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격화

 



1. 개요
2. 예


1. 개요


神格化, 사람을 신처럼 절대시 하는 행위다. 국가적 차원의 신격화는 현대에선 주로 독재 국가에서 발생하며, 독재자의 권위를 절대시하거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특정 위인을 신격화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 왕정국가에서도 왕의 권위를 절대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격화가 이루어지곤 했다. 민주주의 국가에선 그 사례를 보기 힘든데 요구가 다원화되어 개인에 대한 숭배가 절대화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주로 문화적인 부분에서도 특정분야에서 신과 다름없는 대접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대중음악에서의 비틀즈, 마이클 잭슨[1], 축구에서의 펠레, 마라도나 등이 있다.
개인적 차원의 신격화는 주로 사이비 종교 단체에서 발생하나 드물게 카리스마가 높은 특정 개인에 대한 신격화가 이뤄지기도 한다. 특히 민간신앙의 경우 어떤 분야에서 보통 사람을 뛰어넘는 탁월한 능력을 보였거나 자신의 재주를 다 펼쳐보지도 못하고 원통한 최후를 맞이한 사람을 무속의 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았는데, 주로 (신으로 모셔지는) 당사자의 능력에 대한 동경과 경외를 넘어 그 능력을 자신도 나누어 받고자 하는 욕구(후술할 현대사회에서 문화적인 부분에서 특정 분야의 일가를 이룬 사람을 신이나 다름없는 대접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또는 그들이 최후를 맞으면서 세상에 남긴 강렬한 원한이 인간 세상에 끼치는 악영향을 줄이고자 하는 염원에서 나온 것으로, 이런 경로로 신으로 모셔지는 경우는 한국뿐 아니라 중국[2]일본[3] 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한국의 무속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신을 인격신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인력신으로 고려 말기의 최영, 조선 초기의 남이장군이나 사도세자(뒤주대왕)를 들 수 있다. 또한 여수 지역에서 용장군으로 모셔지는 이순신이나[4] 태백산산신령으로 모셔진 단종[5] 역시 넓은 의미의 인력신이라고 할 수 있다. 후삼국시대 순천 지역에서 성황신으로 모셔졌던 박영규김총처럼 지방 호족이 그가 다스리던 지역에서 신으로 모셔진 경우도 존재했다.

2. 예


인간을 하나님처럼 신격화하는 것을 죄악시하는 기독교에서 유일하게 신격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인간이다.[6] 즉 부모를 하나님처럼 생각하며 두렵고 떨리는 마음으로 대하라는 뜻이다. 이 성경구절이 왜곡, 악용된 결과가 바로 목사가 저지른 부천 여중생 백골 시신 사건, 목사의 자녀들이 부부가 되어 저지른 16개월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이다.
김정은은 제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경제 발전을 추구 하겠다고 선언 하면서 수령에 대한 신격화를 배제했다.# 지지자들이 마음대로 신격화를 한다면 다른 문제긴 하지만.
이들은 기본적으로 사후 신으로 대접받아 신전까지 세워졌다. 아우구스투스는 사후에 'Divus Augustus'(神皇 아우구스투스)로 불렸다. 단 티베리우스처럼 황제 본인이 생전에 신격화를 거부하거나 칼리굴라, 네로, 도미티아누스처럼 후대에 폭군으로 낙인찍힌 황제들은 신격화되지 않았다. 로마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는 황제가 신격화되지 않았다.
스스로 미륵불이라 자처하고 자신의 장남과 차남을 각각 관음보살아미타불이라 하였다. 그러고서는 그 두 아들들을 철퇴로 때려죽였다.
일본인들은 1945년 태평양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덴노를 "살아있는 "으로 믿어왔다. 본래 일본인들에게 덴노는 거의 700년 동안 단지 상징적인 존재일 뿐 권력자로서는 잊혀져 있었는데 메이지 유신으로 덴노를 유럽의 절대군주와 같이 만들려 했던 근대화 추진 인사들이 덴노에 대한 신격화와 절대화로 대대적인 선전세뇌로 '살아있는 신'으로 윤색했다. 그러던 것이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계기로 일본인들은 덴노가 살아있는 신이 아니고 일개 인간이라는 뚜렷한 인식을 비로소 갖게 되었다. 물론 극우주의자들은 지금도 덴노가 살아있는 신이라고 우기고 있다.
21세기 현재에도 태국 은 '생불(生佛)', 즉 '살아있는 부처'라 불린다. 거리 곳곳과 집집마다 왕의 초상화가 걸려 있으며, 형법 112조에 따르면 국왕과 왕비, 왕세자 등을 비방하고 모욕하는 사람은 최대 징역 15년에 처해진다. 한 예로 태국 검찰은 국왕을 조롱하는 페이스북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른 혐의로 한 20대 남성에게 징역 32년형을 구형하기도 했다. 그리고 화폐에도 국왕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기 때문에 화폐를 던지거나 밟으면 국왕 모독죄가 적용된다.

[1] 실제로 90년대 초반에 언론들은 마이클 잭슨을 신격화된 아티스트라고 수식했다.[2] 대표적인 예로 관우가 있다.[3] 대표적으로 헤이안 시대의 학자이자 정치인이었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나 호겐의 난으로 실권을 잃고 사누키로 유배되어 죽은 스토쿠인. 그리고 이러한 믿음이 '''가장 안 좋은 쪽으로''' 간 것이 야스쿠니 신사이다. 항목 참조.[4] 이순신은 심지어 적이었던 일본 군인들에게조차 군신(軍神)으로 숭상받았다는 카더라가 존재할 정도다. 여담으로 이순신은 바다에서 죽음을 맞았기 때문에 신으로 모셔지게 된 점도 어느 정도 있는데, 전근대에서 물에서 죽는다는 것은 가장 비극적인 형태의 죽음의 형태였기에 그만큼 망자의 한도 깊어진다고 믿었던 것이다.[5] 어떤 실정도 없었고 정통성은 조선 왕들을 통틀어 가장 완벽했음에도 어린 나이에 숙부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그것도 모자라 그에게 죽임까지 당했다.[6] 너희 각 사람은 부모를 경외하고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니라(레위기 19장 3절)

분류