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200
1. 노선 정보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0.6km이다. 안남초등학교 미경유 시간대(평일 07:00~09:00 / 12:00~17:00)의 왕복 운행거리는 69.8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image]
1993년, 15번 좌석버스 뒤로 보이는 200-1번 1기 노선 차량. 식물원입구 - 서부터미널 구간을 운행하던 시절이다. (출처 : 뉴스뱅크)
- 이 노선의 원래 번호는 200-1번이었고, 2기 노선에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 200-1번 1기 노선은 제2만덕터널 개통으로 1988년에 일광여객이 식물원입구에서 출발하여 부산대 - 부곡동 - 동래전화국 - 신만덕 - 덕천교차로 - 구포역 - 모라동 - 덕포동 - 서부터미널을 거쳐 파라곤호텔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그러나 약 1993년도에 신설된 202번보다 수요가 크게 밀려 1995년경에 폐선되었다.
- 1998년에 2기 노선으로 개통되어 해운대 - 해운대경찰서 - 원동IC - 동래시장 - 만덕2터널 - 신만덕 - 덕천주공 - 구포역 - 모라동 - 신라대 노선으로 운행하였다. 이 노선이 신설되자 이번엔 구.200번이 이 노선한테 수요가 밀리면서 2000년에 폐선되고 말았다.
- 식물원입구 시절에는 일광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했고 1995년에 해운대로 기점이 바뀐 이후 세익여객과 한일여객이 참가했었다. 이후 한일여객이 2003년에 세익여객에 통.폐합되어 일광여객, 세익여객 공동배차로 운행하다가 2007년 5월 15일 대개편때부터 63번은 일광여객, 200번은 세익여객이 단독운행하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2]
- 2007년 5월 준공영제 대개편 때 이 노선은 폐선이 예정되었고 폐선 후 덕천3동 구간은 구.202번 변경으로 대체, 신라대학교 구간은 당시 북구청까지 운행했던 148번의 연장으로 대체하려 했고 덕천 - 동래 - 해운대로 구간은 가칭 46번 신설(구포3동 - 동래역 - 센텀파크)로 대체할 예정이었으나 업체와 시민들의 극심한 반발로 폐선이 무산되었다. 그리하여 구.202번은 폐선되었고 그 대신 신라대학교로 연장이 무산된 148번 노선이 모라주공까지 연장되었다. 동래전화국 - 온천입구 구간은 46번 투입으로 대체하였다.
- 2012년 5월 30일에 청강리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5년 6월 20일에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와 중2동주민센터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7년 11월 4일에 4대 증차되어 24대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청강리행은 뜨란채아파트, 안남초등학교를 경유하게 되었다.(관련 게시물) 뜨란채삼거리 일원에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 설치공간 확보가 안되었다는 이유로 대책없이 해운대행 뜨란채삼거리 정류장을 없앤 것이 근원이 되어 이용불편 항의가 많았다. 변경된 노선이 안남초등학교 정문 앞에서 회차하는 루트 때문에 교통안전문제가 되어서 평일 07:00~09:00와 12:00~17:00엔 미경유한다. 12:00~17:00에 미경유 하는 이유는 하교시간대 사고위험 논란이 일어 동년 11월 11일에 추가되었다.
- 2021년 1월 16일에 약 5년만에 구포시장까지 재단축되면서 회차 방식도 약 5년전과 같은 P턴 회차로 재변경되었다. 동래 권역에서 신라대 통학 수요가 줄어든 점도 있겠지만 북구쪽에서는 다른 노선을 이용하여 구포시장에서 128-1번으로 많이 환승하여 가기에 생각보다 수요가 없었던 점도 있었다.
3.1. 구.200번
설명에 앞서 덧붙이면 '''현재 운행 중인 200번은 2008년 8월 31일까지 200-1번이었다가 2008년 9월 1일에 200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된 것'''이므로 현재 이 문단에 서술된 200번 노선과는 엄연히 다르다.
