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정치

 


1. 개요
2. 설명
3. 유사개념
4. 목록


1. 개요


'''신권정치제'''('''''') 또는 '''신정제'''('''''')는 신(神)이나 종교적 원리에 의해 통치가 이루어지는 정치형태를 말한다. 실질적으로는 신의 대리자 또는 종교적 원리를 해석할 권위를 가진 사제성직자가 국가를 통치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제정일치 문서도 참고할 것.

2. 설명


영어 단어 "theocracy"의 어원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θεοκρατία(신의 통치)"인데, 그리스화된 유대인 저술가 플라비오스 요세포스(요세프 벤 마티트야후)가 기원후 1세기에 저술한 《유대 전쟁사》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종교화된 유대 국가의 특이성을 가리키기 위해 만든 용어였다. 요세포스가 보기에 인간의 정치 체제는 군주정, 과두정, 민주정으로 보통 분류할 수 있지만, 유대 국가는 이 셋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특이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국가에서 주권자는 개인도 집단도 민중도 아닌 신이었고, 신의 말이 곧 법이었던 것이다.
이 용어가 프랑스독일계몽주의 시대와 헤겔의 저작들을 거치면서 의미가 점점 확장되어(성서 시대의 이스라엘 국가 등) 19세기 초에는 현대와 동일한 "종교적 집단이 공적, 정치적 권력을 갖춘 정치체제"로 완전히 정착되었다.

3. 유사개념


비슷하지만 다른 것으로는 종교 국가가 있는데 종교 국가에는 국교가 정해져 있고 정해진 국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는 하지만 꼭 성직자나 종교인에 의해 통치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는 세속 국가가 있다.
국교가 있다고 해서 신정제인건 아니며 성직자가 신권을 내세우며 통치하는 경우가 신정제이다. 예를 들어 사우디 아라비아는 국교가 이슬람교이지만 국왕은 종교지도자가 아니므로 신정제가 아니다.
비슷한 개념으로 에끌레시아키(Ecclesiarchy)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 용어는 중세 그리스어로 교회를 일컫는 에끌레시(εκκλησία)와 통치를 일컫는 아크(αρχ)의 합성어이다. 미리엄-웹스터 사전(영어) 즉 해석하면 '''교회 정치'''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1] 이 에끌레시아키는 종교가 통치 이념이라는 점에서는 테오크라시와 같지만 다른 결정적인 차이가 하나 있는데, 테오크라시는 일종의 대표[2]의 존재를 용인하는 반면, 에끌라시아키는 절대군주가 통치하는것이 아니라 소속 성직자들이 민주적인 절차로 합의를 이끌어내며 통치한다는 차이가 존재한다. 즉 테오크라시가 교황을 신의 대리인으로 본다면 에끌레시아키는 신의 대리인이라는 개념을 인정하지 않고 공동 통치를 한다는 차이.
그러나 이 용어는 잘 안쓰이는 편인데 그 이유는 실제로 그런 국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슬람의 경우에는 결국 칼리파라는 대표자를 선출했고, 가톨릭도 알려져있다싶이 대표자인 교황을 선출하며 그 외 종교들도 대부분 똑같이 대표자를 선출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제적으로 분류한 바티칸의 정치체계는 대표자(교황)가 있다는 특성 때문에 '''전제군주제'''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그 교황을 선출하는 과정이 단순히 선대가 후계자를 직접 지정하는 전제군주제의 방식이 아니라 콘클라베라는 과두정적인 기관을 거쳐서 선출하는 만큼 어느 정도는 에끌레시아키적인 구도도 포함하고 있긴 하다.
왕권신수설은 신권 정치가 아니다. 왕권신수설은 지배자가 신에게서 권력을 부여받았다고 주장할 뿐 반드시 종교적 원리나 교리에 입각해서 통치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 예를 들어 왕권신수설을 신봉했던 절대왕정의 국왕들은 수많은 정부를 두고 종교적인 경건함과는 반대되는 난잡한 사생활과 화려한 파티를 즐겼다.
그러나 지배자가 신에게서 권력을 부여받았다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지배자 본인이 스스로 종교적으로 신으로서 숭배받는 신격화(God-king, Imperial cult)의 경우 신권정치의 일종이라고 볼 수도 있다. 엄밀하게 분류를 하자면 일반적인 신권 정치의 경우 지배자 본인이 신인 것은 아니며 신은 따로 있고 성직자가 신의 대리인으로서 통치를 한다면 신격화의 경우 지배자 본인이 신이며 신으로서 통치를 하는 것이다.

4. 목록



4.1. 신격화


왕권신수설의 사례는 기재하지 않는다. 단순히 일종의 칭호인 경우는 기재하지 않으며 진지하게 지배자 본인이 종교의 신이나 초월자로서 숭배받은 사례만 기재한다.
[1] 실제로는 정확한 번역명이 없다. 후술하겠지만 실제로 그런 체제의 국가가 없다보니 워낙에 안유명한 단어라 번역명이 만들어지지 않은 것. 다만 후술할 미리엄-웹스터 등 영문 사전에는 분명히 존재하는 단어이다.[2] 교황, 칼리파 같은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