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장동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
'''마장동'''
馬場洞 | Majang-dong


'''주민센터'''
마장로42길 11 (마장동)
마장동 주민센터
'''행정표준코드'''
1120010500 (법정동)
3030043 (행정동)
'''관할 행정동'''
마장동
'''통·반'''
35통 274반
'''면적'''
1.05km²
'''인구'''
22,758명[1]
'''세대수'''
10,912가구[2]
'''인구밀도'''
22,341.9명/km²
'''성비'''
97. 97
'''지역
의원'''

'''국회'''
중구·성동구 갑
홍익표 (3선)
'''시의회'''
성동구 제4선거구
김달호
'''구의회'''
라 선거구
박영희 · 오천수
민운기
'''공공기관'''
5
'''금융기관'''
5
'''의료
시설'''

'''병원'''
17
'''교육
기관'''

'''유치원'''
3
'''한의원'''
4
'''초등학교'''
2
'''약국'''
11
'''중학교'''
2
'''복지
시설'''

'''경로당'''
15
'''고등학교'''
0
'''어린이집'''
16
'''대학교'''
0
1. 개요
2. 역사
3. 지리
4. 상권
5. 주요 시설
5.1. 기업
5.2. 주거
5.3. 학군
6. 교통
6.1. 도로
6.2. 대중교통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
청계천변에 위치한 동으로, 청계천을 경계로 삼고 동대문구 신설동용두동와 마주하고 있다. 청계천로10길과 마장로25길 부근을 경계로 서쪽에 홍익동과 접하지만, 청계천로10길만 건너면 하왕십리동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하왕십리동과도 서쪽으로 접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세림아파트 뒷산을 경계로 사근동과 마주하고 있다.
서울에서 우시장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곳이 마장동 축산물시장이다.
서울시설공단 건물이 한동안 성동구청사로 사용되었다. 원래 성동구청은 현재의 광진구청에 자리잡았으나 1995년 3월 1일 성동구에서 광진구가 분구함에 따라 2004년 5월 3일 행당동에 있는 현재 성동구청 건물로 이전하기 전까지 마장동의 서울시설공단 건물을 사용해야 했다.

2. 역사


1751
한성부(漢城府)
동부 인창방 마장리계 마장리
(東部 人昌坊 馬場里契 馬場里)
1894
동서 인창방 동소문외계 마장리
(東署 人昌坊 東小門外契 馬場里)
1910. 10. 1.
경기도 경성부(京畿道 京城府)
동서 인창방 동소문외계 마장리
(東署 人昌坊 東小門外契 馬場里)
1911. 4. 1.
인창면 마장리(人昌面 馬場里)
1914. 4. 1.
경기도 고양군(京畿道 高陽郡)
한지면 마장리(漢芝面 馬場里)
1936. 4. 1.
경기도 경성부
마장정(馬場町)
1943. 6. 10.
경기도 경성부 성동구
京畿道 京城府 城東區
마장정(馬場町)
1946. 10. 9.
서울특별자유시 성동구
(→ 서울특별시, 1949)
서울特別自由市 城東區
마장동(馬場洞)
예로부터 청계천변의 드넓은 범람원이었던 이곳은 말목장으로 쓰여 마장동이 되었다.
1914년까지는 동대문구와 역사를 같이 하였다. 1751년에는 마장리계라는 독립된 계로 편제되어 있다가 1894년 마장리계가 동소문외계에 통합되면서 1911년까지 유지되었다. 1914년, 성저십리 지역이 경성부에서 고양군으로 이관되며 현재의 성동구인 한지면으로 편입되었고, 1936년 다시 경성부로 편입될 때 마장정(馬場町)이 되었다. 1943년 경성부 동대문출장소가 구로 승격하면서 동대문구와 성동구로 분할될 때 성동구에 속하였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3. 지리


북에서 동으로 청계천이 흐르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경의중앙선 철로가 지나고 있다. 남쪽은 야트막한 야산으로, 아직 개발이 덜 된 지역이다.
경원선 철로를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이 양분되어 있는데, 사실상 마장동이라고 하면 동쪽의 마장동을 일컫는다. 서쪽의 마장동은 홍익동, 도선동과 붙어있으며, 생활권도 도선동에 의지하고 있다.
서쪽과 동쪽 둘 다 한적한 주택가이며, 다만 서쪽이 고산자로를 끼고 있어 약간 상권이 혼재하여 있다.

4. 상권


서울의 중앙임에도 불구하고 왕십리 상권이 굉장히 커, 마장동 자체의 상권이 크지는 않다. 예를 들어, 2015년 햄버거 집이 처음 생기기 전까지만 해도 2-30분을 걸어가야 했을 정도. 지금은 주택가에 알맞을 정도의 상권을 가지고 있다.

