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로스

 



'''Bob Ross
밥 로스'''

'''본명'''
로버트 노먼 로스
(Robert Norman Ross)
'''국적'''
미국 [image]
'''출생'''
1942년 10월 29일[1]
미국 플로리다 데이토나비치
'''사망'''
1995년 7월 4일(향년 52세)
'''직업'''
군인, 화가
'''가족'''
어머니 : 올리브 로스(1920 ~ 1991)
아들 : 스티브 로스[2](1966 ~ )
'''배우자'''
린다 브라운(? ~ 1981 / 사망)
제인 로스(198? ~ 1993 / 사망)
'''종교'''
개신교(장로회)
'''서명'''
[image]
'''관련사이트'''

1. 개요
2. 상세
3. 화풍
4. 평가
5. 윌리엄 알렉산더와의 관계
7. 어록
8. 여담
9. 대중매체에서
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image]

'''Hi, I'm Bob Ross, and for the next 13 weeks, I'll be your host, as we experience The Joy of Painting.'''

'''안녕하세요, 전 밥 로스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13주간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을 알아가는 동안 여러분의 진행자를 맡을 예정입니다.'''

The Joy of Painting, 시즌 1 에피소드 1, 밥 로스의 인삿말.

미국 태생의 서양화가.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국내명: 그림을 그립시다)이라는 TV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특이한 아프로 헤어와 덥수룩한 수염, 그리고 항상 셔츠 앞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애완 청설모[3]가 인상적이다.

2. 상세


'''누가봐도 어려운 그림을 참 쉽죠?(That easy)라는 멘트를 날리면서 쓱 그려내는것과 짤방으로 유명한 화가.''' 밥 아저씨라는 별명이 더 익숙할 것이다.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이 실시간으로 방영된 때는 1990년대였고 당시에는 딱히 인터넷이 대중적이지 않던 시기라 후술할 재발굴 이전까지는 당시 TV 채널을 챙겨보던, 당시 학생 연배이던 사람만 알던 사람이었으나, 참 쉽죠?라는 대사가 인터넷 시대에 이르러서 으로 재발굴된 이후 현 세대에게까지도 유명해졌다. 인터넷 밈이 되는 과정에서 시청자를 격려하는 뉘앙스의 발언이었던 '참 쉽죠?'라는 대사가 시청자를 기만하는 이미지로 왜곡되면서 현 세대의 일반인 내지 그림쟁이 지망생들에게는 기만자 내지는 사기꾼이라는 별명도 덤으로 붙게 되었다. 다만 이는 진지하게 밥 로스를 까는 것이 아니라 농담삼아서 불리는 별명이다. [4]
[image]
젊은 시절의 밥 로스. 사실 그의 헤어스타일은 제대 후 그림을 그려 생활하면서 돈을 아끼기 위해 선택한 것이었다. 머리카락은 길러서 한 번 파마하고 신경쓰지 않으려고 했는데 미처 파마를 풀기도 전에 방송으로 유명세를 타는 바람에 그의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어버렸고, 이 때문에 나중엔 오히려 아쉬워했다고 한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은 그가 왼손 집게 손가락이 잘려 있다는 것이다. 과거 TV에 나와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을 진행할때 그 청설모를 쓰다듬으면서 몇번이나 나왔던 일. 어릴적에 톱으로 일하다가 사고를 당해 잃었다고 한다. # 참고할 것(5분 30초경)
원래는 미 공군 부사관이었고 공군에서 무려 20년이나 복무했으며 훈련소 교관을 맡은 적도 있다. 알래스카 공군기지에서 10여 년간을 살며 알래스카의 풍경을 그림으로 그려 파는 일을 부업 삼아서 했는데, 군대 업무 때문에 시간이 촉박한 경우가 많았다. 결국 자신에게 툭하면 소리를 질러대는 상관을 보며, 차라리 그림을 그리는 것을 본업으로 하는 게 낫겠다고 생각하여 전역했다.
'밥 로스 교실(Bob Ross Class)'이라는 미술학원을 운영하던 경력이 있다. 생전에 그림 그리기가 대중에 쉽게 접근되기를 바라며, TV 프로그램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The Joy of Painting)》에 출연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다. 빌 알렉산더가 진행하던 강연을 밥 로스가 잠시 맡았을 때 그의 강연에 참석한 애닛 코왈스키가 그의 강연을 상업화하고자 접근했고, 이것이 적중한 것이다.[5] 1983년부터 시작하여 죽기 1년 전인 1994년까지 PBS에서 방영되었다. 총 31개 시즌이고 시즌당 13화이기 때문에 총 403화이다.(화 당 약 25~30분)[6] 이 프로그램은 대한민국EBS에서 《그림을 그립시다》는 이름으로 방영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현재 시점에서 EBS 더빙판인 그림을 그립시다 풀영상을 구할 방법은 더 이상 없으며, 2006년에 DVD로 출시된 6화 분량에서 겨우 그 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7]
1990년대 초에 림프종에 걸려 건강이 악화되었으며 결국 1995년에 겨우 50을 갓 넘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3. 화풍