- 초창기에는 본선인 200번 노선이 식물원입구~부산대~부곡시장~온천입구~동래역~제1만덕터널~북구청~서부터미널까지 운행하였고 동래산성교통에서 단독운행하였으나 1981년 11월 22일에 일어난 자사 노선 203번의 추락사고 여파로 부도/파산 및 폐업에 이르게되어 이후 일광여객이 200번과 203번을 모두 인수하여 운행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1988년에 제2만덕터널 개통으로 200-1번이 개통되었다. 200-1번은 만덕2터널, 신만덕으로 가는것 외엔 200번과 거의 똑같은 노선이었다. 그러다 1992년 쯤에 200번이 신라대입구까지로 노선이 조정되었다. 약 1년 뒤에는 202번이 식물원입구~모라주공 노선으로 개통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202번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자, 중복노선이던 200-1번은 폐선수순을 밟게 되며 200번은 1995년 하반기 쯤에 기점을 식물원입구에서 해운대로 개편하면서 당시 해운대~동래~만덕 구간의 본좌노선이었던 307번을 보조하는 형태로 운행하게 된다.
- 얼마 지나지 않아 200-1번(현.200번)이 재개통되어 해운대-신만덕-신라대로 운행하게 된다. 시내버스 냉방화 이후 전차량 냉방화된 200-1번이 더 수요가 많아지게 되고 비냉방버스가 많았던 200번은 200-1번에 수요를 빼앗기며 차량마저 감차되어 2000년에 폐선된다.
- 식물원입구가 기점이던 시절에 일광여객의 200/200-1번과 202번에 대한 대우가 극명하게 엇갈렸는데[3] 202번은 새차, 200/200-1번은 구형차가 투입되었을 뿐만 아니라 200/200-1번에서 다니던 구형차가 대차되면 신차를 202번에 투입하고 200/200-1번에는 202번에서 운행하던 조금 연식이 지난 차량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3.2. 구.202번
부산 버스 202 문서로.
4. 특징
- 금정산으로 가로막힌 북구 지역에서 동래구, 해운대구를 거쳐 기장군까지 직접 이어주는 직통노선 이다. 정확하게는 덕천주공아파트부터 만덕역까지는 덕천로(덕천주공) 쪽으로 우회한다. 대신 이 덕천주공에서 만덕역까지의 구간만 제외하면 해운대까지는 말 그대로 쭉 직진만 했다. 이제는 안남초등학교 및 뜨란채 아파트 경유로 해운대행 한정으로 중간에 한번 꺾어 들어갔다 돌아나온다. 진짜 직통노선은 따로 있으니 바로 307번이다. 북구 지역에서 유일하게 해운대역을 지나 해운대 신시가지랑 송정과 기장읍을 직접 연계시키는 유일한 노선이다. 307번은 해운대영업소[5] 가 종점인 관계로 해운대신시가지, 송정 이북으로는 올라가지 않는다. 예전엔 북구, 강서구, 김해 지역의 신라대학교 학생들로 인해 항상 수요가 넘치는 노선이었지만, 현재는 북구청 단축으로 인해 통학 수요는 많이 줄어든 상태.
- 구.동서통근열차처럼 해운대 - 구포를 연결한다는 특징 때문에 307번과 더불어 장거리를 이동하는 고정수요도 제법 많은 편이다. 해운대와 신만덕 구간만 제외하면 노선의 선형이 직선화되어있어 교통 체증만 없으면 이동 소요시간이 덜 걸린다. 이는 해운대로 BRT가 개통된 것도 한 몫 한다.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오히려 돌아가는 해운대역~만덕역 구간을 이 노선은 직통으로 이어주기 때문에 해운대역에서 만덕이나 덕천까지의 장거리 수요가 많은 편이다.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수영역에서 환승을 해서 망미~연산~거제~미남~만덕역으로 돌아가는데, 정말 처음가는 사람이나 관광객이 아닌 이상 해운대 지역에서 북구로 가는 사람들은 자연스레 이 노선을 타게 된다.
