담 에이스>의 2016년 12월호 증간호인 건프라 에이스에 등장한 기체로, 이름 그대로 초범아머형의 증가장갑을 붗인 기체다. 운용은 연방군이 아닌 민간 군사기업인 위도우 메이커즈의 패트 엘리슨 대위.
- 네모 스트라이커
역시 <건담 에이스>의 2017년 증간호인 건프라 에이스 스페셜의 <스트라이커 인 토링톤 Ninja of the Torington Base> 등장한 기체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짐 스트라이커와 같은 격투전 사양의 기체.
UC 0096년에 내습해 온 지온 잔당군을 맞이해 싸우며, 특히 이프리트 슈나이드와 일 대 일 대결을 벌인다. 파일럿은 유우지 알카나로, 담당 작가인 소노 요시히로의 전작인 <우리들 연방 우련대>의 주인공이다.
UC 0096년에 내습해 온 지온 잔당군을 맞이해 싸우며, 특히 이프리트 슈나이드와 일 대 일 대결을 벌인다. 파일럿은 유우지 알카나로, 담당 작가인 소노 요시히로의 전작인 <우리들 연방 우련대>의 주인공이다.
5. 모형화
5.1. 건프라
5.1.1. 구판
5.1.2. MG
MG 치고는 저렴한 가격대에 색분할/가동성/프로포션 등 전체적으로 아주 뛰어난 품질이다. 참고로 네모가 나왔을 때는 MG 가성비 최고를 자랑했던 짐 改를 치고 올라왔다고 한다. 안테나는 매우 얇아 부러지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빔 사벨에는 손바닥 돌기에 맞는 구멍이 뚫려있지 않아서 쥐어주면 안정성이 떨어진다. 총기류 무장은 이런 문제가 없다. 고관절이 페담의 것을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무릎앉아 자세가 가능하지만, 좌우 벌림각이 좁아서 역동적인 포징이 잘 나오질 않는다. 밸류트 팩을 다리 부분에 장비하는데 별 다른 부품이 필요 없으나, 백식 버전을 그대로 사용하면 뭔가 어설프게 걸쳐진 느낌이 든다. 그 외 짐 라이플과 90mm 머신건은 짐 커스텀을 빌려오면 재현이 가능하다.
5.1.2.1. MG 한정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D080C; font-size: .9em"
2012년 4월,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가격은 3,000엔.
추가 무장으로 MG 짐 改에 부속된 짐 라이플이 들어있다. 컬러링 변경 외엔 기본적인 특징은 동일하다. 다만, 부속된 데칼이 기존 일반판과 동일해서 다소 아쉬움이 있다.
추가 무장으로 MG 짐 改에 부속된 짐 라이플이 들어있다. 컬러링 변경 외엔 기본적인 특징은 동일하다. 다만, 부속된 데칼이 기존 일반판과 동일해서 다소 아쉬움이 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D080C; font-size: .9em"
2012년 4월,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발매되었다. 가격은 3,000엔.
유니콘 컬러 Ver.과 마찬가지로 짐 라이플이 들어있고, 컬러링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유니콘 컬러 Ver.과 마찬가지로 짐 라이플이 들어있고, 컬러링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5.1.3. HGUC
HGUC로 유니콘 버전, 제타 버전, 유니콘 데저트 컬러 버전 순서로 발매되었다. MG와 달리 3개의 키트 모두 일반판으로 발매되어, 일부 건담 팬들 사이에서 "'''대체 반다이에서는 한정하고 일반판을 구분하는 기준이 뭐냐, 사다리라도 타는거냐?"'''하면서 일종의 미스테리 취급을 받는다.
- 유니콘 버전
무장으로는 짐 라이플 1정과 빔 사벨 2자루, 실드 1개이며 빔 사벨의 색상은 분홍색이다. 붉은색 부분들을 스티커로 처리하게 되어있는데 유니콘 버전 네모의 경우 설정화와 애니, 공식 사진 모두 그 부분들이 주황색이 분명한데 스티커의 색은 제타 버전 네모의 붉은색이다. 그렇지만 진짜 문제는 팔꿈치다. 팔꿈치가 MG처럼 굽어지지도 않는데다가 약하기까지 해서 부서진 사례도 있다.
- 제타 버전
무장으로는 BOWA·BR-S-85-C2 빔 라이플 1정과 빔 사벨 2자루, 실드 1개이며 빔 사벨의 색상은 연두색이다.
- 유니콘 데저트 컬러
무기로는 짐 라이플과 BOWA·BR-S-85-C2 빔 라이플이 모두 들어갔고 제법 푸짐한 마킹 씰이 추가되었다. 설명서에 따라 씰을 다 붙여도 남는다. 이쪽도 일반 유니콘 버전과 마찬가지로 설정상 주황색인 부분들에 붙이는 스티커가 설정과 다르게 붉은색으로 나왔다.
5.2. 완성품
- 2005년 5월, HCM Pro 브랜드로 에우고 컬러가 1,500엔에 발매되었다.
6. 게임에서의 등장
6.1.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6.2. 제4차 슈퍼로봇대전
마틸다의 수송부대와 수전기대 단쿠가팀과 만나고 난 뒤에 추가된다.
무기가 빔라이플이랑 빔샤벨 뿐이다. 이거 개조할 돈 있으면 그냥 원조건담이나 건담마크2나 개조하는 게 낫다.
6.3. 슈퍼로봇대전 Z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의 참전으로 이 기체 역시 2기가 입수된다. 스펙이 엉망이다. PLA병기의 화력이 전 건담측 기체 중 3번째로 약하다. 이보다 스펙이 좋은 릭디아스도 있어서 눈길이 안 가기를 쉬우나 두가지 장점이 있어서 실제로는 릭 디아스보다 강한 기체.