밥 로스의 그림을 모두 볼 수 있는 갤러리
특징으로 '웻 온 웻(Wet-on-wet)[8][9] 이라는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전통적인 유화 방식이 먼저 칠한 층의 유화물감이 다 마른 뒤 다음 층을 칠하는 것과는 달리[10], 마르지 않은 상태의 캔버스에 물감을 그대로 덧칠해 나아가며, 정교한 디테일보다는 이나 나이프에서 나오는 우연을 이용하여 복잡한 텍스쳐를 단숨에 완성하는 기술이다. 빠르게 그림을 그려나가는데 유리한 방식으로,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기법과 밥 로스의 그림 스타일이 합쳐진 형태를 쉽게 말하자면, 항상 비슷하지만 그릴 때마다 달라지는 그림. 이러한 덧칠 기법이 가능한 이유는 밥로스의 물감은 색깔별로 점성이 다르다는 것에 기인한다. 어두운 색은 되고 밝은 색은 묽다. 따라서 밥 로스 코스북에서도 어두운 색부터 깔고 밝은 색으로 그리는 순서로 되어있다. 그래서 밥로스기법을 일반 유화물감을 써서 그리려고 하면 색이 겹쳐서 뭉게지기 쉽다.

4. 평가


그는 입문하기 비교적 어려운 유화를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했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는다. 또한 어렵게만 여겨지던 페인팅에 대한 인식을 깨트리고, 그림그리는 영상만 갖고도 사람들에게 큰 흥미를 주었기 때문에 그림에 관심이 없던 이들에게도 긍정적인 평을 받는다. 예술계에서는 그를 무시하고 저평가한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사실 그는 예술업계보다는 교육업계 종사자에 가깝기 때문에, 저평가하기 보다는 그냥 별 관심이 없는 것에 가깝다.
종종 밥로스의 그림을 '이발소 그림(이발소에 걸려있는 촌스러운 그림)'이라며 비하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밥로스의 목적이 취미 미술 강의임을 무시한 발언이다.누구든지 1~2년 정도 배워서 따라할 수 있는, 전통적인 유화에 비하여 쉽고 간단한 기법을 소개해주는 것은 그의 큰 장점이다. 즉, 쉽고 빠르게 한장의 그림은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의 목적이며, 방송에 출연하여 자신의 기법 등을 소개하는 것 역시 이러한 현대인의 취미생활을 위한 것이다.
밥 로스 본인이 자신의 작품을 지고의 예술품인양 떠벌리고 다닌 것도 아니다. 애초에 추구하는 방향이 다른 대중 미술가인 밥 로스를 그렇게 까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대리석만이 석재가 아니듯,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인의 취미를 위한 대중 미술 역시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영역이다. 실제로 저 시기, 국내를 포함해 그로 인해 미술계에 관심을 가지고 그쪽으로 진로를 정한 이들 역시 무시할 수 없을 정도. '''밥 로스의 예술은 '그들의 예술'과 다른 것이지 예술이 아닌 것은 아니다.'''
그 탓으로 대중적인 명성에 비해 예술계에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당연하지만 이는 애초에 그가 순수미술 시장에 진입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밥 로스는 자신을 예술가로 포장한 적이 없는 것이다. 실제로 예술품 옥션에서 그의 그림은 2000년대 딱 2개가 그것도 저가로 판매된 것에 그쳤다.[11]
그의 주 수입원은 책과 비디오 판매였다는 것을 밝힌 바 있는데, 이에 그가 예술로 돈을 번다는 비판도 있다. 실제로 화가들은 예로부터 유명 화가부터 길거리 화가까지 그림을 팔아 돈을 벌고,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이들은 자신만의 전시회를 열어 그림을 사줄 고객을 확보하기도 했고, 그 외에 화법 강의를 하거나 제자를 받거나 자신만의 화구를 개발해서 팔기도 했다. 심지어 일부는 현대의 일러스트레이터의 역할도 수행해왔다. 자신의 그림으로 돈을 벌지 않은 이들은, 예나 지금이나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이들이다. 그가 받는 비난은 결국 로스는 예술적이지 않고 별로 대단치도 않은 기법에, 정통파 유화를 배운 사람들 입장에서는 자기들 보다 못한 그림으로 대중의 인기와 고평가를 받는 것이 고깝다고 여긴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로스는 그에 비해 예술적으로는 저평가되는 자신의 그림을 고평가받는 그림처럼 비싸게 판 것도 아니고,[12] 그저 자신처럼 그림 그리는 법을 가르쳐주고 돈을 받았을 뿐이다. 실제로 방송에서도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에 대해서 계속 강조하고 있으며 완성도보다는 자신의 만족이 가장 중요하다고 반복해서 말한다. 밥 로스의 사후 밥 로스의 그림 기법 자체는 수준이 높거나 진지하게 인정받는 기법이 아니라 일반인이 쉽게 배워서 그릴 수 있는 취미로 주로 거론되는 추세이고, 실제로 밥 로스 본인도 그런 목적[13]을 두고 만든 기법이기 때문에 수준이 높지 못한 점을 비난한다는 것은 논지가 어긋나는 것이다.
[image]
여기를 붓으로 칠하고 저기를 나이프로 문지르고 하더니, 순식간에 쨘하고 풍경화가 나타나는 진풍경이 어린 마음에 신기한 광경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 다 크고 봐도 신기하다. 로스가 대중에게 인상적인 모습을 보인 것 중 하나가, 그림은 형태를 정하고 하나하나 디테일을 정해가면서 그려 나아가는 것이라는 일반인의 고정관념을 깬 것도 한몫 한다. 이미 그린 수풀이 붓으로 몇 번 칠하니 호수가 된다든지 하는 모습은, 그때그때 마음가는 대로 그려 나아가는 것이 낭만적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한데다, 유화를 배우지 않은 일반인 입장에서 보면 신기할 수밖에 없다.
[image]
[image]
로스가 자주, 잘 그리는 풍경은 로스의 과거에서 알 수 있듯이 "알래스카에 있을 법한 풍경"들이다. 특히 뒤에 산이 있고 앞에는 풀밭과 나무가 있으며, 그 사이로 이 흐르거나 호수가 있는 식의 풍경은 거의 클리셰라고 해도 좋을 정도. 그 외에도 흰 구름이 있는 파란 하늘이라든가 오로라도 잘 그려낸다.[14] 반면 해변의 파도나 황량한 풍경은 잘 그리지 못하며, 도시 풍경은 아주 못 그린다고 한다. (애초에 그린 적이 거의 없기도 하다.) 또한 인물을 그리지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정확히는 딱 한번 지나가듯 그린 적이 있다. 그리고 만화체로 캔버스에 "자신을 괴롭히는"(giving me a hard time) 직원들을 그린 적이 있다.