- 차고지행 한정 안남초등학교 추가 경유 이전까지는 내성교차로 - 동래시장 - 안락동 - 재송동 - 벡스코 - 해운대역 구간을 31번과 100% 똑같이 다녔다. 31번의 가축수송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이용하기도. 하지만 31번이 이 노선에 비해 훨씬 자주 다니기 때문에 해운대역~동래역 구간은 31번에 비하여 수요가 적은 편이지만 최근에 100번 노선이 토곡으로 변경되어 출퇴근 시간때에 가축수송을 할정도로 수요가 많이 늘어났다. 해운대 방향 첫차는 동래시장 기준 06:50에 도착하지만 31번은 첫차가 7시 이후로 늦게 와서 동래시장~안락동 부터 점점 탑승하다가 재송역 이후부터는 찡겨서 가야 한다. 그리고 원동IC교차로~미남역 구간은 44번과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물론 이 구간은 44번이 배차간격이 더 좋다.
- 출퇴근 시에는 제2만덕터널부터 원동IC까지 이어지는 충렬대로 헬게이트 정체구간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이 곳은 북부산에서 해운대로 출퇴근하는 차량과 시외에서 해운대로 놀러오는 차량들의 주요 루트이기 때문이다.(거리로만 따지면, 가장 최단거리) 현재는 부산광역시 BRT가 개통되어 이전보다 훨씬 빨리 이동할 수 있다.
- 이 노선은 해운대두산위브아파트 상행구간과 덕천주공아파트 하행구간[6] 등지에서 너무 버겁게 올라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안남초등학교 유턴구간이 있어서 세익여객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저상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이후 일일 평균 승객수가 1만명 미만이 되었으나, 2017년도에 100번의 노선 대폭변경 여파로 다시 1만명을 돌파하였다.
- 북구청까지의 노선 단축과 4대 증차로 인하여 배차간격만큼은 예전에 비하면 확실히 단축되었고 신라대 통학생들로 인한 만차 현상이 사라져 승객 불편함이 상당수 해소되었다. 단축 이전 신라대 회차 시절에는 구포시장이나 구포역 정류장에서 신라대 통학생들로 발 디딜 틈 조차 없이 승객이 꽉꽉 들어차 기존 이용객들이 승차거부를 빈번히 당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133번을 이용하여 남영아파트 정류장에서 62번으로 환승하여 이동해야만 했던 경우까지 있었다. 다만 증차 이후에도 가끔씩 해운대 일대, 동래역~화신아파트 구간, 제2만덕터널~만덕교차로 구간에서 교통체증이 일어나면 배차간격이 15~20분 내외로 벌어질때가 있다.(이 구간에서는 가끔씩 2대가 붙어있기도) 그래도 증차가 되고 북구청까지 단축된 덕분인지 예전처럼 20분 이상으로 벌어지는 일은 없다.
-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개통과 100번의 노선변경, 31번 과수요 분담을 하다보니 출퇴근시에는 만차가 되어 탑승할 수 없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4.1. 논란
4.1.1. 2015년 노선단축 사태
- 청강리 연장 이후로 노선거리가 왕복 70km가 넘을 정도로 지나치게 길어진 탓에, 장거리 운행에 견디기 힘들다는 세익여객 노조의 요구도 있었고 부산광역시청에서도 장거리 노선 단축을 검토해 결국 2015년 12월 27일 개편으로 구포시장까지 단축되면서 결국 이 노선은 1992년 이후 약 23년만에 신라대 구간을 철수하게 되었다. 대체노선으로 128-1번노선이 덕천역~신라대까지 연장운행하게 되었다.
- 그러나 128-1번과 200번의 치명적인 환승 문제가 발생하면서 개편 전부터 항의가 많았다. 담당관도 위치를 착각해 환승문제가 있다고 인정했고 후임 담당관에게 계승되어 결국 2016년 4월 9일에 구포시장에서 북구청[7] 까지 노선이 소폭 연장운행하게 되어, 128-1번과의 연계가 확실히 보장되었다. 이로써 2015년 12월 26일까지 다녔던 구포시장 환승센터랑 구포역을 재경유하게 되었다.
