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270
1. 노선 정보
2. 개요
다모아자동차에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0.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이 때는 기점이 은평공영차고지, 종점이 중랑공영차고지였다.
- 2004년 8월 9일에 능산지하차도 경유를 송곡여고, 양원리 경유로 변경했다. 또한 금화터널, 연세대학교 경유에서 이대입구, 신촌로터리 경유로 변경했다.
- 2008년 1월 21일에 중랑차고지 회차에서 양원역 회차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8년 5월 8일 기점이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상암공영차고지로 바뀌었다.
- 2018년 12월 2일부터 공휴일 운행 댓수가 1대 증가한 24대로 변경되었으나, 이와 동시에 대당 운행횟수 감축이 병행되면서 공휴일의 일 운행횟수 자체는 2회 감회되었고, 이와 동시에 공휴일의 최소 배차간격과 최대 배차간격이 모두 기존보다 1분가량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19년 7월 6일을 기해 본래 22:3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22:2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또한,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3회/5회/7회씩 감회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일/공휴일의 최대 배차간격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1분가량 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15대, 저상버스 18대를 투입하여 운행하며, 저상버스 투입률은 55%다.
- 주간선 노선답게 비교적 대로로만 운행한다. 종점 일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죄다 왕복 4차로 이상이다. 그리고 중앙차로 이용구간도 꽤 되는 편이다. 수색교 - 사천교, 동교동삼거리 - 새문안로 - 종로 - 왕산로 - 청량리역, 삼육서울병원 - 금란교회 구간에서 중앙차로를 탄다. 특히 종로 중앙차로 개통 이후 상암차고지 방면으로는 금란교회부터 동교동삼거리까지 계속 중앙으로만 달리는데 가히 주간선답다고 할 수 있다.
- 본래 하행으로는 중랑공영차고지까지 운행했지만 2008년 1월 21일 양원역으로 단축됐고, 같은 해 5월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상암공영차고지로 기점이 바뀌었다.
- 노선 구조로 따지면 720번대가 되어야 정상이나, 주간선 업체의 노선은 출발지와는 상관 없이 0을 제외한 작은 번호가 앞에 오도록 하는 예외에 따른 번호 부여라 잘못된 번호는 아니다. 사실 2008년경에 노선을 양원역으로 단축할 때 번호도 722번으로 바꿀 예정이었으나, 번호 변경은 무산되었다.
- 271번과 상당 부분이 겹치는데, 중랑교부터 동교동삼거리까지 중복된다. 하지만 둘 다 수요가 터져 나간다.[2][3] 특히, 201번의 경희대입구/홍릉 드리프트나 370번의 서대문역 단축으로 수요가 더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을 노선. 물론 271번과 배차 차이도 있으며, 272번과 271번이 너무 빗자루다 보니 2대 지나갈때 오는 경우가 있다.
-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양원역이 신설되고 얼마 후부터 신내동~망우네거리 구간이 단축된 후, 양원역으로 연장하여 q턴으로 회차하도록 바뀌었다. 근처 지역 주민들에게선 양원역을 사용하는 사람이 너무 적어서 그렇게 바꾼 게 아닌가 하는 의견들이 많았다. 양원역 2번출구에서 여러 대 대기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다만 요즘은 대기하지 않고 바로 출발하는 기사도 상당히 많이 늘었다. 배차간격이 10분 정도니 조금 기다리면 버스를 탈 수 있다.
- 중앙차로가 있는 큰 길 위주로 달리며 코스가 상당히 직선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목적지에 갈 수 있다. 회차지점인 양원역에서 동대문까지 걸리는 시간은 40분 내외. 길이 밀리지 않을 경우에는 양원역에서 이대역까지 1시간 정도 걸린다.
- 청량리에서 종로3가까지 직선으로 이동해서 그런지 승객 중에 노인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청량리청과물시장 및 제기동(경동시장) 일대에선 보따리를 잔뜩 들고 타시는 분들도 많으니 서서 갈 때엔 차량 뒤쪽으로 최대한 들어가는 게 좋다. 시간에 상관없이 이용객이 많은 버스.
- 보광운수 전 노선과 만나는 유일한 다모아 소속 버스 노선이다. 다모아 노선 중 유일하게 중랑구까지 가기 때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 출처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이며 2015년 이후의 자료만 제공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동묘앞역,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회기역[A]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신설동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서대문역, 광화문역, 종로3가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동묘앞역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청량리역, 회기역[A] ,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 양원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회기역[A] ,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누리로), 상봉역(KTX, ITX-청춘[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