밥 로스 생전에 자신의 그림이 아마 동네 미술관에 걸릴 순 있어도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갈 일은 없을 것 같다고 했는데, 사후 그의 작품이 스미소니언 국립 미국 역사 박물관의 영구 보존품이 되었다.

5. 윌리엄 알렉산더와의 관계


밥 로스는 한때 1970년대 초반부터 1982년까지 《유화의 마법(The Magic of Oil Painting)》이라는 이름으로 TV 프로그램 시리즈를 만들고 있던 윌리엄 알렉산더[15]의 제자였다. 알렉산더는 그 프로그램을 방송하면서, 자신의 미술도구 사업인 알렉산더 아트와 자신의 미술수업을 홍보하기 위해, 자신의 "알라 프리마(Alla prima)" 기법(속칭 "Wet-on-wet")[16]을 선보였다. 이후 로스는 아예 알렉산더의 제자가 되기도 하며, 로스의 프로가 수많은 PBS 방송국에서 방송되었다.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의 2번째 시즌을 시작하던 1984년 1월 무렵, 로스는 자신을 옛 제자로서 홍보해준 알렉산더에게 쇼를 헌정하면서, "전 저의 위대한 붓을 대단한 사람에게 건네줬죠. 그가 바로 밥 로스입니다."라는 말을 인용했다.
허나 1987년, 로스는 알렉산더 아트의 사장인 시드 너드슨(Sid Knudson)에게 실망하게 된다. 본래 그들은 밥 로스의 당시 거처였던 켄터키 주로 보내진 알렉산더 아트의 판매에 한해서는 로열티를 로스에게 주기로 동의한 상태였으며, 로스의 아내인 제인이 여행 겸 강의를 하러 간 남편 대신 주문을 처리하고 있었다.
마침내 어느 날, 제인은 로스에게 전화하여 주문의 상당량이 없어졌다고 말했고, 급기야 점차 줄어들다가 아예 없어진다. 로스는 시드 커드슨에게 전화하여 원인을 물었지만, 뉴욕에 사는 시드의 형제가 주문의 일부를 강탈했음이 밝혀진다. 이에 분개한 로스는 애닛 코워스키(Annette Kowaski)의 모든 주문을 처리한 뒤, 그를 기반으로 밥 로스 Inc.를 세운다. 밥 로스 Inc.가 연간 15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기업으로 성장하자, 알렉산더는 《뉴욕 타임즈》를 통해 자신의 옛 제자에게 배신감을 느낀다면서, "그는 날 배신했다. 난 'Wet on Wet(알라 프리마 기법)'을 발명했다. 내가 녀석을 가르쳤고, 녀석은 날 따라하고 있을 뿐이다. 내가 더욱 성가신 건 녀석이 날 배신한 것뿐만 아니라, 그 이상으로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허나 인터넷을 조금만 찾아보면 알겠지만, 알라 프리마 기법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시작해 인상파 화가들도 자주 사용한 방법이기 때문에, 발명은 턱도 없는 소리고 발전시켰다는 말이 들어맞다. 그렇다고 쳐도 초보자가 그림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끔 쉬운 입문법을 제공하면서, 연구 끝에 새로운 물감이나 기법을 사용하는 등, 알렉산더보다 로스를 더 높이 치는 여론이 많다.
영어가 된다면 오스틴 클리언(Austin Kleon)의 리뷰도 참고해보자. 밥 로스와 알렉산더가 각각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담은 영상을 볼 수 있다. 영어를 잘 모르는 사람을 위해 첨언하자면, 리뷰어는 "알렉산더는 열정적이고 '현란한 붓놀림'을 보여준 대신, 로스는 친근한 히피 스타일이었다. 달리 표현하자면 알렉산더는 유럽인이고 [17], 로스는 미국인이었다"라면서 애초에 두 사람의 스타일이 다르다고 평했다. 하지만 바로 그 다음에, "하지만 아마도 중요한 사실은,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은 미술(에 관한 지식)을 정말로 많이 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로스와 PBS 제작진이 잘 알고 있었다는 점이다."라고 하여 로스의 접근성을 높게 샀다. 또한 해당 리뷰에 링크된 기사("The Undying Magic of Bob Ross's Happy Little Trees(밥 로스의 행복한 작은 나무의 죽지 않는 마법)")를 보면 "그 프로그램 자체가 너무 간단했기 때문에[18] 여러 사람을 미술로 이끌었으며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했다."면서 로스의 파급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리뷰의 마지막에 있는 말로 정리가 가능할 것 같다. "무엇을 그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그리느냐의 문제이다.(It ain't what you paint, it's how you paint it.)" 하지만 사람들의 감평은 '밥 로스 판정승'인 듯.

6. 참 쉽죠?



밥 로스가 그림 그리면서 하는 말버릇에서 비롯되었다.

7. 어록


We don't make mistakes. We have happy accidents.

우린 실수한 게 아닙니다. 행복한 사고가 일어난 것일 뿐이죠.

Take live easy, just let it go.

삶을 느긋하게 보내세요, 그저 내버려두는 겁니다.

This is your world, your're the creator, find freedom on the canvas

여긴 당신만의 세상이고, 당신이 창조자니, 캔버스에서 자유를 한번 누려보세요.

believe that you can do it, because you can do it

나는 할 수 있다고 믿으세요. 왜냐면 당신은 (정말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That easy.'''

'''참 쉽죠?'''


8. 여담


방송 출연료를 다 PBS에 기부했고[19] 또한 방송에서 그린 수많은 그의 그림들은 미국 전국의 지방 PBS로 기부되었다.
가장 즐겨 쓰는 색은 티타늄 화이트, 다크 시에나, 반 다이크 브라운 이 세 개이다. 특히 티타늄 화이트를 좋아한다고 한다.

You know, just recently, I was doing a demonstration in a mall, and I had a man come to me and he said "Bob, I can never paint because I'm color blind. All I can see is gray tones.". So I thought today, we'd do a picture in gray just to show you that anyone can paint.

그러니까, 최근에 백화점에서 시연회를 열었을 때 말이죠, 어떤 분께서 저를 찾아와 "밥, 저는 그림을 그릴 수가 없어요. 색맹이거든요. 회색조밖에 보이지 않아요"[20]

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누구나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드리기 위해 회색조로만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The Joy of Painting, 시즌 2 에피소드 4, "Shades Of Grey"