5. 주요 시설



5.1. 기업



5.2. 주거


'''건설사'''
'''단지명'''
'''입주'''
'''세대수'''
세림건설
세림아파트


현대건설
마장 현대홈타운


SG신성건설
마장 미소지움
2004. 6.

금호산업
마장 금호어울림
2006. 11.


5.3. 학군


관내
타 지역 배정 가능
'''초등학교'''
서울동명초등학교

서울마장초등학교
'''중학교'''
동마중학교
한양대학교사범대학교부속중학교
마장중학교

'''고등학교'''
,배정 가능성은 일반계고만 기재,
덕수고등학교
도선고등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성동구 관내의 대부분 지역이 학군 인프라가 영 좋지 않은 것에 비해 마장동은 관내에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2개교가 있다.
서부 마장동은 동명초등학교로 배정되고, 동부 마장동은 마장초등학교로 배정된다. 중학교는 추첨제라 서부 마장동이던 동부 마장동이던 동마중학교나 마장중학교 둘 중 하나인데, 서부 마장동의 경우는 둘 다 통학 거리가 좀 있다.
고등학교는 관내에 없어서 동네 밖으로 나가야 하는데, 서부 마장동의 경우라면 도선고등학교가 가장 가까우며, 동부 마장동의 경우는 덕수고등학교가 가장 가깝지만, 덕수고등학교는 남자고등학교다.[3] 성동구 대부분 지역이 남학생의 통학이 어려운 반면 이쪽은 여학생들이 무학여고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아 통학에 어려움이 있다.
바로 옆에 자율형 사립고등학교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가 있다.
원래는 강동구에 있는 한영중학교한영고등학교가 마장동 세림아파트 부지에 있었는데, 80년대에 강동구 개발 때 이사 갔다. 다만 한영외고는 이사 가서 개교한 것이다. 여담으로, 세림아파트 부지를 두고 세림건설이 어떻게 한영학원 부지를 낙찰 받았느냐에 대하여 의문이 있어서 세림건설 사장이 5공청문회에 끌려나온 전적도 있다.

6. 교통



6.1. 도로


성산 방면
월곡램프

'''내부순환로'''
성동 방면

성동JC

강남 방면

성수대교
왕십리역

'''고산자로'''
안암동 방면

용두동

청계광장 방면
황학교

'''청계천로'''
'''살곶이길'''
성동교 방면
사근동

동대문 방면
상왕십리

'''마장로'''

한양대 방면
행당동

'''마조로'''
내부순환로 마장램프사근램프가 있다. 서울 북부나 서부에서 왕십리로 접근할 때 마장동을 거쳐가게 된다. 마장동에서 내부순환로를 이용할 때 주의할 점은, 사근램프는 성동JC 방향, 마장램프는 성산대교 방향이라는 점이다.
고산자로는 남북으로 강남에서 안암오거리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중간에 왕십리역이 있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고산자교에서 응봉교까지 매우 막힌다. 특히 도선사거리 쪽에서 매우 막힌다. 이 시간대라면 우회하려고 내부순환로 쪽으로 방향을 튼다고 해도 똑같이 주차장 신세는 면치 못할 것이기 때문애 만약 이 구간을 우회하고 싶다면 아래에 따라 운전을 해보자. '''단, 이 방법은 동부 마장동에 한한다.'''
  • 성수대교 → 마장동 진입
  • 응봉교 남단에서 우회전(성동교 방향)하여 광나루로 진입
2. 성동교 남단에서 좌회전(왕십리역 방향)하여 왕십리로 진입
3. 성동교 북단에서 우회전(사근동 방향)하여 살곶이길 진입 후 직진하면 마장동이 나온다.
살곶이길은 2차선 도로긴 해도 막히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만약 정체 시에는 이 루트를 써보도록 하자.
  • 고산자교 → 마장동 진입
좌회전하여 살곶이길을 타면 된다.
왕십리와 청량리는 지하철로 한 정거장인데도 불구하고, 중간에 마장동 주택가가 가로막고 있어 도로가 바로 연결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그 결과 두 동네는 서로 연담화가 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성장 중이다.

6.2. 대중교통


'''철도''' / '''지하철'''
관내
왕십리역
용두역 · 신답역
'''버스'''

청계천 건너에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신답역이 있고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을 타려면 용답역에서 성수행 열차를 타고 성수역에서 갈아타야 한다. 웬만하면 그냥 마장역에서 수도권 전철 5호선을 타고 왕십리역에 가서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는 사람들이 많다. 마장동 남쪽에서는 왕십리역이 많이 이용된다.
대흥교통 차고지가 마장동에 있었으나, 2014년 3월에 서초구 염곡공영차고지로 이사갔다.
[clearfix]

[1] 2021년 1월 주민등록인구[2] 2021년 1월[3] 덕수고는 일반계열과 특성화계열을 모두 설치했으며, 특성화 계열은 남녀공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