- 북구청까지 노선 연장이 되고 안남초 경유, 장산역 경유로 인해 운행소요시간이 왕복 225분을 기록하게 되었다. 그래도 연장으로 인해 구포시장 환승센터랑 구포역 이용객의 환승 편의가 향상되었다. 회차지점인 북구청 인근에 가보면 인근에 짱박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역방향(청강리 방향)은 시원치 못하다. 구포시장 - 구포역의 환승저항[8] 으로 인해 신모라, 덕포2동, 신라대 구간을 잃었기 때문에 수요가 줄었다.
- 노선 개편/단축 이전의 200번 운송수입금은 대당 약 50만원이었고 개편 이후 2016년 1월 기준 대당 운송수입금은 200번은 약 40만원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때는 겨울철, 방학 비수기였으니 통학수요가 확 줄어들어 개편 이전하고 1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났던거고 정작 성수기에는 개편 이전하고의 차이가 최소한 비수기때 차이랑 똑같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청강리에서 동래시장까지 노선이 흡사했던 100번이 수영4호교 - 연산8동 - 안락교차로로 노선이 바뀐 2017년에도 운송수입금이 크게 나아진 수준은 아니었다. 하루 평균 승객수도 신라대 운행시절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승객수가 쉽게 1만명을 넘겼지만, 단축 이후에는 1만명을 넘기지도 못했다.
- 동일 구간을 운행했던 100번이 2017년 1월부터 해운대경찰서 - 동래한전으로 가지 않고 과정교(수영4호교) - 연산8동으로 빠지고 나서 2017년 4월.5월에 이 노선의 운송수입금이 조금 증가한 상태다. 그리고 2018년 11월 통계수치에서 대당 운송수입금이 44만원으로 증가했음이 확인되었다.
4.1.2. 2017년 안남초등학교 경유 논란
- 2017년 11월 4일에 뜬금없이 해운대행 한정으로 뜨란채아파트, 안남초등학교를 경유한다는 안건이 발표되었다. 충렬대로 BRT 체계개선 상 BRT 정류장을 설치할 공간이 확보가 안된다는 이유로 해운대행 뜨란채삼거리 정류장을 대책도 없이 없앴기 때문에 뜨란채삼거리 정류장을 이용하던 승객들은 원동교 앞[9] BRT 정류장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지속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BRT 정류장은 기존 뜨란채삼거리 정류장이 있었던 곳에서도 약 3분 정도 걸어야 하는 곳이며 그마저도 횡단보도 신호대기시간을 포함하면 이보다 더 걸리는 곳이다. 거리상으로도 200m 넘게 더 걸어야 하는 곳이다.
- 안남초등학교 정문 앞에서 유턴하도록 해 많은 우려와 더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학교 정문 앞은 안전상 문제를 고려하여 대형차량이 유턴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 점을 고려하지 않고 노선을 조정했기 때문이다. 골목길에 정문이 있는 것이 아닌 연안로 바로 앞쪽에 정문이 있다. 따라서 사고라도 나는 순간 매우 위험해진다. 더군다나 어린이들이 다니는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노선개편 전에 평일 등교시간대인 07:00~09:00 미경유라는 조치를 내렸고 11월 11일부터 평일 하교시간인 12:00~17:00 미경유를 추가시켰지만 이는 단순히 땜질식 처방일 뿐 우려를 잠재울 수 있는 대책이 아니다. 또한 평일엔 약 7시간 밖에 경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승객과 승무원 모두가 혼선을 빚을 수도 있으며 이 때문에 ‘노선버스 경유가 무의미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특히 평일 출근시간대(07:00~09:00)에 미경유하기 때문에 직장인들에게도 사실상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그나마 경유하는 시간대에도 일부 행인들이 학교 정문 앞에서 대형버스가 유턴하면 놀라면서 피한다고 한다. 원래 해당 구간은 인도 폭이 넓었는데 시내버스의 원활한 유턴을 위해 안남초등학교 정문 앞쪽에 위치한 인도를 깎아내고 아스팔트로 포장해 놓았다. 게다가 대형차량이다 보니 도로폭상 단번에 유턴하지 못하고 후진했다가 다시 전진하여 다른 차량들의 교통흐름에 방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승객들은 바로 가지 못하고 돌아가는 선형으로 인하여 죄없는 뜨란채아파트 이용객들에게 욕을 하거나 빈정대는 등의 볼썽사나운 상황까지 벌어졌다. 게다가 어떤 승객들은 특정 시간대 미경유에 대해 모르고 왜 안남초등학교에 안 가는지 의아해하며 어쩔 수 없이 부산원동역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이동하는 불편을 겪기도 한다.