영미권에서는 프레드 로저스(1928 ~ 2003)[21]와 착한 방송인으로 거론되는 몇 안되는 인물 중 하나이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감히 넘볼 수 없는 지존이라는 인식과는 정반대로 듣기 편한 목소리와 출연금을 받지 않고 출연한 등의 일화를 거론하며 진정으로 착한 사람이었다고 칭찬하는 분위기이다. 화가이기 전에는 공군 부사관이었지만 본인 스스로 남에게 소리지르는 것이 싫어서 나왔다고 말한 바 있다. 2012년 이후에 ASMR 관련 컨텐츠가 본격적으로 유행을 타면서 그의 목소리는 불면증 치료제로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럴 만 한게, 목소리 자체도 저음에 부드러운 편이며 붓이 캔버스나 팔레트를 두드리는 소리는 ASMR로써 전혀 부족함이 없으며, 그 시대를 겪은 세대에겐 강한 향수를 불러 일으키게 하는 매개로써도 역할을 하고 있다.
"하나님이 알래스카를 만드셨을 때는 분명 행복했을 겁니다."라든가 "그림을 그리면서 행복하지 않으면 뭔가 잘못되고 있는 거죠.", (더빙판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Happy little trees" 시리즈 등의 명대사를 남겼으며, 그림을 그릴 때 하는 말들[22]은 하나같이 듣는 이로 하여금 긍정적이고 행복한 에너지를 불러 일으키게 하는 것들 뿐이다. 방송을 보면서 그의 어록을 듣고 있노라면 각박한 이 시대에 그의 말들이 따뜻한 위로가 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붓을 시너로 씻은 후에는 웃으면서 "Beat the devil out of it"("악마가 도망가게 두드리죠" 또는 "부정을 털기 위해서")라 하면서 시너를 털기도 하였다.