실드가 있어서 블로킹 능력을 가진 캐릭터를 태우면 실드방어가 가능해 생존율이 올라가며 PLA병기가 빔공격이다. 세츠코 루트에서 지겹게 나오는 건담 시드 데스티니 적 로봇은 빔공격 말곤 데미지가 잘 안들어가는데 네모의 소대공격은 정상적인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수치만 보면 릭 디아스보다 약해보이지만 실 활용도는 실드가 없는 릭 디아스를 훨씬 능가하는 것. 보통 아폴리나 로베르토를 태우게 된다.
다만 후반에는 시드 데스티니 적이 별로 안 나오며, 개조비용이 매우 낮고 강화파츠 슬롯이 4개나 되는 볼자논이 더 강해져서 밀린다. 즉 초중반에는 무개조로 네모를 굴리는 것이 낫고 후반에는 볼자논을 개조해서 굴리는 게 좋아진다. 그래도 초반 활약을 고려하면 네모가 가장 쓸만하게 나오는 게임이다.
6.4.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의 네모
- 속성 : 근거리형
- 랭크 : C,CU
- 무장
- 1. 빔샤벨
- 2. 빔라이플
- 3. 발칸포
- 4. 난무형 필살기
- 스킬
기동성 업,MS 격투술(CU)
공격력 업 (C,CU 공통)
공격력 업 (C,CU 공통)
- 입수 방법 : 캡슐,상점
데스티니 건담 조합식 퀘스트 한정 - 포스임펄스 건담으로 무작위 하드미션 3회
- 설명
기동전사 Z건담의 후반부부터 ZZ건담에 걸쳐 활약하는 양산기. 본편의 이미지는 찌에 가까운데 어째서인지 묵으로 나왔다. 아마도 고기동성에 주목한듯. 전체적으로 무난한 C랭크 묵기로 평가된다. 다만 공격력이 매우 약한 편으로 빔 라이플은 맞춰도 맞춘 것같지 않고 칼질은 그냥 홀딩용이라고 봐도 될 정도다. 그런데 묘하게도 3번 두부 발칸이 미친듯한 화력을 자랑한다. 연사력이 이상할 정도로 높고 1클릭당 데미지도 오히려 빔 라이플을 능가하는듯한 느낌...뭐지.
묵 유닛인만큼 격투전 능력이 매우 중요한데 상하단 판정이 없는 칼이지만 발동속도 리치 모두 좋은 편이라서 짐II 티탄즈와 함께 C랭크 최강급 칼질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로, CU버전도 존재한다. 이쪽은 스킬이 모빌슈트 격투술과 공업으로 칼질 데미지 하나는 대박으로 터트릴 수 있다.
[1] 짐 스나이퍼II 같은 짐의 고성능 모델이 베이스라고 한다. 실제로 종아리의 스러스터 배치 구조나 백팩의 형상 등이 짐 스나이퍼II의 그것과 비슷한 등 디자인상의 공통점이 어느 정도 있는 편. 물론 건담 0080이 기동전사 Z건담보다 나중에 나온 작품이었기에, 실제로는 네모의 디자인에서 일부 요소를 부분적으로 차용해서 짐 스나이퍼II가 디자인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2] 이후 추가된 설정으로, 원래의 예정은 릭 디아스가 지휘관기, 마라사이가 주력 양산기, 네모는 함대 또는 거점의 방어 및 요격용으로 준비되었다고 한다. 즉 전투의 주력인 마라사이가 당연히 전투력은 위일 수 밖에 없고, 대신 네모 쪽은 방어력과 조종성, 정비 운용성능이 뛰어났다는 것[3] 본 항목에는 네모의 장갑제질이 건다리움 감마로 되어있으나, 일본측 자료에서는 건다리움 합금이나 건다리움 알파로 되어있는 자료도 있다. 이를 통합해 현재는 전기 생산형(킬리만자로 공략전에 투입되었다가 카라바로 양도된)에는 비싸고 생산성도 떨어지지만 순수 방어력은 높은 알파, 에우고의 주력기로서 대량생산 해야 했던 후기형 부터는 생산성이 향상되어 싸게 만들 수 있는 감마가 사용되었다는 쪽으로 정리가 되어가는 듯 하다.[4] 이 때 팝티머스 시로코에게 들켰지만 그는 그녀를 그냥 모른 척해주었고, 그런 그에게 강한 인상을 받게 된 그녀는 후에 전향하게 되는데... 잠입했을 때 건조중이던 파라스 아테네를 보기도 했다. 후에 그녀의 기체가 되게 된 걸 보면 묘한 인연...[5] 이 겔구그는 지온의 전함 잔해 안에 남아있었던 겔구그를 에우고에서 회수한 것이다.완벽한 위장을 위해 콕핏도 네모의 리니어 시트와 전방위 스크린을 떼고 구 지온 사양으로 교체했다.[6] 극장판에서는 시간관계 & 어른의 사정으로 짤려서 메타스가 대신 사용된다.[7] 하지만 ZZ건담의 1화는 Z건담의 총집편 격의 내용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본편 내용으로는 3화에 해당[8] 사실 위의 네모 캐논은 일본어로는 ネモ・カノン, 즉 네모 카논으로 표기된다.[주의] 건담홀릭 리뷰는 에우고 컬러가 아닌 웹 한정 유니콘 데저트 컬러로 리뷰되었다. 다만, 키트의 기본적인 특징은 동일하기에 참고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