- 안남초등학교 굴곡 구간의 경우 정확히는 청강리행 200번 버스가 동래한전 정류장을 지날 무렵 미경유 시간대인 07:00이나 12:00이 되었으면 그 차는 뜨란채아파트와 안남초등학교를 미경유하고 직진하는 방식이다. 반대로 동래한전 정류장을 지나는 시점에서 경유 시간대인 09:00이나 17:00으로 바뀌면 그 차 부터는 해당 구간을 경유하여 가게 된다.
- 뜨란채 삼거리 정류장의 이용률도 제법 되었으며 엄밀히 말하면 뜨란채 아파트 거주 승객들도 안일한 BRT 행정으로 교통 불편을 겪어왔다. 안일한 부산시의 행정으로 승객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결과물이 나왔으니 부산시에서 책임을 지고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것이 맞다. 하지만 그 대책이란 게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노선 설정이었기 때문에 상술한 상황과 우려들이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안전과 편의를 모두 고려하는 부산시의 개선대책이 조속히 요구된다. 100번을 안남초교, 동래한전 쪽으로 돌리고 200번은 철수시키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있으며 실제로 해당 방안으로 부산시에 바란다에 지속적인 민원이 제기되지만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100번은 과정로 연선에서 해운대로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라는 점 때문에 변경시키지 않고 있다고 한다.
- 뜨란채삼거리 구간의 이용률과는 별개로 또 노선의 선형이 굴곡 노선으로 불편하더라도 부산시의 마땅한 다른 대책이 없는 이상 기존 이용객의 불편을 감수할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는 시내버스는 공급과 수요의 논리로만 민영제로 운영되는 것이 아닌 시민들의 교통편의도 봐줘야 하는 준공영제이기 때문이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동래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 해운대역, 동백역, 벡스코역, 덕천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미남역, 만덕역, 덕천역
- [image]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미남역, 동래역, 수안역, 낙민역
- [image] 동해선 광역전철: 동래역, 안락역, 부산원동역, 재송역, 센텀역, 벡스코역, 송정역
- 일반 철도역: 센텀역(무궁화호)
[주말] 토요일 22대 / 공휴일 20대 운행[1] 평일 07:00~09:00 / 12:00~17:00 미경유[2] 63번에는 202번 출신 BS090이 투입되었고 200번에 다니던 차량들은 31번으로 갔다.[3] 당시 202번은 일광여객의 대표노선이라고 할 정도로 수익이 많았다.[4] 간판 노선은 31번.[5] 세이브존 옆[6] 148-1, 169번이랑 같이 경유한다. 특히 148-1번은 77번에 수소일렉시티 투입으로 인해 77번 출신 뉴슈퍼 저상 2대가 해당 노선으로 넘어왔고, 169번은 2020년 12월초에 일렉시티가 투입되며 저상버스가 못 다닌다는 편견이 깨지게 되었다. 그리고 청강리 차고지에 2020년 8월 완공을 목표로 수소충전소가 건립 예정이라고 하니, 향후 이 노선에 수소전기버스를 기대해봐도 좋을듯 하다.[7] 124번, 125번, 307번, 김해8번, 강서13번등이 유턴하는 지점.[8] 133번이 200번의 역방향을 대신하고 있다.[9] 현 부산원동역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