붓 청소 컴필레이션. 'Shake it off. 투다다다당~'[23]
이젤 다리에 시너로 씻은 붓을 두들기는 것을 굉장히 좋아한다. 각 시즌을 봐도 로스가 그림 그리는 것보다 오히려 붓 두들기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것이 아닌가 할 정도로, 완성된 그림을 보는 것보다 (붓을) 두들기고 나면 매우 흐뭇해하는 표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본인도 두들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이야기했다. 물론 스태프들은 오히려 시너가 튀어서 청소해야 한다며 싫어했다고 회고했다.
다만 시너에는 발암물질인 벤젠이 포함되어있어 이런식으로 투다다당 하고 털게되면 공기 중에 분자들이 튀어 흡입하게 되므로 건강에 매우 해롭다. 실제로 밥 로스가 림프종에 걸리게되는 원인을 제공했을지도 모른다.
DVD 시즌 2 5화에 보면 붓이 아닌 총같이 생긴 물건으로 나뭇가지를 그리는 장면도 나온다.
EBS판의 더빙 성우김세한이 담당했다. 그 밖에 환경TV라는 케이블 채널에서 5편 정도만 새로 더빙해서 방송한 게 있다.[24] 이쪽은 틀던 거 또 틀고 틀고 식으로 우려먹고 있는데 직원 말로는 편성 문제로 편성표와 다르게 방송이 안 나가자 항의 전화를 받기도 했다.
1995년에 림프종으로 사망했다. 슬하에 2남을 두었고 장남 밥 로스 주니어와 차남 스티브 로스가 있다. 그 중 차남인 스티브 로스도 밥로스와 똑같이 그림을 그린다.[25] 그림 실력도 똑같다. 차이점은 아버지가 아프로 머리이고 아들은 그냥 장발이라는 것밖에 없으며 둘 다 수염을 길렀다. 아직도 가끔 아버지의 미공개 유작들을 가지고 전시회를 연다고 한다. 옛날에는 몇 점 팔기도 했던 모양이나 나중에는 보관을 위해 판매는 하지 않는 모양.
마지막 시즌 마지막 방영분 엔딩에서 '''다음 시즌에 보자'''는 말을 남겼다. 아마 건강 악화만 아니었으면 계속 방송을 할 생각이었던 모양이지만 결국 본인의 말은 실현되지 못했다.
국내에서 공식 라이센스를 획득해 방송을 시작한 것은 1994년 사망 1년전이고 그 이전에도 정식 라이센스판인지 몰라도 90년대 초반 EBS 방송을 보았다라는 사람들도 있다. 최소한 공식적으로는 1994년 방송을 시작하였다. 다만 이후 방송분은 이미 고인이 되신 이후이기에 이는 죽고 나서도 그림의 보급에 기여한 셈이니 좋아하지 않았을까.[26] 또한, 부산/경남 지방의 경우, 80년대 후반부터 NHK 종합/교육을 타 지방보다 쉽게 수신할 수 있었기 때문에, 90년대 초반의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 원본을 보았을 수 있다. 실제로 경남 지방의 그림 덕후들 중 일부는, 나중에 EBS 더빙판의 목소리가 PBS 원판보다 너무 젊어서 적응이 어려웠다는 증언도 있다.
방송에서도 상체만 찍히고, 사진도 상체만 나와 있어서 잘 부각되지 않지만 188cm으로 장신이다. 아들 스티브는 2m가 훌쩍 넘는다.
미국 시간 2015년 10월 29일부터 밥 로스의 생일을 기념하여 트위치에서 밥 로스의 그림 그리기의 즐거움을 스트리밍하고 있다. #해당 채널 링크 반응은 그야말로 폭발적. 한 에피소드가 시작할 때마다 hi bob으로 반갑게 맞아주고 멀쩡한 그림에 갑자기 검은색 선을 그으면 채팅창이 RUINED로 도배되고, 그 선이 붓질 몇 번만에 나무로 변하면 SAVED로 도배된다. 그러니까 한국식으로 옮기면 뭔가를 그리기 시작할때면 '아 망했네' 라고 온갖 드립을 치다가 그 부분이 그럴싸하게 완성되면 '이걸 살리네' 하고 찬양하는 식. 나이프나 붓으로 몇 번 툭툭 치다가 어느새 무언가가 그럴싸하게 완성되면 채팅창이 VAC[27]으로 가득 차다가, 캔버스에 시너 묻은 붓을 털면 R.I.P Devil 으로 도배되고[28], 마지막으로 그림이 완성되면 채팅창은 GG로 도배.[29] 밥 로스 시리즈의 전부를 방영하는 마라톤 방송이기에 무려 200시간 연속으로 방송이 되었고, 현지시간 2015년 11월 6일에 종료되었다. 결말이 쓸데없이 감동적인건 덤 (영상의 21분 15초부터. 참고로 소리의 볼륨이 커지는 구간이므로 주의.) 이후 다시 트위치에서 마라톤 방송을 하고 있는데, 2016년 9월 약 천 여명의 시청자를 유지 중이었고, 11월 넘어서는 약 5~7000명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지금도 매주 주말마다 트위치에서 에피소드 마라톤 방송을 하고 있으며, 시청자는 2~3000을 유지한다.[30]
니코니코 동화에서도 일부 영상이 올라와 있으며 일본어 더빙판이다(성우는 이시이 타카오). 영상의 코멘트들은 대략 트위치에서의 채팅창과 일치한다.
이 사람의 그림 작업을 테마로 한 보드게임이 존재한다. 제목은 The Art of Chill. 링크
현재는 닉 행킨스(Nic Hankins)가 '밥 로스의 꿈을 이어갑시다.'(Keeping The Bob Ross Dream Alive) 라는 제목으로 그의 컨셉을 이어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화질은 1080p로 현대적인 비율이지만, 8~90년대 방송 특유의 필름 느낌이 물씬나는 화면과 올드한 스타일의 자막, 그리고 밥 로스의 버릇등을 거의 모두 완벽하게 재현하여 시청자들의 흥미와 재미를 이끌고 있으며, 심지어 신너에 적신 붓을 '투다다당' 털어내는 부분까지 모두 재현하였다. 전체적인 평은 어설프게 밥을 따라한게 아닌 밥 그 자체에 가까운 사람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밥 로스와 다른점이라면 시간을 1시간 내외로 넉넉하게 진행하다 보니 가르쳐 줄 수 있는것은 가능한 자세하게 가르쳐주려는 자세로 프로그램 진행에 임한다.
그의 그림을 공식적으로 살 수 있는 루트는 전부 막혀 있었으나, 뜬금없이 2020년 연말에 간접적으로나마 소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Happy Little Gathering이란 이름으로 매직 더 개더링기본 대지 5종에 각 2종류씩 종 10장에 밥 로스의 그림을 담아 Secret Lair를 내기로 한 것. 예약 기간은 미국 표준시 기준 11월 30일 정오부터 12월 14일 정오까지 보름 동안이며, 예약 가능 지역은 오프라인 배달 가능 국가로 한정[31]되고, 배송 시작일은 2021년 3월 15일. 가격은 일반판 $29.99에 포일판 $39.99로, 일반판과 포일판을 전부 소장하려면 $69.98을 들여 두 팩을 일일이 구매해야 한다. 덧붙여 이 10장 외에도 Evolving Wilds에 밥 로스의 그림이 실린 버전이 출시된다.
한국에선 미대 합격을 비는 밥 로스 마법진을 그린 사람이 있다(...). #

9. 대중매체에서


엠넷에서 마이티 마우스가 밥 로스 코스프레를 하고 퀴즈를 내는 《음밥》이라는 프로그램이 방영 중이다.[32]
미국 애니메이션 《분덕스》에도 로스의 패러디 캐릭터가 나왔다. 금발 아프로의 항상 웃고 있는 수상한 아저씨로, 라일리의 그림 선생이 되어 항상 풍경화 유화를 그리고 있다. 그림 그리다 "난 나무 그리는 게 좋아요 I like painting trees."라고 하거나 자동차 뒷번호판도 TREES라고 써져 있다. 끝엔 라일리와 집 벽에 그래피티(graffiti)를 칠하다가, 경찰이 오자 차타고 교차로에서 날렵하게 드리프트 신공을 때리며 추격하는 경찰들을 관광시킨다. 그것도 차에 미리 준비해둔 권총(데저트 이글)으로 추격하는 경찰차들의 바퀴를 쏴서 길막을 만들어서 "참 쉽죠?"
개그콘서트에서 유민상이 패러디 했다
재용이의 순결한 19》에서 정재용이 분장한 적이 있다.
2012년 10월 29일 밥 로스 탄생 70주년을 구글이 기념했다.
2012년 12월 31일 AVGN의 Nes Golf편에 제임스 롤프의 티셔츠에 이 아저씨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포켓 프린세스에서 예술의 신으로 등장한다. 얼굴이 나오지는 않지만 실루엣이라든가 대사만 봐도...
데드풀 2의 티저 예고편이 통째로 밥 로스를 패러디했다.
복면가왕에서 이 사람의 유행어를 딴 가명을 만들었다. 참고로 정체는 한동근이었다.
악명 높은 사이트인 일베저장소의 모 회원이 노무현대통령 고인드립의 일환으로 노 전 대통령의 얼굴을 밥 로스의 방송 화면에 합성해 밥 노스를 창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MBC 아침 프로그램인 기분 좋은 날에서 밥 로스 사진 대신 밥 노스 합성 사진을 내보내는 대형 사고를 일으켜 논란이 된 적이 있는데, 진성호의원TV조선돌아온 저격수다에 출연해 이 사건을 언급하다 합성 사진을 보고 웃음을 참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빈축을 사기도 했다. 진 전 의원은 고인을 비하할 의도가 아니라 일단은 합성을 웃기게 해놔서 웃을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10. 관련 문서



[1] 현재, 생존 했었으면 80세이다.[2] 방송에도 종종 출연해서 밥 로스를 대신해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3] 다람쥐는 국내 더빙 방송에서의 오역이다.[4] 밥은 사람들이 자신처럼 그림을 그리며 행복해 하기를 바랐기 때문에 그림은 어려운 게 아니라고 시청자들을 격려했던 것이다.[5] 비영리기관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PBS에서 방영된 모든 에피소드를 정리해 놓았으니 보고 싶다면 여기로 들어가자.유튜브는 여기서[6] 얼마나 유명했는지 미국에서 동명의 그림 그리기 비디오 게임이 출시된 바 있다.[7] 그런데 2020년 6월 말부터 EBS1TV에서 다시한번 더빙판을 방영하기 시작했다. 방송시간은 일요일 오후 5시에서 5시30분까지.[8] 직역하자면 '젖은 것 위 젖은 것'[9] EBS에서 방영한 밥 로스의 그림을 그립시다에서는 덧칠 기법으로 번역했다.[10] 유화물감 특성상 레이어 하나가 마르기 위해서는 보통 일주일 가량 걸리며, 두께에 따라서는 그 이상이 걸리므로 린시드 따위를 사용하여 하루 정도로 건조를 끝내게 할 수 있다.[11] 하지만 방송을 포함해서 30,000 작품을 남겼는데 시장에 나와있는 것이 거의 없는게 미스테리이다. 방송에서 그린 것들은 지방 PBS에 기부되었다고 하더라도 3만 작품 중 거래되는 것이 없다. 다만 뉴욕타임즈가 취재하면서 미스터리가 풀렸는데 대다수의 작품은 유산을 관리하는 회사에서 관리하고 있었고 일부는 박물관에 소장 되고 있었다.[12] 그럼에도 밥 로스의 그림이 아무나 살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하지는 않다. PBS에 나와 그렸던 그림들은 대략 500~1200만원대. 그림 자체의 수준보다 밥 로스의 인지도로 인해 어느 정도 수요가 있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밥 로스가 사망했고 후손들이 남은 작품들을 판매하지 않아 꽤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작품들은 전부 팔아서 운영비로 쓰라고 PBS에 기부한 작품들이기 때문에 밥 로스는 한푼도 받지 않았다.[13] 일반인이 접하기에도 쉽고,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않아도 되는.[14] 인물화나 캐리커처를 그려주는 길거리 화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길거리 화가들 역시 이러한 풍경 그림을 주로 그리는 경우가 많다.(SF 등에 나올 듯한 우주그림을 그리는 이들도 포함)[15] 밥 로스가 세상을 떠난지 2년 후인 1997년 세상을 떠났다. 향년 91세로 로스랑 달리 의외로 장수했던 사람.[16] 수채화 기법들 중 하나. 밑그림을 채색하지 않고 최소한의 붓질만으로 채색을 끝내는 것.[17] 실제로 독일계 미국인이다. 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으로 넘어온 이민 1.5세.[18] 카메라 3대, 등장인물(밥 로스) 1명, 미술도구, 특수효과 일절 없음. 저예산의 극치다. 또한 로스의 아프로 머리는 머리 깎을 돈을 줄이려던 게 스타일로 고정됐다고 한다.[19] PBS는 미국의 최대 비영리 공영 방송국이다.[20] 정확히는 무채색 밖에 안 보이는 전색맹이다.[21] 미국의 교육자이자 방송인, 1966년부터 2001년까지 '로저스 아저씨의 동네'를 진행하였는데, 친절하고 자상한 옆집 아저씨 이미지로 인해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실제 성격도 매우 자상하다. 채식주의자인데, '어머니'가 있는 것은 먹을 수가 없다고 했다. 생전에 광고에 출연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버거킹1980년대에 그를 패러디하여 광고를 하였는데 그는 그의 이미지가 아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패스트푸드의 홍보에 이용되는 것을 알고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의 캐릭터와 이미지를 다른 회사의 홍보에 이용하는 것을 불허한다는 성명을 낸 일화가 있다. 그는 PBS의 구세주였다. 1969년 정부의 PBS에 대한 지원이 끊길 위기에 처하자, 그는 의회에서 교육방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지원을 유지하게 하였다. 자신의 출연료를 전액 기부하였으며, 그의 주 수입원은 밥 로스와 마찬가지로 책과 비디오 테이프 판매 수익금이다. 그가 2003년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을 때, 그야말로 전미가 울었다. 지금도 좋은 방송인으로 칭송받고 있으며 그의 프로그램들은 유튜브에 많이 업로드되어 있으니 보도록 하자. 자상하고 친절한 그의 이미지가 뇌리에 오랫동안 박힐 것이다. 심지어 그의 차를 도둑맞은 적이 있는데 이때 차도둑이 그차가 로저스의 차란걸 알고 자수해서 그에게 용서를 구했고 로저스는 그런 그를 용서해준 일화는 아주 유명하다.[22] 대표적으로 "We don't make mistakes, it's just happy little accidents."(여러분들의 그림에)실수라는 건 없어요, 그냥 행복한 우연일 뿐이죠. 라던가, "Just let it happens." 그냥 흘러가게 두세요. 등.[23] 참고로 붓을 닦는 시너는 휘발성이 강한 유독성 물질이다. 그러니 따라하지 말자. 잠시 붓 닦을 때 말고는 항시 덮개를 덮어놓는 것이 좋다. 그러지 않으면 그리지도 않은 게 캔버스에 나오는 걸 볼 수가 있다. 그리고 함부로 버리는 것도 안 된다. 가만히 놔두면 물감 침전물이 가라앉으니 걸러서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4] 환경채널 버전의 밥 아저씨는 '좋아요'를 연발하며, 무척이나 손쉽게 그림을 그려낸다. 물론 보는 우리는 '''전혀 좋지 않다.'''[25] 아버지의 프로그램에 출연해 아버지 대신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26] 실제로 20대 그림쟁이들 중 《그림을 그립시다》를 보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사람들이 꽤 된다.[27] 글로벌 오펜시브 프로 경기에서 프로게이머가 슈퍼 플레이를 하면 마치 핵 프로그램을 쓰는 것 같다는 의미에서 생긴 이다. VAC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건 핵이나 치트 차단 프로그램인데, 밥 로스가 그림을 그냥 캔버스에 붓과 나이프 몇 번 사샤삭하면 그림이 완성되는 것에 대해서 밥 로스가 핵을 써서 VAC에 차단당하게 생겼다고 열폭 반, 찬사 반으로 말하는 것이다.[28] 그래서 채널의 명령어중엔 !ripdevil 즉 지금까지 방영된 붓턴 횟수를 세는 명령어도 있다. 2020년 11월 5일 기준, 9만5천번을 넘어섰다.[29] 밥 로스가 방송 말미에 God bless라고 끝을 맺을 때도 있어서, GG GB로 도배 되기도 한다.[30] 트위치채널 공지 원문: We will be playing Bob Ross episodes starting Friday at 6PM PST and ending Monday around 9pm PST.[31] 온라인 샵의 경우 미국/EU/영국 지역에 따라 배달 가능 구역이 정해져 있다. 만약 대한민국에서 구입하고 싶다면 미국 온라인 샵으로 들어가야 한다.[32] 제목의 모티브는 아마도 핸슨의 mmmbop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